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유사성의 개념을 통한 김수장 자작 시조의 배열 원리 고찰 - 주씨본 『해동가요』에 수록된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Principle of the Arrangement of Kim Su-jang s own Sijo through the Concept of Family Simila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7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8세기 가집 『해동가요』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의 자작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작품이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탐구(Philosophische Untersuchungen)』가운데 핵심 개념인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을 기반으로 하여 작품 배열 원리를 확인하였다. 『해동가요』에 수록되어 있는김수장자작 사설시조는소재나 주제에 의한 일정 기준 없이 작품들이 흩어져 무질서한 나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인접한 소재와 연상작용에 의한 배열방식으로, 작품배열의 전후에 놓인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는 편집체재였다. 즉 각 작품의 소재에서 발견되는 유사성들의 중첩에 의한 연결을 통하여 본고에서 설명하고자했으며, 이러한 발견은 비트겐슈타인의‘가족유사성’ 개념과 상통하였다. 조선후기 가객 김수장의 일상세계는 곧 작품세계로 형상화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묘사가 당시의 사실과 가객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첫 작품은 놀이의 ‘풍류’와 관련된 유사한 소재들로 묶여 배치되어 있었으며 곧이어 ‘시름’, ‘유교적 세계관’, ‘김수장의 일상’, ‘신선’, ‘인물’, ‘몽유’, ‘유흥’ 등 8가지의 소재로 분류 및 나열된 편집체재 규칙을 찾았다. 작품 전후에 놓인 다른 소재와의 경계는 뚜렷하게 나누어지지 않고 서로 맥락이나 단어의 유사성에 의한 중첩 양상을 보였다. 가객 김수장은 사설시조를연행의 놀이공간에서 향유하기 위한 용도로 창작하였으며 놀이 개념을 자신의 작품편집체재에도 적용시켰다. 이것은 예리한 경계 구분에 의한 작품 나열이 아닌, 서로 겹치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배열규칙으로설명된다. 결론적으로 김수장의 자작사설시조의 배열 규칙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으로 설명됨을 지적하여 본고에서는 김수장이 가집 편찬자이자 편집자로서의 면모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 시조사에서 가객 김수장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8세기 가집 『해동가요』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의 자작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작품이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탐구...

