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오프라인 구독서비스 이용과 선택이 지속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Subscription Services on Continued 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4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즈니스 환경은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경제주체인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목표 고객층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데 중·장년층 보다는 MZ세대라 불리우는 20∼30대 층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매출향상 노력을 진행해 왔다. 이처럼 경제의 중심축으로 떠오른 MZ세대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 하며 소유보다는 공유의 방식을 더 선호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런 MZ세대의 소비행태에 소유보다는 공유라는 소비행태가 더해져 기업은 MZ세대의 소비 촉진을 위한 방법론으로 또 기성세대와의 차별화된 소비트렌드로 구독경제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라나라 구독경제 현황을 분석하고 구독서비스로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기 위한 기업들에게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접근을 통해 구독경제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구독서비스라는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독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또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떤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지속적인 구독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구독경제로의 혁신을 꾀하는 기업들에게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런 연구 과정안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요인으로 세분화하면 구독경제라는 전체와 부분을 아우르는 연구결과 도출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에게 연구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시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방향성 결정과 연구모형 도출에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로 온라인 구독서비스와 온프라인 구독서비스를 설정하고 소비자들이 구독서비스의 이용형태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였다. 매개변수는 구독서비스 선택요인으로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방법 편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의 5가지 요인을 들고 구독서비스 이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독립변수로 지속이용을 선택하고 구독서비스 선택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런 연구과정 성별과 연령은 구독서비스 이용과 구독서비스 선택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하여 조절변수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변수들에 해당하는 요인들은 기존의 선행연구 분석으로 통해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항목으로 개발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본 조사는 30일간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0부를 회수하였다. 이중 무응답, 불성실 답변을 제외하고 총 215부를 연구모형 검정에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 및 AMOS 23.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구독서비스는 이용상담 친절성 및 결제방식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 구독서비스는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독서비스선택요인은 지속이용에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우수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20대∼30대 MZ새대는 온라인 구독서비스 이용이 능숙한 세대이므로 구독서비스 이용에 비용지불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의 기기사용에 능숙하기에 이용의 불편함은 느끼지 않았으며 이용요금보다는 이용요금 지불방법의 다양성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다. 특히 구독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담에서 친절한 상담, 정확한 상담에 더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 구독서비스는 온라인 구독서비스와 달리 이용요금, 상담의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 등 여러 요인들이 구독서비스 선택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지속이용에는 요금합리성, 상담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과 여성 모두 온라인 구독서비스의 이용방법과 요금정잭, 편리성 등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다섯째, 20대와 30대의 온라인 구독서비스 이용에 다른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온라인 구독서비스에 있어 20대 보다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30대는 결제방식의 다양성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독서비스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서 가능성이 제시된 시기가 얼마되지 않아 연구결과를 객관화 하기 힘들다는 점, MZ세대의 특성이 정확히 연구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구독서비스 기업들의 매출증대를 위한 마케팅의 이론으로 선정하기에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점은 본 연구가 안고 있는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각광받고 있는 구독서비스에 대한 발전된 기업의 선택과 집중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미래 시장을 선점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즈니스 환경은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경제주체인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목표 고객층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데 중·장년층 보다는 MZ세대라 불리우는 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즈니스 환경은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경제주체인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목표 고객층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데 중·장년층 보다는 MZ세대라 불리우는 20∼30대 층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매출향상 노력을 진행해 왔다. 