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사의 다기성(多岐性)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방법 = The Divergence of Epic and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divergence of epic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we follow the story line of < Dongmyeongwangpye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divergence of epic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we follow the story line of < Dongmyeongwangpyeon(東明王篇) >, we will meet a forked road at least thirteen times. At the forked road we can turn to the right branch road, or to the left branch road. Each choice makes a different epic.
      Second, the epic of self will force a person to makes choice of special branch road at the forked road of story line. Therefore we can diagnose the epic of self according to one's choice.
      The core of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is that the epic of literary work changes the epic of self. For that reason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is the first consideration, and the divergence of epic is the ke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운채, "「<흥보가>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적 효용」" 청관고전문학회 4 : 31-45, 2002.6

      2 강미정, "「<해명태자 이야기>의 감상과 자기서사의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1 : 55-98, 2004.8

      3 하은하, "「<작제건 이야기>의 감상을 통한 자기서사 드러내기」" 한국문학치료학회 1 : 99-123, 2004.8

      4 김정애, "「<심화요탑>과 <온달> 설화에 대한 반응과 자가 문학치료의 실마리-지귀와 온달의 사랑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45-162, 2004.8

      5 조경희, "「<심청가를 통한 자기서사 발견과 창작치료」" 2004.8

      6 조진하, "「<봉산탈춤>양반과장의 이본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 2003

      7 정운채, "「<바리공주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적 독해」" 겨레어문학회 33 : 173-203, 2004.12

      8 전영숙, "「<바리공주를 활용한 문학치료의 실제 및 그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2004

      9 박기석, "「<민옹전>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6 : 145-161, 2003.8

      10 정운채, "「<무왕설화>와 <서동요>의 주역적 해석과 문학치료의 구조화」"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6 : 215-233, 2001.10

      1 정운채, "「<흥보가>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적 효용」" 청관고전문학회 4 : 31-45, 2002.6

      2 강미정, "「<해명태자 이야기>의 감상과 자기서사의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1 : 55-98, 2004.8

      3 하은하, "「<작제건 이야기>의 감상을 통한 자기서사 드러내기」" 한국문학치료학회 1 : 99-123, 2004.8

      4 김정애, "「<심화요탑>과 <온달> 설화에 대한 반응과 자가 문학치료의 실마리-지귀와 온달의 사랑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45-162, 2004.8

      5 조경희, "「<심청가를 통한 자기서사 발견과 창작치료」" 2004.8

      6 조진하, "「<봉산탈춤>양반과장의 이본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 2003

      7 정운채, "「<바리공주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적 독해」" 겨레어문학회 33 : 173-203, 2004.12

      8 전영숙, "「<바리공주를 활용한 문학치료의 실제 및 그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2004

      9 박기석, "「<민옹전>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6 : 145-161, 2003.8

      10 정운채, "「<무왕설화>와 <서동요>의 주역적 해석과 문학치료의 구조화」"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6 : 215-233, 2001.10

      11 전영숙, "「<단군 이야기>와 문학치료」"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25-144, 2004

      12 서원순, "하생기우전의 재창작을 통한 문학치료 연구」" 2005.2

      13 신동흔, "치유의 서사로서의 무속신화」" 한국문학치료학회 2 : 21-42, 2005.2

      14 신동흔, "치유의 서사로서의 무속신화-그 문학치료적 힘에 대한 단상-" 2 : 21-42, 2005

      15 조희정, "치료 서사와 부모 이야기 쓰기」" 한국어교육학회 114 : 267-294, 2004.6

      16 조희정, "치료 서사와 부모 이야기 쓰기" (114) : 267-294, 2004

      17 고남식, "증산의 강세 전승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한국문학치료학회 2 : 115-146, 2005.2

      18 고남식, "증산의 강세 전승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2 : 115-146, 2005

      19 정운채, "주역의 인간 해석 체계와 문학치료의 이론적 구조화」" 겨레어문학회 27 : 147-165, 2001.10

      20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의 간통 사건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문학과 치료 2004

      21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시경(詩經) 인용 양상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2003

      22 정운채, "이학위시설以學爲詩說 로 본 문학의 양면성과 문학치료의 방법」" 청관고전문학회 3 : 226-240, 2001.6.

