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요지조사와 고려청자 연구의 의미 = Investigation of Kiln Sites and Signification of Research on Goryeo Celad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는 한국미술사의 출발점이라는 시각에서 기존 논문에서 다루지 않았던 당시의 요지(窯址) 조사와 고려청자 연구가 어떠한 배경속에서 시작했으며 시기별로 어떤 변화를 보이고 ...

      일제강점기는 한국미술사의 출발점이라는 시각에서 기존 논문에서 다루지 않았던 당시의 요지(窯址) 조사와 고려청자 연구가 어떠한 배경속에서 시작했으며 시기별로 어떤 변화를 보이고 그 내용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 요지조사와 고려청자의 연구는 일본 제국주의가 설정한 조선예술쇠망론의 식민사관과 식민지에 대한 인류학적 자료조사라는 큰 틀에서 시작되었다.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강진을 비롯하여 공주 학봉리, 광주 분원리, 부안 유천리·진서리, 고령사부동·기산동 등 중요한 요지 대부분이 조사되었으나, 현재 각 요지의 발굴보고서는 공주 학봉리를 제외하고는 확인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1914년 강진 요지 발굴자료도 다른 논문에서 단편적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모든 발굴보고서는 작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각 요지의 발굴조사보고서 부재(不在)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의도적인 자료 폐기 또는 누락를 추정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고려청자에 대한 인식과 연구는 요지조사 자료 축적과 함께 50여 년간 시기별로 변화를 보였다. 19세기부터 1900년대는 본격적인 요지조사가 실시되기 이전으로 고려청자는 고가의 골동품으로서 수집과 감상의 대상으로 여겨지던 시기이다. 전세품(傳世品)이나 개인적인 수집품만을 분석하여 한국 도자기의 역사를 관념적인 시각에서 계보(系譜)를 정리하고 종류를 구분하였다. 이후 1910-1920년대에는 일본의 대외확장에 따라 식민지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기이다. 도자기 연구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한 요지 현황파악과 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으나 여전히 감상도자(鑑賞陶磁)라는 관점도 유지되었다. 특히 도아회(匋雅會), 도자기연구회(陶磁器硏究會), 채호회(彩壺會) 등을 중심으로 감상, 품평활동과 도자사적인 연구를 병행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고려청자를 도자산업 진흥을 위한 중국 도자기 연구의 부수적인 연구대상으로 다루면서 비색청자를 생산할 수 있었던 기술적 요인과 문양소재의 원류를 찾는 논문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1928년과 1933년 각각 강진과 부안 청자요지가 발굴되면서 1930년대부터 1945년 까지는 그동안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고려시대의 시기별 변화, 고려와 중국의 문헌사료 분석, 소비지 출토 편년(編年)유물, 간지(干支)명을 비롯한 명문(銘文)청자 연구 등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해갔다. 오늘날의 도자사 연구, 문헌사 연구, 고고학적 연구와 같이 분야가 세분화된 단행본들이 출간되었다. 그중에서 나카오 만죠(中尾万三)는 중국 도자기 역사에 대한 지식을 배경으로 중국과 고려의 영향관계, 원류 규명, 시기구분 등 미술사적 시각에서 연구한 반면, 노모리 켄은 고고학적 조사 결과를 세부항목으로 분류하고 정리, 비교하는 방식이었다. 서로 다른 연구 방식을 취했으나 두 사람의 연구 결과는 광복 이후 국내 도자사 연구의 토대를 형성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viewpoint tha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art history, this paper examines how and in what background the past investigation of kiln sites and Goryeo celadon started, what changes occurred during each period, ...

      From the viewpoint tha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art history, this paper examines how and in what background the past investigation of kiln sites and Goryeo celadon started, what changes occurred during each period, and what the changes were, which have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papers.
      The past investigation of kiln sites and research on Goryeo celadon started from the broad concept of the theory of perishment of Joseon art set by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believed that arts from Goryeo or post-Joseon Dynasty degenerated, and the investigation of anthrop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colony. Those involved in this work included professors and students from Tokyo Imperial University, ceramic technique developers and ceramic collectors, and they worked by establishing research organizations. The domestic excavation investigation of kiln sites was conducted by Yiwangjik (Office of YiRoyal-Family) Museum and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rom the 1910s to 1930s in the kiln sites for celadon, Buncheongsagi, and white porcelain in Gangjin, Hakbong-ri of Gongju, Bunwon-ri of Gwangju, Yucheon-ri and Jinseo-ri of Buan, and Sabu-dong and Gisan-dong of Goryeong. However, the final excavation report, which is essential, has not been found. According to the research papers between 1923 and 1925, the current status of 74 locations for kiln sites of celadon in Gangjin was confirmed and the excavation materials from 1914 for kiln sites in Gangjin were recorded. Thus, the absence of excavation reports for each kiln site could be grounds to assume that the materials were deliberately discarded or eliminated b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awareness of and research on Goryeo celadon, which had been an object of collection and appreciation as an antique from the late 19th century, have shown changes over a time period of about 50 years, along with the accumulation of materials from kiln site investigations. The period from the late 19th century until the 1900s was be fore the full-scale kiln site investigation began. At that time, Goryeo celadon was just regarded as an object of collection and appreciation as high priced antique. Only old items pass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and individual collections were analyzed to arrange genealogy and classify types from the ideal viewpoint of Korean ceramics history. Between the 1910s and 1920s, the full-scale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olon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Japanese foreign expansion. Although the study on ceramics was carried out based on investig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kiln sites thr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 it also maintained the perspective that ceramics should be appreciated. Particularly, the research on ceramics in China, Japan and Korea was carried out with research organizations at the center, such as Doahoe Association, Research Association for Ceramics and Chaehohoe Association. A positive feature of those organizations was that they combined appreciation, criticism activities, and research on ceramic history. A research paper was published regarding the search for technical elements with which celadon glaze could be produced and the basis of pattern materials by covering Goryeo celadon as an ancillary research object of Chinese ceramic research to promote the ceramic industry.
      In 1928 and 1933 respectively, kiln sites for celadon were excavated in Gangjin and Buan. Thu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930s and 1945, the scope of research was expand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until then, into inscription celadon research including changes over time in the Goryeo Dynasty, literature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of Goryeo and China, excavation chronology relics of consumption sites, and research on celadons in which letters are inscribed such as the names of the Chinese zodiac. Like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일제강점기 요지조사 과정과 현황
      • Ⅲ. 요지조사의 배경과 연구경향
      • Ⅳ. 일제강점기 고려청자 연구의 의미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일제강점기 요지조사 과정과 현황
      • Ⅲ. 요지조사의 배경과 연구경향
      • Ⅳ. 일제강점기 고려청자 연구의 의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