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검색중립성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 주요 쟁점과 찬반 논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8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검색중립성’ 논의는 검색 알고리즘의 투명성 문제는 물론 검색결과의 수동조작(manipulate and structure) 문제, 자기 서비스 우선 노출 문제, 검색사업자의 대형화문제 등 다양한 국면으로 진행 중이다. 일각에서는 검색사업자를 견제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을 강화하거나 사전규제 등 산업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검색엔진이 우리들의 실생활과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규제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사안의 중요성과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를 뒷받침할 이론이나 철학, 근거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규제 논의를 ‘검색중립성’에 맞추고, 그 동안 진행된 선행연구 25편의 문헌분석을 통해 검색중립성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찬반 논쟁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검색중립성 논의의 현재를 확인하고 미래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검색중립성’ 논의는 검색 알고리즘의 투명성 문제는 물론 검색결과의 수동조작(manipulate and structure) 문제, 자기 서비스 우선 노출 문제, 검색사업자의 대형화문제 등 다양한 국면으로 진...

      ‘검색중립성’ 논의는 검색 알고리즘의 투명성 문제는 물론 검색결과의 수동조작(manipulate and structure) 문제, 자기 서비스 우선 노출 문제, 검색사업자의 대형화문제 등 다양한 국면으로 진행 중이다. 일각에서는 검색사업자를 견제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을 강화하거나 사전규제 등 산업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검색엔진이 우리들의 실생활과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규제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사안의 중요성과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를 뒷받침할 이론이나 철학, 근거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규제 논의를 ‘검색중립성’에 맞추고, 그 동안 진행된 선행연구 25편의 문헌분석을 통해 검색중립성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찬반 논쟁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검색중립성 논의의 현재를 확인하고 미래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arch neutrality debates consist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transparency of search algorithm to anti-competition and accountability of big search engines. Advocates in regulating search engines have demanded that regulators or antitrust enforcers should ensure search neutrality. On the other hand, opponents have insisted that “neutral” standard is unrealistic and no one can make the judgment. In South Korea, there also have been debates on search neutrality for many years,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f investigating (or supporting and opposing) this issue. This paper reviews 25 literatures that a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journals. This paper analyzes key issues and arguments of search neutrality and attempts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arguments.
      번역하기

      Search neutrality debates consist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transparency of search algorithm to anti-competition and accountability of big search engines. Advocates in regulating search engines have demanded that regulators or antitrust enforcers ...

      Search neutrality debates consist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transparency of search algorithm to anti-competition and accountability of big search engines. Advocates in regulating search engines have demanded that regulators or antitrust enforcers should ensure search neutrality. On the other hand, opponents have insisted that “neutral” standard is unrealistic and no one can make the judgment. In South Korea, there also have been debates on search neutrality for many years,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f investigating (or supporting and opposing) this issue. This paper reviews 25 literatures that ar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journals. This paper analyzes key issues and arguments of search neutrality and attempts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argu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규, "인터넷포털의 사전규제 필요성과 시장획정: 인터넷검색광고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2 (22): 33-84, 2015

      2 조성국, "인터넷 검색사업자의 경쟁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 검색중립성 논의와 규제사례 및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경쟁법학회 31 : 268-305, 2015

      3 안정민, "검색광고 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 이용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153-180, 2014

      4 곽주원, "검색 중립성에 대한 논의" 한국경쟁법학회 28 : 246-273, 2013

      5 Oliver, D., "The Federal Trade Commission’s investigation of Google" Public Interest Institute 2012

      6 Hazan, J. G., "Stop being evil : A proposal for unbiased Google search" 111 (111): 789-820, 2013

      7 Grimmelmann, J., "Some skepticism about search neutrality" New York Law School Legal Studies 435-459, 2011

      8 Jamison, M. A., "Should Google search be regulated as a public utility?" SSRN working paper

      9 Lao, M., "Search, essential facilities, and the antitrust duty to deal" 11 (11): 275-319, 2013

      10 Hyman, D. A., "Search neutrality and search bias: An empirical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architecture and labeling"

      1 이상규, "인터넷포털의 사전규제 필요성과 시장획정: 인터넷검색광고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2 (22): 33-84, 2015

      2 조성국, "인터넷 검색사업자의 경쟁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 검색중립성 논의와 규제사례 및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경쟁법학회 31 : 268-305, 2015

      3 안정민, "검색광고 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 이용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153-180, 2014

      4 곽주원, "검색 중립성에 대한 논의" 한국경쟁법학회 28 : 246-273, 2013

      5 Oliver, D., "The Federal Trade Commission’s investigation of Google" Public Interest Institute 2012

      6 Hazan, J. G., "Stop being evil : A proposal for unbiased Google search" 111 (111): 789-820, 2013

      7 Grimmelmann, J., "Some skepticism about search neutrality" New York Law School Legal Studies 435-459, 2011

      8 Jamison, M. A., "Should Google search be regulated as a public utility?" SSRN working paper

      9 Lao, M., "Search, essential facilities, and the antitrust duty to deal" 11 (11): 275-319, 2013

      10 Hyman, D. A., "Search neutrality and search bias: An empirical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architecture and labeling"

      11 Crane, D. A., "Search neutrality and referral dominance" 8 (8): 459-468, 2012

      12 Vaughan, L., "Search engine coverage bias: Evidence and possible causes" 40 : 693-707, 2004

      13 Goldman, E., "Revisiting search engine bias" 38 (38): 96-110, 2011

      14 Moffat, V. R., "Regulating search" 22 (22): 475-513, 2009

      15 Andrejevic, M., "Public service media utilities : Rethinking search engines and social networking as public goods" 146 : 123-132, 2013

      16 Ammori, M., "Proposed remedies for search bias : Search neutrality and other proposals in the Google inquiry" 15 (15): 8-31, 2012

      17 Lao, M., "Neutral search as a basis for antitrust action?" 26 (26): 1-12, 2013

      18 Pasquale, F., "Internet nondiscrimination principles: Commercial ethics for carriers and search engines" The University of Chicago Legal Forum

      19 Manne, G. A., "If search neutrality is the answer, what’s the question?" ICLE Antitrust & Consumer Protection Program White Paper Series

      20 Bracha, O., "Federal Search Commission? Access, fairness and accountability in the law of search" 93 (93): 1-69, 2008

      21 Litan, R., "Are Google’s search results unfair or deceptive under section 5 of the FTC Act?"

      22 Edelman, B., "Advertising disclosures : Measuring labeling alternatives in internet search engines" 24 : 75-89,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와 사회 -> 정보사회와 미디어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 Information Society & Medi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93 1.39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