이처럼 경제의 중심축으로 떠오른 MZ세대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 하며 소유보다는 공유의 방식을 더 선호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런 MZ세대의 소비행태에 소유보다는 공유라는 소비행태가 더해져 기업은 MZ세대의 소비 촉진을 위한 방법론으로 또 기성세대와의 차별화된 소비트렌드로 구독경제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라나라 구독경제 현황을 분석하고 구독서비스로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기 위한 기업들에게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접근을 통해 구독경제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구독서비스라는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현재 구독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또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떤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지속적인 구독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구독경제로의 혁신을 꾀하는 기업들에게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런 연구 과정안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요인으로 세분화하면 구독경제라는 전체와 부분을 아우르는 연구결과 도출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에게 연구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시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방향성 결정과 연구모형 도출에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로 온라인 구독서비스와 온프라인 구독서비스를 설정하고 소비자들이 구독서비스의 이용형태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였다. 매개변수는 구독서비스 선택요인으로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방법 편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의 5가지 요인을 들고 구독서비스 이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독립변수로 지속이용을 선택하고 구독서비스 선택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런 연구과정 성별과 연령은 구독서비스 이용과 구독서비스 선택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하여 조절변수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변수들에 해당하는 요인들은 기존의 선행연구 분석으로 통해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항목으로 개발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은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본 조사는 30일간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0부를 회수하였다. 이중 무응답, 불성실 답변을 제외하고 총 215부를 연구모형 검정에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 및 AMOS 23.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구독서비스는 이용상담 친절성 및 결제방식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 구독서비스는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독서비스선택요인은 지속이용에 이용요금 합리성, 이용상담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우수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20대∼30대 MZ새대는 온라인 구독서비스 이용이 능숙한 세대이므로 구독서비스 이용에 비용지불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의 기기사용에 능숙하기에 이용의 불편함은 느끼지 않았으며 이용요금보다는 이용요금 지불방법의 다양성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다. 특히 구독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담에서 친절한 상담, 정확한 상담에 더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프라인 구독서비스는 온라인 구독서비스와 달리 이용요금, 상담의 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 등 여러 요인들이 구독서비스 선택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지속이용에는 요금합리성, 상담친절성, 결제방식 다양성 및 부가서비스 우수성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과 여성 모두 온라인 구독서비스의 이용방법과 요금정잭, 편리성 등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다섯째, 20대와 30대의 온라인 구독서비스 이용에 다른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온라인 구독서비스에 있어 20대 보다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30대는 결제방식의 다양성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독서비스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서 가능성이 제시된 시기가 얼마되지 않아 연구결과를 객관화 하기 힘들다는 점, MZ세대의 특성이 정확히 연구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구독서비스 기업들의 매출증대를 위한 마케팅의 이론으로 선정하기에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점은 본 연구가 안고 있는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각광받고 있는 구독서비스에 대한 발전된 기업의 선택과 집중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미래 시장을 선점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목 차 ⅰ
      • 표 목 차 ⅲ
      • 그림목차 ⅳ
      • 목 차
      • 목 차 ⅰ
      • 표 목 차 ⅲ
      • 그림목차 ⅳ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9
      • 1. 구독경제 9
      • 1) 구독경제 개념 9
      • 2) 구독경제 현황 11
      • 3) 구독경제 활성화 14
      • 4) 구독경제 선행연구 15
      • 2. 구독서비스 17
      • 1) 구독서비스 개념 17
      • 2) 구독서비스 선행연구 19
      • 3. 구매 의사결정 21
      • 1) 구매 의사결정 과정 개념 21
      • 2) 구매 의사결정 선행연구 23
      • 4. 지속이용 25
      • 1) 지속이용 개념 및 정의 25
      • 2) 지속이용 선행연구 25
      •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27
      • 1. 연구모형 27
      • 2. 연구가설 29
      • 3. 연구변수의 정의 38
      • Ⅳ. 실증분석 42
      • 1. 설문의 구성 및 자료수집 42
      • 1) 설문지 구성 42
      • 2) 자료 수집 44
      • 3) 통계분석 방법 46
      • 2. 연구 통계 분석 47
      • 1) 설문 응답자의 구독서비스 이용현황 47
      • 2)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53
      • 3) 설문 측정항목의 일반적 특성 55
      • 4)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7
      • 3. 연구모형의 적합성 및 연구가설의 검정 63
      • 1) 연구모형의 적합성 63
      • 2) 연구가설의 검정 64
      • 4. 연구결과 분석 77
      • Ⅴ. 결 론 82
      •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82
      • 2. 연구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86
      • 참 고 문 헌 88
      • 영 문 초 록 97
      • 부 록 10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이주, 허경옥, 정순회, 이희숙, 김영신, "소비자 의사결정", 서울:교문사, 2000

