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45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 Myeong-Jin
      Major in Elementary Practical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I devised some real-world practical problems under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and selected two classes at the 2nd grade elementary school D located at Wonmi-Gu, Buchun City. Then I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1st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and those of the 2nd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 developed a teaching method that fits well with the 2nd-grade students and is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In addition, I also developed 8 subjects under the 3 core value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Environment, Health, Caring. The applica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ormed for 9 weeks period from the 4th week of September, 2011 to the 3rd week of November, 2011 and the comparative group took regular courses designed for creative experiences. I designed the experimental model into two sets, one set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d another set after applying the program, and analyzed the effects of application. Under the prior survey on the dietary attitudes on two group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nd I found them homogeneous in terms of dietary attitudes.
      After the application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experimental group, I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analyzed them through t-test with a SPSSWIN 18.0 statistical program under 5% of significant level.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effects, I performed some qualitative data analyses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s during lunch time, focus group interviews if necessary, descriptive surveys, learning notes, opinion reports, and diari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under 5% reliability coefficient, observed in the 3 sub-factors and the whole dietary attitude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Second, after verifying the scores of dietary attitudes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ng them between the data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d the data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under 5% reliability coefficient, observed in the all three areas: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fter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on the learning notes, diar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student behaviors during the period of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he all 3 sub-factors: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Therefore, the planning on the execution of the 3 area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and the development efforts will lead to the improvements on the whole dietary effects as well as those of the dietary attitudes on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번역하기

      Abstract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 Myeong-Jin Major in Elementary Practical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stract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 Myeong-Jin
      Major in Elementary Practical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I devised some real-world practical problems under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and selected two classes at the 2nd grade elementary school D located at Wonmi-Gu, Buchun City. Then I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1st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and those of the 2nd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 developed a teaching method that fits well with the 2nd-grade students and is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In addition, I also developed 8 subjects under the 3 core value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Environment, Health, Caring. The applica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ormed for 9 weeks period from the 4th week of September, 2011 to the 3rd week of November, 2011 and the comparative group took regular courses designed for creative experiences. I designed the experimental model into two sets, one set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d another set after applying the program, and analyzed the effects of application. Under the prior survey on the dietary attitudes on two group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nd I found them homogeneous in terms of dietary attitudes.
      After the application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on the experimental group, I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analyzed them through t-test with a SPSSWIN 18.0 statistical program under 5% of significant level.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effects, I performed some qualitative data analyses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s during lunch time, focus group interviews if necessary, descriptive surveys, learning notes, opinion reports, and diari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under 5% reliability coefficient, observed in the 3 sub-factors and the whole dietary attitude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Second, after verifying the scores of dietary attitudes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ng them between the data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d the data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under 5% reliability coefficient, observed in the all three areas: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fter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on the learning notes, diar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student behaviors during the period of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he all 3 sub-factors: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Therefore, the planning on the execution of the 3 area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utions and the development efforts will lead to the improvements on the whole dietary effects as well as those of the dietary attitudes on environment, health, and ca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이 연구는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식생활태도 점수와,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과의 식생활태도 점수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천시 원미구 소재의 D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한 실천 문제중심의 수업방법과 녹색식생활의 3대 핵심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의 내용으로 선정된 8개의 실천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2011년 9월 4주부터 11월 3주까지 약 9주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년교육과정에 의한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에 의해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여 적용 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생활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SPSS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더불어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급식시간이라는 자연스럽고 유의미한 상황에서 참여관찰을 하고, 필요할 때 면담을 가짐으로써 관찰 내용과 면담 기록, 서술적 설문조사, 배움공책, 소감문, 일기 등의 정성적 자료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식생활 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 5%수준에서 식생활태도 전체 및 3개의 하위영역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식생활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 식생활태도 전체 및 환경, 건강, 감사와 배려의 녹색식생활태도 영역 모두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식생활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녹색식생활 배움공책, 일기, 소그룹 면담,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마치며 쓴 소감문, 학생들의 행동관찰 등에 대한 정성적 자료 분석 결과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태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3개의 하위 영역인 환경, 건강, 감사와 배려의 녹색식생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환경과, 건강, 감사와 배려의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계획하고 노력하려는 의지의 발달로 인해 환경, 건강, 배려관련 영역에 향상을 가져와 식생활태도 전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국 문 초 록 이 연구는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 ...

      국 문 초 록

      이 연구는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식생활태도 점수와,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과의 식생활태도 점수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천시 원미구 소재의 D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한 실천 문제중심의 수업방법과 녹색식생활의 3대 핵심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의 내용으로 선정된 8개의 실천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2011년 9월 4주부터 11월 3주까지 약 9주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년교육과정에 의한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에 의해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여 적용 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생활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SPSS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더불어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급식시간이라는 자연스럽고 유의미한 상황에서 참여관찰을 하고, 필요할 때 면담을 가짐으로써 관찰 내용과 면담 기록, 서술적 설문조사, 배움공책, 소감문, 일기 등의 정성적 자료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식생활 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 5%수준에서 식생활태도 전체 및 3개의 하위영역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식생활태도 점수를 검증한 결과, 식생활태도 전체 및 환경, 건강, 감사와 배려의 녹색식생활태도 영역 모두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식생활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녹색식생활 배움공책, 일기, 소그룹 면담,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마치며 쓴 소감문, 학생들의 행동관찰 등에 대한 정성적 자료 분석 결과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태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식생활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3개의 하위 영역인 환경, 건강, 감사와 배려의 녹색식생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실천 문제중심의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환경과, 건강, 감사와 배려의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계획하고 노력하려는 의지의 발달로 인해 환경, 건강, 배려관련 영역에 향상을 가져와 식생활태도 전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3
      • 4. 용어의 정의 4
      • 5. 연구의 제한점 5
      • II. 이론적 배경 6
      • 1. 실천 문제중심 수업 6
      • 2. 녹색식생활 15
      • 3. 식생활 태도 28
      • 4. 선행연구 고찰 31
      •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2
      • 1. 연구의 대상 43
      • 2. 연구의 설계 43
      • 3.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44
      • 4. 측정 도구 52
      • 5. 자료수집 방법 53
      • 6. 자료 분석 54
      •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55
      • 1. 식생활 태도에 대한 정량적 분석 55
      • 2. 식생활 태도에 대한 정성적 분석 64
      • Ⅴ. 요약․결론 및 제언 71
      • 1. 요약 71
      • 2. 결론 72
      • 3. 제언 73
      • 참고문헌 75
      • 부록 79
      • Abstract 1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