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게이티드 커뮤니티 조성이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 내 아파트단지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Gated Communities on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in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4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ated communities with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in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 of Seoul,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ulting changes of the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gated communit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on-site survey and drawing documentation, and the changes of th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were calculated and visualized through the service area network analysis using GIS. As a result, each of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s and apartment complexes showed similar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ated community, which affected th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The stronger the control of outsiders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or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decreased, and the larger the complexes, the greater the degree of decrease. Finally, the study provides fundamental implications such as improving the openness of complexes, planning small-scale complexes, and maintaining continu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for the exclusiveness of today’s apartment complexes and the disconnection from surrounding area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ated communities with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in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 of Seoul,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ulting changes of the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ated communities with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in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 of Seoul,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ulting changes of the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gated communit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on-site survey and drawing documentation, and the changes of th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were calculated and visualized through the service area network analysis using GIS. As a result, each of the Urban Renewal Acceleration Districts and apartment complexes showed similar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ated community, which affected th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The stronger the control of outsiders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ore walking accessibility to elementary schools decreased, and the larger the complexes, the greater the degree of decrease. Finally, the study provides fundamental implications such as improving the openness of complexes, planning small-scale complexes, and maintaining continu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for the exclusiveness of today’s apartment complexes and the disconnection from surrounding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 내 아파트단지의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게이티드 커뮤니티조성현황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파트단지의 현장조사 및 도면화를 통해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조성현황을 분석하였으며, GIS를 활용한 서비스 권역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의 변화를 산출하고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각 재정비촉진지구 및 아파트단지는 게이티드 커뮤니티 특성, 요소및 방법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이것이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파트단지의 외부인 통제가 강할수록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이 저하되었으며, 단지의 규모가 클수록 저하 정도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늘날 아파트단지의배타성 및 주변 지역과의 단절 문제에 대해 단지의 개방성 향상, 소규모 단지화, 지속적 관리및 감독 유지 등의 본질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 내 아파트단지의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게이티드 커뮤니티조성현황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 내 아파트단지의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게이티드 커뮤니티조성현황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파트단지의 현장조사 및 도면화를 통해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조성현황을 분석하였으며, GIS를 활용한 서비스 권역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의 변화를 산출하고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각 재정비촉진지구 및 아파트단지는 게이티드 커뮤니티 특성, 요소및 방법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이것이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파트단지의 외부인 통제가 강할수록 초등학교 보행접근성이 저하되었으며, 단지의 규모가 클수록 저하 정도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늘날 아파트단지의배타성 및 주변 지역과의 단절 문제에 대해 단지의 개방성 향상, 소규모 단지화, 지속적 관리및 감독 유지 등의 본질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ESRI"

      2 경재웅, "폐쇄형 주택단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안"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6 : 147-166, 2015

      3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4 남용훈,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5-18, 2005

      5 윤용기, "초등학교 통학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0 (10): 20-29, 2011

      6 최현정, "주택재건축사업의 주거이동에 따른 주변지역 전세가격의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03-113, 2004

      7 신현철, "재건축아파트 입지가 주변지역 아파트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8 김지은, "아파트단지의 물리적 폐쇄성과 사회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103-111, 2012

      9 조성희, "아파트 단지공간구성에서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45-56, 2006

      10 안영수, "신촌역 대중교통전용지구 설치에 따른 역세권 보행 접근도변화 실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243-256, 2015

      1 "한국ESRI"

      2 경재웅, "폐쇄형 주택단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안"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6 : 147-166, 2015

      3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4 남용훈,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5-18, 2005

      5 윤용기, "초등학교 통학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10 (10): 20-29, 2011

      6 최현정, "주택재건축사업의 주거이동에 따른 주변지역 전세가격의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03-113, 2004

      7 신현철, "재건축아파트 입지가 주변지역 아파트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8 김지은, "아파트단지의 물리적 폐쇄성과 사회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주거학회 23 (23): 103-111, 2012

      9 조성희, "아파트 단지공간구성에서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45-56, 2006

      10 안영수, "신촌역 대중교통전용지구 설치에 따른 역세권 보행 접근도변화 실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243-256, 2015

      11 김석경, "시큐리티를 고려한 커뮤니티의 대명사 '게이티드 커뮤니티'" (281) : 160-169, 2004

      12 남영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폐쇄적 공동체의 생태와 특성 비교: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51-61, 2007

      13 김동준, "서울역 고가도로 보행화 사업이 주변 지역의 보행 접근성과 유동인구 이동패턴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부동산원 3 (3): 119-134, 2017

      14 조민선, "서울시 주택재개발 아파트단지의 경계부 구성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185-198, 2010

      15 배선혜,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단지의 공간 분리 특성" SH공사 도시연구원 7 (7): 75-89, 2017

      16 "동대문재정비촉진지구"

      17 고세범, "단독주택지내 아파트 건설에 따른 주거블록의 변화 - 서울시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5-20, 2012

      18 "네이버 부동산"

      19 서수정,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7, 2009

      20 신예지, "근린주구이론에서 바라본 주거단지 계획요소의 패턴변화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21 도광훈, "근린주구 계획개념의 한국적 적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5

      22 최정민, "게이티드커뮤니티 주거단지와 그 실태에 관한 연구 : 미국 및 일본의 저층 주거단지의 사례" 한국주택학회 15 (15): 99-132, 2007

      23 김석경,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단지환경적 특성 및 범죄안전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61-70, 2007

      24 정헌목, "게이티드 커뮤니티의 공간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한국의 수용양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서울연구원 13 (13): 37-56, 2012

      25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