      2 고광열, "MZ세대의 트렌드 코드", 서울: 밀리언서재, 2021

      3 김호정, 허전, "SPSS 23 통계분석 및 해설", 탑북스, 2016

      4 게이브 와이저트, 티엔 추오, "구독과 좋아요의 경제학", 부키. 박선령(역), 2019

      5 방송통신위원회, "2018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8

      6 송민호, 이민규, "VR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16(3): 439-449, 2018

      7 변미영, "렌탈서비스 기업의 신뢰 향상 요인", 한눈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14(1): 1-4, 2014

      8 김정선, 송태민, "빅데이터 기술수용의 초기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4(9): 538-555, 2014

      9 강영식, 이희석, "온라인 서비스 지속사용의 이해와 예측", e-비즈니스연구. ; 8(1): 63-84, 2007

      10 김민정, 이경옥, 김영숙,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 14(2): 277-292, 2005

      1 강이주, 허경옥, 정순회, 이희숙, 김영신, "소비자 의사결정", 서울:교문사, 2000

      2 고광열, "MZ세대의 트렌드 코드", 서울: 밀리언서재, 2021

      3 김호정, 허전, "SPSS 23 통계분석 및 해설", 탑북스, 2016

      4 게이브 와이저트, 티엔 추오, "구독과 좋아요의 경제학", 부키. 박선령(역), 2019

      5 방송통신위원회, "2018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8

      6 송민호, 이민규, "VR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16(3): 439-449, 2018

      7 변미영, "렌탈서비스 기업의 신뢰 향상 요인", 한눈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14(1): 1-4, 2014

      8 김정선, 송태민, "빅데이터 기술수용의 초기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4(9): 538-555, 2014

      9 강영식, 이희석, "온라인 서비스 지속사용의 이해와 예측", e-비즈니스연구. ; 8(1): 63-84, 2007

      10 김민정, 이경옥, 김영숙,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 14(2): 277-292, 2005

      11 Netflix, "Netflix Releases fourth-Quarter 2018 Financial Results", 2018

      12 정용길, 조연수, "공유경제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9(3): 183-196, 2019

      13 산업연구원, "서비스경제화와 지역 서비스산업 발전전략", KIET 산업연구원, 2018

      14 정동훈, "아바타(Avatar) 아이템 구매의 심리학적 분석", 한국언론학보. ; 48(6): 110-137, 2019

      15 이도경, "생활용품 렌탈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소비자원조사보고서. ; 1(1): 1-75, 2014

      16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17 Cronbach ,, "L. J.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16 ( 3 ) : 297-334, 1951

      18 신유진, 함민정, 이상우, "OTT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 18(3): 124-137, 2018

      19 박복길, 주정민, "정보기술수용모형과 쌍방향TV 채택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 50(1): 332-354, 2016

      20 김병수, 한경석, 안상근, 박수경, 김성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9(8): 213-228, 2017

      21 김가영, "‘밀레니얼(Millennial)’ 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인문사회과학연구. ; 20(1): 209-230, 2019

      22 두경자, 정혜선, "구매의사결정 과정시 가족참여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 학회지. ; 5(1): 15-31, 2001

      23 백형근, 전범수, 이정기, "대학생들의 N-스크린 유료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한국방 송학보. ; 27(1): 94-130, 2013

      24 박조원, 이수연,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 33(2): 65-74, 2016

      25 김민선, 조윤호, 정성민, 방정혜, "온라인쇼핑에서 마일리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유통정보학회지. ; 14(4): 5-28, 2011

      26 김지혜, "‘금융도 이제 넷플릭스처럼’ 금융권 구독 시대", LG CNS, 2019

      27 이현지, 조석현, 조석현, 이현지, "지상파 방송 실시간 시청과 OTT VOD 이용 간의 관계",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 18(8): 315-325, 2018

      28 오희선, 이호정, "패션 렌탈서비스 속성과 소비자 경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 21(1): 471-482, 2020

      29 김승인, 김현우, "구독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 18(9): 331-336, 2020

      30 봉미선, 설진아, "IPTV 수용자의 이용행태와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 정보학보. ; 46: 485-510, 2009

      31 김난도, 서유현, "구독서비스 유형별 소비자 만족도 및 해지 사유 연구", 디지털융복 합연구. ; 19(9): 125-133, 2012

      32 Chin ,,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 : 295-336, 2015

      33 구동모,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응용한 인터넷 쇼핑행동 고찰",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13(1): 141-170, 2003

      34 유연우, 최창호,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의 비교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 복합연구. ; 15(10): 103-111, 2017

      3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글로벌 OTT사업자의 국내진입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 영향",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8

      36 최창열, "제 4 차 산업혁명과 e-비즈니스 기업의 발전전략과 시사점", e-비즈니스 연구. ; 18(3): 39-54, 2017

      37 남태수, 진찬용, "기술수용모델 기반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 보통신학회논문지. ; 21(11): 2076-2082, 2017

      38 강봉준, 신건권, "m-러닝의 품질요인, 사용자만족도 및 사용의도 간의 관련성", 산업 경제연구. ; 31(3): 841-864, 2018

      39 곽은아, 최진호, "OTT 서비스 속성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사업자 경쟁관계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20(2): 121-169, 2019

      40 박현진, 전성률, "부정적 구전정보의 유형에 따른 구전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소 비자학연구. ; 14(4): 21-44, 2003

      41 성동규, 이강유,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8(12): 660-675, 2018

