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좋은 수업 만들기: = Making Good Instruc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4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의 필요성과 함께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은 수업 인가에 대한 물음을 안고, 유아교육학과 특성에 비추어 수업과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교수자의 성찰을 반영해가는 질적 실행연구
      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05명과 동료교수 2인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초부터 2017년 1월 중순이며,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수업일지와 수업관찰자료, 학생과 동료교수와의
      면담, 중간 강의평가 분석 보고서, 수업요구도조사와 성찰노트 등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을 통해 좋은 수업을 만들고자 노력했던 과정은 교수자에게 학습자 중심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게 하였으며, 국가정책에 맞추는 수동적
      인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과의 소통과 이해를 중심으로 좋은 수업을 경험하게 하였다.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은 자신이 3년 동안 경험한 유아교육이라는 커다란 지식과 삶속에서 본 교과목의 교육목적과 내용을 연계하는 수업에 의미를 두었다. 이에 본
      교과가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과 특성에 맞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정체성이 재정립되어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의 필요성과 함께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은 수업 인가에 대한 물음을 안고, 유아교육학과 특성에 비추어 수업과정을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의 필요성과 함께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은 수업 인가에 대한 물음을 안고, 유아교육학과 특성에 비추어 수업과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교수자의 성찰을 반영해가는 질적 실행연구
      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05명과 동료교수 2인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초부터 2017년 1월 중순이며,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수업일지와 수업관찰자료, 학생과 동료교수와의
      면담, 중간 강의평가 분석 보고서, 수업요구도조사와 성찰노트 등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을 통해 좋은 수업을 만들고자 노력했던 과정은 교수자에게 학습자 중심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게 하였으며, 국가정책에 맞추는 수동적
      인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과의 소통과 이해를 중심으로 좋은 수업을 경험하게 하였다.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은 자신이 3년 동안 경험한 유아교육이라는 커다란 지식과 삶속에서 본 교과목의 교육목적과 내용을 연계하는 수업에 의미를 두었다. 이에 본
      교과가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과 특성에 맞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과목에 대한 정체성이 재정립되어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for reflecting instructors’ introspection by analyzing instructional process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 question on what is the good instruction with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Study participants are 105 junior students enrolled in and 2 professors teaching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junior college in Gyeonggi-do.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early September 2016 through the middle of January 2017, and for securing validity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data such as class diary, class observation data, interview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nalysis report of interim evaluation of lecture, survey of learners needs for instruction, introspection note etc. The process of efforts to make good instruc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led instructors to have learner-centered reflective thinking, enabling to experience good instruc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with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breaking from passive classes adjusting to national policies.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t meaning on the class that connect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ubject in profou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ife they experienced for 3 years. Thus, ident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shall be reestablished for the subject to become good instruction that is
      meaningful to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for reflecting instructors’ introspection by analyzing instructional process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 question on what is the good instruction...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for reflecting instructors’ introspection by analyzing instructional process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 question on what is the good instruction with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Study participants are 105 junior students enrolled in and 2 professors teaching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junior college in Gyeonggi-do.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early September 2016 through the middle of January 2017, and for securing validity of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data such as class diary, class observation data, interview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nalysis report of interim evaluation of lecture, survey of learners needs for instruction, introspection note etc. The process of efforts to make good instruc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led instructors to have learner-centered reflective thinking, enabling to experience good instruc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with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breaking from passive classes adjusting to national policies.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t meaning on the class that connect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ubject in profound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ife they experienced for 3 years. Thus, identity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ubjec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shall be reestablished for the subject to become good instruction that is
      meaningful to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실행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실행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2 이용숙, "현장연구 전체 과정에서의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활용방법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9 (49): 3-50, 2016

      3 권혜진,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육교사 자질에 대한 시설장의 소회(所懷)"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151-178, 2013

      4 박철, "한국, 중국, 몽골, 캄보디아 대학생들의 창업성향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2 (32): 225-246, 2010

      5 이현숙,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15 (15): 65-84, 2012

      6 박주현,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의 국내외 동향연구" 5 (5): 36-69, 2014

      7 백현기, "창업자의 윤리적 리더십" 공동체 2015

      8 노기엽, "창업 마케팅론" 학현사 2016

      9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10 유혜령, "질적 연구에서 의미해석 과정의 성격과 원리: 하이데거와 가다머 해석학에 기초하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1-40, 2016

      1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2 이용숙, "현장연구 전체 과정에서의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활용방법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9 (49): 3-50, 2016

      3 권혜진, "현장에서 요구되는 보육교사 자질에 대한 시설장의 소회(所懷)"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151-178, 2013

      4 박철, "한국, 중국, 몽골, 캄보디아 대학생들의 창업성향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32 (32): 225-246, 2010

      5 이현숙,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15 (15): 65-84, 2012

      6 박주현,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의 국내외 동향연구" 5 (5): 36-69, 2014

      7 백현기, "창업자의 윤리적 리더십" 공동체 2015

      8 노기엽, "창업 마케팅론" 학현사 2016

      9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10 유혜령, "질적 연구에서 의미해석 과정의 성격과 원리: 하이데거와 가다머 해석학에 기초하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1-40, 2016

      11 안지혜,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63-191, 2014

      12 전가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좋은 수업 만들어 가기: 해석학적 질문과 대화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59-110, 2014

      13 홍은경,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Mentoring)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4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15 신은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35-154, 2007

      16 서혜정, "예비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관점 형성을 위한 실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희연,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35-255, 2004

      18 오연주,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99-122, 2005

      19 김희영, "수업디자인 모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 개선의 실행연구" 기본간호학회 22 (22): 169-179, 2015

      20 허혜경,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質)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4) : 21-41, 2010

      21 한국방송공사, "대한민국 창업 프로젝트-실리콘 밸리 성공 DNA를 찾아라(DVD)"

      22 박광오, "대학의 창업교육이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미치는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33 (33): 233-247, 2014

      23 유점석,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신입생 Orientation 기업가정신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1 (11): 91-104, 2016

      24 강재학,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12, 2015

      25 강재학,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기회인식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93-507, 2016

      26 조준희, "대학생 창업가 정신 연구" 5 (5): 1-12, 2015

      27 이용숙,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729-770, 2012

      28 이인숙, "대학 내 외식창업 지원요인이 대학생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155-166, 2014

      29 한국방송공사, "다큐공감-덴마크 행복호떡가게(DVD)"

      30 조영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97-208, 2014

      31 오영미, "기업가정신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199-221, 2014

      32 이상석, "기업가정신과 창업" 학현사 2014

      33 김학수, "기업가정신과 정책환경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19 (19): 45-74, 2010

      34 한유진, "기업가정신 및 창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21-131, 2016

      35 김용태,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 및 교육실태 비교연구" 1 (1): 1-12, 2013

      36 강지영,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197-224, 2011

      37 Lincoln, Y. S., "But is it rigorous? Trustworthiness and authenticity in naturalistic evaluation" 1986 (1986): 73-84, 1986

      38 Lewin, K.,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2 (2): 34-46, 1946

      39 육아정책연구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연수 자료집" 보건복지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