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류기억체계와 팀 성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Team Performance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43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beyo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crucial issues in future society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propo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TMS), and team performance using generative AI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behavior, at a time when the value of AI is being recogniz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 theoretical proposal, empiric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learning behavior using generative AI on team performance, and the role of transactive memory systems in the proces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moother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I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in the future.
      번역하기

      In the era beyo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crucial issues in future society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propo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

      In the era beyo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crucial issues in future society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propo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TMS), and team performance using generative AI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behavior, at a time when the value of AI is being recogniz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 theoretical proposal, empiric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learning behavior using generative AI on team performance, and the role of transactive memory systems in the proces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moother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I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상묵, "항공사 객실승무원 팀의 특성이 교류기억체계(TMS)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류기억체계의 매개효과" 관광경영학회 23 (23): 1-22, 2019

      2 이지원,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교류기억체계(TMS)기반 협력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93-1003, 2017

      3 오원경,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대한 TMS의 매개효과" 한국경영학회 46 (46): 213-233, 2017

      4 권정언 ; 우형록, "팀의 양면적 활동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탐색, 활용의 균형과 조합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학회 44 (44): 515-542, 2015

      5 최재훈 ; 김문중, "팀 학습행동과 정보교류체제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응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1-23, 2015

      6 이희옥 ; 정동섭, "팀 양면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산업개발연구소 38 (38): 92-100, 2022

      7 윤현주 ; 김민수, "팀 내 구성원들 간 협업에 있어서 활력의 역할:팀 내 의사소통 및 업무협조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30 (30): 101-123, 2022

      8 허문구, "지식탐색과 조직양면성"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95-115, 2015

      9 김효정 ; 최원용, "조직학습 프로세스에서 활용과 탐험의 조합과 균형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31 (31): 201-224, 2018

      10 송재준 ; 김문중 ; 범상규, "정보교류체제와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827-2850, 2013

      1 강상묵, "항공사 객실승무원 팀의 특성이 교류기억체계(TMS)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류기억체계의 매개효과" 관광경영학회 23 (23): 1-22, 2019

      2 이지원,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교류기억체계(TMS)기반 협력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93-1003, 2017

      3 오원경,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대한 TMS의 매개효과" 한국경영학회 46 (46): 213-233, 2017

      4 권정언 ; 우형록, "팀의 양면적 활동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탐색, 활용의 균형과 조합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학회 44 (44): 515-542, 2015

      5 최재훈 ; 김문중, "팀 학습행동과 정보교류체제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응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1-23, 2015

      6 이희옥 ; 정동섭, "팀 양면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산업개발연구소 38 (38): 92-100, 2022

      7 윤현주 ; 김민수, "팀 내 구성원들 간 협업에 있어서 활력의 역할:팀 내 의사소통 및 업무협조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30 (30): 101-123, 2022

      8 허문구, "지식탐색과 조직양면성"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95-115, 2015

      9 김효정 ; 최원용, "조직학습 프로세스에서 활용과 탐험의 조합과 균형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31 (31): 201-224, 2018

      10 송재준 ; 김문중 ; 범상규, "정보교류체제와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827-2850, 2013

      11 이정선 ; 서보밀 ; 권영옥, "인공지능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및 의사결정자의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7 (27): 231-252, 2021

      12 정용균, "인공지능과의 협업에 대한 인간의 인식: 대학생 집단과 40-50대 장년인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21 (21): 225-240, 2020

      13 이홍 ; 이현, "양면성(Ambidexterity)을 통한 역동적 역량의 구현:역사적 조망과 이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핵심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17 (17): 95-124, 2009

      14 양지훈 ; 양성병 ; 윤상혁, "생성형AI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텍스트 마이닝과 ChatGPT를 활용하여" 한국경영정보학회 25 (25): 125-144, 2023

      15 한정원 ; 김문중, "공유멘탈모델, 정보교류체제, 팀 효능감과 팀 성과와의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30 (30): 47-80, 2016

      16 신경식 ; 서아영, "가상 팀의 교류활성기억 시스템과 팀 성과의 관계:가상 팀 속성을 선행요인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137-166, 2010

      17 Tang, F., "Who knows what in NPD teams : communication context, mode, and task contingencies" 32 (32): 404-423, 2015

      18 Zhang, Z., "Transactive memory system links work team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92 (92): 1722-1730, 2007

      19 Wegner, D. M., "Theories of Group Behavior" Springer Verlag 185-208, 1987

      20 Choi, S. Y.,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s on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and team performance : a field study" 34 (34): 855-870, 2010

      21 Park, Y. W., "Sustainable human–machine collaborations in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adoption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japan and germany" 14 (14): 10583-, 2022

      22 Lewis, K., "Measuring transactive memory systems in the field" 88 (88): 587-604, 2003

      23 Ye, Y., "Improved trust in human-robot collaboration with ChatGPT" 11 : 55748-55754, 2023

      24 남승현 ; 김태하, "IT 탐색 및 활용 역량이 조직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중소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21 (21): 287-300, 2020

      25 Lee, O., "How does IT ambidexterity impact organizational agility?" 26 (26): 398-417, 2015

      26 Korzynski, P.,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new context for management theories : Analysis of ChatGPT" 31 (31): 3-13, 2023

      27 Lim, W. M., "Generative AI and the future of education : Ragnarök or reformation? A paradoxical perspective from management educators" 21 (21): 100790-, 2023

      28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GPT-4 개요 및 특징" (특집) : 1-7, 2023

      29 March, J. G.,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2 : 71-87, 1991

      30 Li, Y.,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learning in transactive memory systems and project performance" 50 : 304-313, 2013

      31 Benner, M. J., "Exploitation, exploration, and process management : the productivity dilemma revisited" 28 : 238-256, 2003

      32 Yan, B., "Communication in transactive memory systems : a review and multidimensional network perspective" 52 (52): 3-32, 2021

      33 Wilson, H. J., "Collaborative intelligence: humans and AI are joining forces" 1-11, 2018

      34 Pavlik, J. V., "Collaborating with ChatGPT: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journalism and media education" 78 (78): 2023

      35 Kooli, C., "Chatbots in education and research : a critical examination of ethical implications and solutions" 15 (15): 5614-, 2023

      36 이은영, "ChatGPT, 기회인가 위협인가:ChatGPT 이해와 영향 분석" 1-22, 202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