      42 배상욱, 최영민, "온라인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17(2): 307-314, 2016

      43 박철, 유재현,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 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9(2): 31-50, 2010

      44 박주연, 유지훈,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 치는 요인 연구", 방송통신연구. ; 102: 46-79, 2018

      45 신건권,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SmartPLS 3.0 구조방정식모 델링", 청 람, 2018

      46 김종욱, 이원준, 박상철, "온라인 소비자 구매행동에서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 한 연구", 경영과학. ; 22(2): 51-76, 2005

      47 김승인, 문다영, "‘K-콘텐츠 발전 전략 연구 -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를 중심으로-’", 디 지털융복합연구. ; 17(2): 399-404, 2019

      48 류지영, 윤각,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광고 이용과 구전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 24(1): 297-318, 2013

      49 안서원, 하환호, 하영원, "선택집합의 크기와 구성이 비선택 옵션에 대한 선호에 미 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 31(1): 95-113, 2002

      50 이효상, "만족도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대한 고찰", 언론 과학연구. ; 19(1): 121-145, 2019

      51 Davis, "F. Perceived usefulness , perceived ease of use ,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 3 ) : 319-340 ., 1989

      52 Chuttur, "M. Y. Over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Origins , 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9 ( 37 ) : 9-37 ., 2009

      53 나우희, 동학림, "디지털콘텐츠 구독서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22(5): 755-766, 2021

      54 권신혜, 장병희, 김헌, "국내 코드커팅 소비자 세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 33(2): 67-103, 2019

      55 염민선, "멀티채널 환경에서 정보탐색채널과 구매채널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 13(9): 81-93, 2015

      56 박영근, 전춘화, 연광호, "IPTV특성이 소비자 시청만족도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 10(2): 191-205, 2010

      57 김대한, 박남기, "OTT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사 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 93: 77-110, 2016

      58 김한나, "의복추구 혜택에 따른 인터넷 구매결정 연기와 쇼핑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 32(5): 766-776, 2008

      59 이소영, 이현구, "일회성 소비재의 구독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 19(9): 157-168, 2021

      60 이윤선, "인터넷 쇼핑몰 외식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전략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저널, ; 28(9): 205-215, 2014

      61 이영일, 하환호, "상품구색에 따른 선택어려움과 예상된 후회감이 구매연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 29(6): 1-10, 2011

      62 강상길, 박원익, "모바일 환경에서 시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이용한 개인화된 음악 추천 서비스", 정보화연구. ; 10(2): 251-261, 2019

      63 구지은, "구독서비스의 프로모션에서 무료서비스 제공 시기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 29(4): 27-45, 2018

      64 백남길, "온라인 구독결제 서비스가 소비자의 지각가치와 구매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 23(2): 49-71, 2021

      65 이은영, "커뮤니티 특성과 사이트 특성이 온라인 구전의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305-325, 2004

      66 김준환, 이항, "구독서비스에서 개인화 서비스 vs. 맞춤화 서비스가 고객만족 및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9(1): 17-28, 2021

      67 고진용, "온라인 구전 정보의 방향성과 속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사 용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저널. ; 9(1): 15-28, 2014

      68 양성병, 정누리, 이형주, "자발적 독자구독료에 영향울 미치는 온라인 뉴스 콘텐츠 휴리스틱 속성 간 상대적 중요도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 16(4): 177-195, 2017

      69 서정아, "항공사 제휴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와 항공사 로열티, 제휴사 로 열치 간의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 29(2): 19-33, 2015

      70 권상희, "가상현실 미디어 체험이 가치사슬구조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VR-AR 수 단-목적 사슬이론 적용 중심으로",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JICS), ; 49-66, 2018

      71 권은영, 이창원,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과 고객만족 및재사용 의도와의 관 계에 관한 연구-렌탈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 28(3): 151-175, 2014

      72 김동우, 이영주,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행태, 콘텐츠, 기능, 비용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 18(5): 749-757, 2013

      73 류성진, "구독혜택 제공이 종이신문 구독에 미치는 영향 및 중앙일간지와 지방일간 지 구독 동기 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학술대회발표논문집. ; 5(2): 229-230, 2011

      74 이은영, 이태민,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 16(2): 145-171, 2005

      75 손정민, "이용자 생산 컨텐츠(User-Generated Content) 플랫폼에서 생산자 참여 전 후의 이용자 기여 성과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 31(1): 31-55, 2016

      76 정지은, "지역예술축제의 거버넌스 차이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자산 및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거창국제연극제와 수원연극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NRF),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