      23 정운채, "오줌 꿈을 사는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문학치료학적 의미」" 국문학회 (5) : 281-299, 2001

      24 정운채, "영화창작의 문학치료적 성격」" 한국문학치료학회 2 : 7-20, 2005

      25 정운채, "영화창작의 문학치료적 성격" 2 : 7-20, 2005

      26 김정애, "역할극 수용을 통한<흥보가>의 문학치료적 전망과 현대적 재창조 방안」" 겨레어문학회 27 : 5-28, 2001.10

      27 강미정, "악장가사 소재 <어부가>의 문학치료적 효과」"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1 : 157-185, 2000

      28 정운채, "시화에 나타난 문학의 치료적 효과와 문학치료학을 위한 전망」" 청관고전문학회 1 : 140-155, 1999.6

      29 정운채, "시교설(詩敎說)>의 문학치료학적 해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4 : 347-371, 2001.2

      30 강미정, "시경(詩經) <육아(蓼莪)>와 관련된 영조의 심리적 특성과 문학치료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37-73, 2004

      31 정운채,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59-176, 2004.8

      32 정운채,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8) : 159-176, 2004

      33 하은하,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이용한 문학치료의 한 사례」" 한국문학치료학회 2 : 93-114, 2005.2

      34 하은하, "삼국유사 소재 설화를 이용한 문학치료의 한 사례" 2 : 93-114, 2005

      35 조은심, "불안과 우울 증세에 대한 문학치료의 사례」"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63-192, 2004

      36 조은심, "불안과 우울 증세에 대한 문학치료의 사례" 1 : 163-192, 2004

      37 김석회, "문학치료학의 전개와 진로」"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7-30, 2004.8

      38 김석회, "문학치료학의 전개와 진로" 1 : 17-30, 2004

      39 박기석, "문학치료학 연구서설" 1 : 1-15, 2004

      40 박기석, "문학치료학 연구 서설」"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15, 2004.8

      41 전영숙, "문학치료 기법의 학교 현장 적용」" 한국문학치료학회 2 : 43-71, 2005.2

      42 전영숙, "문학치료 기법의 학교 현장 적용" 2 : 43-71, 2005

      43 정운채, "만복사저포기의 문학치료학적 독해」" 청관고전문학회 2 : 209-227, 2000.6

      44 강미정, "도화녀와 비형랑 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도형이의 반응과 그 문학치료적 전망」" 한국문학치료학회 2 : 73-91, 2005.2

      45 서은아, "나무꾼과 선녀 의 부부갈등 중 ‘선녀의 개인적 결점’으로 인한 갈등과 그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2 : 169-195, 2005.2

      46 조은상, "기(奇)’자 평어와 관련된 한시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시화총림을 중심으로-」" 1999

      47 하은하, "귀신이야기의 형성 과정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2003.2

      48 하은하, "귀신이야기와 문학치료" 2004.7

      49 정운채, "구운몽의 독후감을 통한 자기서사의 탐색과 문학치료의 방향 설정」" 한국문학치료학회 1 : 31-54, 2004.8

      50 김미애, "구운몽의 감상과 재창작을 통한 문학치료 연구」" 2005

      51 최윤경, "구운몽을 이용한 문학치료 연구」" 2004.8

      52 정운채, "고전시가론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조명" 한국시가학회 10 : 331-352, 2001

      53 정운채, "고전문학 교육과 문학치료」"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13 : 103-126, 2004.2

      54 정운채, "고전문학 교육과 문학치료" (113) : 103-126, 2004

      55 김종군, "고소설에 나타난 이비고사(二妃故事) 수용의 심리적 요인" 2 : 147-168, 2005

      56 김종군, "고소설에 나타난 이비고사(二妃故事) 수용의 심리적 요인」" 한국문학치료학회 2 : 147-168, 2005.2

      57 정운채, "韓國古典文學と文學治療" 朝鮮學會 183 : 39-56, 2002.4

      58 강미정, "<해명태자 이야기>의 감상과 자기서사의 탐색" 1 : 55-98, 2004

      59 하은하, "<작제건 이야기>의 감상을 통한 자기서사 드러내기" 1 : 99-123, 2004

      60 김정애, "<심화요탑>과 <온달> 설화에 대한 반응과 자가 문학치료의 실마리 - 지귀와 온달의 사랑 방식을 중심으로-" 1 : 145-162, 2004

      61 윤미연, "<배비장전>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와 그 효용」" 한국문학치료학회 1 : 193-217, 2004.8

      62 윤미연, "<배비장전>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와 그 효용" 1 : 193-217, 2004

      63 강미정, "<도화녀와 비형랑>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도형이의 반응과 그 문학치료적 전망" 2 : 73-91, 2005

      64 전영숙, "<단군이야기>와 문학치료" 1 : 125-144, 2004

      65 서은아, "<나무꾼과 선녀>의 부부갈등 중 ‘선녀의 개인적 결점’으로 인한 갈등과 그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2 : 169-195, 2005

      66 박기석, "<김신선전>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139-158, 2004.2

      67 박기석, "<김신선전> 연구" (7) : 139-158, 2004

      68 박미경, "<구운몽을 통한 문학치료와 교육적 활용 연구」" 2005.2

      69 정운채, "<구운몽>의 독후감을 통한 자기서사의 탐색과 문학치료의 방향 설정" 1 : 31-5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2.36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