      본 연구는 18세기 가집 『해동가요』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의 자작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작품이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탐구(Philosophische Untersuchungen)』가운데 핵심 개념인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을 기반으로 하여 작품 배열 원리를 확인하였다. 『해동가요』에 수록되어 있는김수장자작 사설시조는소재나 주제에 의한 일정 기준 없이 작품들이 흩어져 무질서한 나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인접한 소재와 연상작용에 의한 배열방식으로, 작품배열의 전후에 놓인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는 편집체재였다. 즉 각 작품의 소재에서 발견되는 유사성들의 중첩에 의한 연결을 통하여 본고에서 설명하고자했으며, 이러한 발견은 비트겐슈타인의‘가족유사성’ 개념과 상통하였다. 조선후기 가객 김수장의 일상세계는 곧 작품세계로 형상화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묘사가 당시의 사실과 가객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첫 작품은 놀이의 ‘풍류’와 관련된 유사한 소재들로 묶여 배치되어 있었으며 곧이어 ‘시름’, ‘유교적 세계관’, ‘김수장의 일상’, ‘신선’, ‘인물’, ‘몽유’, ‘유흥’ 등 8가지의 소재로 분류 및 나열된 편집체재 규칙을 찾았다. 작품 전후에 놓인 다른 소재와의 경계는 뚜렷하게 나누어지지 않고 서로 맥락이나 단어의 유사성에 의한 중첩 양상을 보였다. 가객 김수장은 사설시조를연행의 놀이공간에서 향유하기 위한 용도로 창작하였으며 놀이 개념을 자신의 작품편집체재에도 적용시켰다. 이것은 예리한 경계 구분에 의한 작품 나열이 아닌, 서로 겹치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배열규칙으로설명된다. 결론적으로 김수장의 자작사설시조의 배열 규칙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으로 설명됨을 지적하여 본고에서는 김수장이 가집 편찬자이자 편집자로서의 면모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 시조사에서 가객 김수장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are works collected in Gajip, mainly with the focus on saseol-si-jo among the types of si-jo in Haedong-ga-yo(海東歌謠) of the 18th century composed by No Ga-jae(老歌齋) Kim Su-jang (金壽長, 1690∼?), and that the principle of arrangement in those works can be clarified, based on Family Resemblance becoming the key concept of the second philosophy of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e case of Saseol-sijo composed by Kim Su-jang and collected in Haedong-ga-yo, it s works appear to be arranged irregularly without certain criteria of subject matter or topic, at a first glance. Yet, the method of arrangement based on similar subject matter or association is interpreted from the same framework as the edition format that keeps regular relations according to similarity in the contexts of work arrangement. To put it in another way, the role of arrangement is to clarify a certain object, in association with overlapping similarity found in subject matter of each work. The facts that this research paper discovered correspond to the concept, Family Resemblance , that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had established. The daily world of Gagaek Kim Su-ja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expressed into the work world. The description about a work reflected the epochal fact and his experiences as Gagaek. Thus, it was found that his first work was grouped and arranged into similar subject matters in association with pungryu, and subsequently, the regularity of edition format of his work was classified and categorized into eight subject matters, Grief , Confucian World View , Daily Life of Kim Su-jang , Gravy Training , Character , Fiction , Pleasure .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boundary between similar and different subject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work was not clearly drawn, with the pattern overlapped by similar contextual words. The conclusions can be drawn that Gagaek Kim Su-jang created saseol-sijo for the purpose of pursuing pleasure in a play space, according to the yeonghaeng law, and that he applied the concept of play into his work edition format to establish the regularity of the arrangement of similarity-based work, not the arrangement of sharp boundary classification-based work. Through it, the theory of Family Resemblance of Wittgenstein w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finally, got to investigate Kim Su-jang s tendency as a compiler and editor of Gajip, providing the momentum to shed a new light on the position of Gagaek Kim Su-jang, in a history of sijo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번역하기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are works collected in Gajip, mainly with the focus on saseol-si-jo among the types of si-jo in Haedong-ga-yo(海東歌謠) of the 18th century composed by No Ga-jae(老歌齋) Kim Su-jang (金壽長, 1690∼?), and ...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are works collected in Gajip, mainly with the focus on saseol-si-jo among the types of si-jo in Haedong-ga-yo(海東歌謠) of the 18th century composed by No Ga-jae(老歌齋) Kim Su-jang (金壽長, 1690∼?), and that the principle of arrangement in those works can be clarified, based on Family Resemblance becoming the key concept of the second philosophy of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 the case of Saseol-sijo composed by Kim Su-jang and collected in Haedong-ga-yo, it s works appear to be arranged irregularly without certain criteria of subject matter or topic, at a first glance. Yet, the method of arrangement based on similar subject matter or association is interpreted from the same framework as the edition format that keeps regular relations according to similarity in the contexts of work arrangement. To put it in another way, the role of arrangement is to clarify a certain object, in association with overlapping similarity found in subject matter of each work. The facts that this research paper discovered correspond to the concept, Family Resemblance , that Philosopher 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 had established. The daily world of Gagaek Kim Su-ja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expressed into the work world. The description about a work reflected the epochal fact and his experiences as Gagaek. Thus, it was found that his first work was grouped and arranged into similar subject matters in association with pungryu, and subsequently, the regularity of edition format of his work was classified and categorized into eight subject matters, Grief , Confucian World View , Daily Life of Kim Su-jang , Gravy Training , Character , Fiction , Pleasure .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boundary between similar and different subject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work was not clearly drawn, with the pattern overlapped by similar contextual words. The conclusions can be drawn that Gagaek Kim Su-jang created saseol-sijo for the purpose of pursuing pleasure in a play space, according to the yeonghaeng law, and that he applied the concept of play into his work edition format to establish the regularity of the arrangement of similarity-based work, not the arrangement of sharp boundary classification-based work. Through it, the theory of Family Resemblance of Wittgenstein w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finally, got to investigate Kim Su-jang s tendency as a compiler and editor of Gajip, providing the momentum to shed a new light on the position of Gagaek Kim Su-jang, in a history of sijo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가족유사성을 통한 작품 간의 경계와 구분 원리 Ⅲ. 가족유사성을 통한 김수장 자작 사설시조 배열 방식 Ⅳ. 결론
      • Ⅰ. 서론 Ⅱ. 가족유사성을 통한 작품 간의 경계와 구분 원리 Ⅲ. 가족유사성을 통한 김수장 자작 사설시조 배열 방식 Ⅳ.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영, "金剛山의 時調文學的 受容 樣相 考察" 한국어문학회 (74) : 171-195, 2001

      2 요한 하위징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20

      3 김삼불, "해동가요" 정음사 1950

      4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아세아문화사 1992

      5 김천택,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2017

      6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7 "주씨본 「해동가요」"

      8 김영희, "조선후기 풍류의 선가仙家적 지향에 대한 연구― 청가묘무, 풍악, 풍월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원 (48) : 327-353, 2012

      9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7

      10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1 김기영, "金剛山의 時調文學的 受容 樣相 考察" 한국어문학회 (74) : 171-195, 2001

      2 요한 하위징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20

      3 김삼불, "해동가요" 정음사 1950

      4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 아세아문화사 1992

      5 김천택,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2017

      6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7 "주씨본 「해동가요」"

      8 김영희, "조선후기 풍류의 선가仙家적 지향에 대한 연구― 청가묘무, 풍악, 풍월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원 (48) : 327-353, 2012

      9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7

      10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11 황병익, "장시조의 연행과 그 문학적 특징" 문창어문학회 32 : 99-122, 1995

      12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3 오문선, "서울지역 공동체신앙 전승과정 고찰 -조선시대 각사(各司) 신당(神堂)의 존재양상과 변화를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1 (41): 5-25, 2008

      14 고정희, "사설시조와 리얼리즘" 국문학회 (28) : 7-39, 2013

      15 박연호, "놀이 공간에서의 문학적 금기 위반과 그 의미" 어문연구학회 50 : 37-62, 2006

      16 "논어"

      17 이혜경, "노가재 김수장의 시조 연구" 계명대학교 2019

      18 박노준, "김수장 시조의 장르 혼효현상과 유락적 취향"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5 : 39-114, 1993

      19 高美淑, "朝鮮後期 平民歌客의 文學的 志向과 作品世界의 變貌樣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6

      20 강재헌, "≪海東歌謠≫ 所載 金壽長 自作 時調 排列 意圖" 어문연구학회 55 : 73-95,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5 1.5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