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일본어 교육문법에 화용정보 기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그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권유표현으로 사용되는 ‘Vませんか’, ‘Vま...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일본어 교육문법에 화용정보 기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그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권유표현으로 사용되는 ‘Vませんか’, ‘Vま...
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일본어 교육문법에 화용정보 기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그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권유표현으로 사용되는 ‘Vませんか’, ‘Vましょう’, ‘Vましょうか’를 대상으로 일본어교재와 문법사전, 교육용 문법서를 중심으로 문법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법항목의 형태정보와 의미정보는 잘 기술되어 있었으나 이들 문법항목이 실제 사용되는 상황에 관한 정보는 많지 않았다. 또한 문법사전과 문법서에서 통일되지 않는 용어 사용 및 설명의 누락, 오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문법정보에는 형태정보와 의미정보 이외에 화용정보가 중요함을 기술하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화용정보 유형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을 바탕으로 ‘Vませんか’, ‘Vましょう’, ‘Vましょうか’에 필요한 화용정보를 논의하고 각각의 문법항목에 맞는 화용정보를 기술하였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정보는 학습이 진행될수록 더욱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정보는 되도록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후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 문법항목을 중심으로 화용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standards for describing pragmatic information in Japanese grammar education for Koreans learning Japanes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descriptions of pragmat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o this...
This study proposes standards for describing pragmatic information in Japanese grammar education for Koreans learning Japanes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descriptions of pragmatic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o this end, it analyzes the grammatical information on the suggesting expressions V–ませんか, V–ましょう, and V–ましょうか provided in Japanese textbooks, grammar dictionaries, and grammar guidebook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terials examined include sufficient morphological and semantic information on the target suggesting expressions but lack pragmatic information situations where the relevant form is used. Moreover, the grammar guidebooks and dictionaries examined present problems such as inconsistent terminology, omission of explanations, and errors. Accordingly, this study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pragmatic information along with morphological and semantic information for Japanese grammar learning and presents standards for the types of pragmatic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during communi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essential pragmatic information for the suggesting expressions V–ませんか, V–ましょう, and V–ましょうか based on these standards and describes appropriate pragmatic information for each expression. As continued learning progress increases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during communica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specific descriptions of relevant information. Therefore,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determine and provide pragmatic information for learners on grammatical cases requi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uring communi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아, "한국어와 일본어 권유표현의 차이에 관한 화용론적 고찰" 일본연구소 (43) : 559-582, 2010
2 이준호, "한국어 초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 구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36 : 75-99, 2017
3 이준호, "한국어 중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 구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40 : 119-144, 2018
4 이준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61) : 215-240, 2015
5 정성헌 ; 임선영 ; 현시우,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화용 정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현황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46 : 67-100, 2019
6 성인경 ; 전은주,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화용 정보의 개념과 유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2 (32): 117-144, 2021
7 Larsen–Freeman, D., "언어 교수–문법에서 문법 사용하기로–" 지식과 교양 59-79, 2012
8 오현정, "문법평가문항 개발 방향성에 관한 고찰 : 대학수학능력시험 일본어Ⅰ을 대상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51) : 149-164, 2020
9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 第8部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61-65, 2003
10 安達太郎, "日本語類議表現の文法(上)" くろしお出版 226-234, 1995
1 김종아, "한국어와 일본어 권유표현의 차이에 관한 화용론적 고찰" 일본연구소 (43) : 559-582, 2010
2 이준호, "한국어 초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 구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36 : 75-99, 2017
3 이준호, "한국어 중급 문법 항목별 화용 정보 구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40 : 119-144, 2018
4 이준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61) : 215-240, 2015
5 정성헌 ; 임선영 ; 현시우,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화용 정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현황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46 : 67-100, 2019
6 성인경 ; 전은주,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화용 정보의 개념과 유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2 (32): 117-144, 2021
7 Larsen–Freeman, D., "언어 교수–문법에서 문법 사용하기로–" 지식과 교양 59-79, 2012
8 오현정, "문법평가문항 개발 방향성에 관한 고찰 : 대학수학능력시험 일본어Ⅰ을 대상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51) : 149-164, 2020
9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 第8部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61-65, 2003
10 安達太郎, "日本語類議表現の文法(上)" くろしお出版 226-234, 1995
11 "日本語文法ハンドブック"
12 "日本語文型辞典" くろしお出版
13 庵功雄, "日本語教育文法のための多様なアプローチ" ひつじ書房 1-12, 2011
14 日本語教育学会, "日本語教育事典" 大修館書店 61-, 2005
15 小林ミナ, "日本語教育における日本語教育文法" 2 (2): 153-170, 2002
16 姫野伴子, "勧誘表現の位置「しよう」「しようか」「しないか」" 日本語教育学会 96 : 132-142, 1998
17 "初級日本語文法と教え方のポイント"
18 "初級日本語1大地 文型説明と翻訳"
19 "初級日本語1大地"
20 "初級日本語 げんきⅡ"
21 "初級日本語 げんきⅠ"
22 "初級日本語 げんき 教師用指導書"
23 松岡知津子, "中・上級日本語学習者による誤りの特定と訂正–初級項目を中心に–" 三重大学 10 : 75-87, 2015
24 高梨信乃, "上級日本語学習者に見られる文法の問題–修士論文の草稿を例に–" 大阪大学 29 : 159-185, 2017
25 山内博之, "プロフィシェンシーから見た日本語教育文法" ひつじ書房 167-187, 2009
26 山内博之, "プロフィシェンシーから見た日本語教育文法" ひつじ書房 221-243, 2009
27 小林ミナ,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 くろしお出版 23-41, 2005
28 油井紀久子,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 くろしお出版 189-206, 2005
29 フォ―ド丹羽順子,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 くろしお出版 105-125, 2005
30 山内博之,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 くろしお出版 147-165, 2005
31 野田尚史,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 くろしお出版 1-20, 2005
32 "みんなの日本語 初級Ⅱ 本冊"
33 "みんなの日本語 初級Ⅰ本冊"
34 "みんなの日本語 初級Ⅰ 教え方の手引き"
35 "どんな時どう使う日本語表現文型辞典" アルク
36 Larsen–Freeman, 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256-270, 2001
17세기 전반 동아시아 세계의 ‘인삼의 길’ - 근세 왜관과 나가사키의 무역에 관한 시론적 고찰 -
2015年生活日本語教科書分析研究 - 六つの教科書の構成と特色 -
나카노 세이고(中野正剛)의 조선 통치관과 제국의회 활동 -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 ‘아시아주의’의 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