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echnology and form : iron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als in nineteenth century France 1830-188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40029

      • 저자
      • 발행사항

        Cambridge, Mass.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1996

      • 학위논문사항

        Thesis (doctoral)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Architecture , 1996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영어

      • 발행국(도시)

        Massachusetts

      • 형태사항

        463 p. : ill. ; 27 cm.

      • 일반주기명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 소장기관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철구조물의 발달과 함께 전개된 건축사상의 변천을 연구한다. 철구조물은 고전주의 형태규범과 근대적 과학기술이 모호 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신고전주의 건축의 위기와 때를 같이하여 등장한다. 철은 건축의 기술적, 미학적 양측면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상주의자와 합리주 의자들에 의해 신고전주의 건축규범의 붕괴이후 새로운 건축양식을 창조할 상 징적 재료로서 떠올랐다. 그러나 철구조물 자체로서는 새로운 건축양식을 창 조할 수 없었으며, 고전주의 미학의 붕괴이후 철구조물에 부여할 만한 절대적 미적규범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근대건축의 근본적인 고민이었으며 부 르조아 문화의 본질적 모순이기도 했다. 19세기 중반의 구조적 합리주의자들은 재료 및 구조의 합리성 그리고 이성 에 바탕을 둔 새로운 근대건축양식을 창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것이 불가 능하다는 것은 19세기말 아르누보 건축가들에 의한 철건축의 실험이 개인주의 적환상에 대한 열정으로 귀착되면서 입증되었다. 곧이어 합리주의자들은 건 축적 근대성의 상징적 재료를 철에서 철조콘크리트로 바꾸었으며, 이는 결국 기술과 형태 사이에는 근본적인 간격이 있다는 것, 즉 부르조와 합리주의의 근본적 고민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셈이다. 20세기초 근대주의 역사가들은 진화론적 근대 건축사를 기술하면서 합리주 의적 구조주의적 전통에 바탕을 두고 19세기 철건축을 20세기 근대건축의 맹 아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재발견한 철건축은 19세기에 받아들여지던 철건축이 아니라 20세기 근대미학에 의해 창조된 것이었다. 이러한 배후에는 20세기 건축사가 및 이론가들에 의한 재료와 구조의 미학화, 그리고 건축의 주관화가 있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철건축에 대한 건축적 언설이 객관적 구조물 에서 주관적미학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러한 변천은 현대과학기 술의 발전과의 연관속에서 현대건축의 형성과정 및 현대건축의 사회내 존재양 식을 특징 짓는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철구조물의 발달과 함께 전개된 건축사상의 변천을 연구한다. 철구조물은 고전주의 형태규범과 근대적 과학기술이 모호 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신고전주의 건...

      본 논문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철구조물의 발달과 함께 전개된 건축사상의 변천을 연구한다. 철구조물은 고전주의 형태규범과 근대적 과학기술이 모호 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신고전주의 건축의 위기와 때를 같이하여 등장한다. 철은 건축의 기술적, 미학적 양측면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상주의자와 합리주 의자들에 의해 신고전주의 건축규범의 붕괴이후 새로운 건축양식을 창조할 상 징적 재료로서 떠올랐다. 그러나 철구조물 자체로서는 새로운 건축양식을 창 조할 수 없었으며, 고전주의 미학의 붕괴이후 철구조물에 부여할 만한 절대적 미적규범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근대건축의 근본적인 고민이었으며 부 르조아 문화의 본질적 모순이기도 했다. 19세기 중반의 구조적 합리주의자들은 재료 및 구조의 합리성 그리고 이성 에 바탕을 둔 새로운 근대건축양식을 창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것이 불가 능하다는 것은 19세기말 아르누보 건축가들에 의한 철건축의 실험이 개인주의 적환상에 대한 열정으로 귀착되면서 입증되었다. 곧이어 합리주의자들은 건 축적 근대성의 상징적 재료를 철에서 철조콘크리트로 바꾸었으며, 이는 결국 기술과 형태 사이에는 근본적인 간격이 있다는 것, 즉 부르조와 합리주의의 근본적 고민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셈이다. 20세기초 근대주의 역사가들은 진화론적 근대 건축사를 기술하면서 합리주 의적 구조주의적 전통에 바탕을 두고 19세기 철건축을 20세기 근대건축의 맹 아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재발견한 철건축은 19세기에 받아들여지던 철건축이 아니라 20세기 근대미학에 의해 창조된 것이었다. 이러한 배후에는 20세기 건축사가 및 이론가들에 의한 재료와 구조의 미학화, 그리고 건축의 주관화가 있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철건축에 대한 건축적 언설이 객관적 구조물 에서 주관적미학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러한 변천은 현대과학기 술의 발전과의 연관속에서 현대건축의 형성과정 및 현대건축의 사회내 존재양 식을 특징 짓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al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iron construction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n France. �Ihe emergence
      of iron construction paralleled the crisis of neoclassicism, in which an ambiguous
      compromise between classical formal norms and modem science and technology was
      already manifest in the iron reinforced lintel. In the crisis of neoclassicism, iron, with its impact on both technological and formal aspects of architecture, emerged as a symbolic material to create a new style of modem architecture among utopians and rationalists. However, iron construction could not create a new style on its own; nor did there exist absolute formal aesthetic principles to impose on the construction. This is a fundamental dilemma of modem architectnre, an inherent contradiction of bourgeois culture. Stmctnral rationalist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ried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by attempting to create a new style of architecture based on material and constructional rationality and reason. However, their inability to create a new style was finally proved in the last decade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Art Nouveau exploitation of iron became a passion for individual fantasies, while engineers declared the triumph of their iron construction. Subsequent rationalists change of the material signifier
      of architectural modernity from iron to reinforced concrete testified to the fundamental gap between technology and form, and the dilemma of bourgeois rationalism. Early twentieth century modernist historians rediscovered nineteenth century iron construction as a precursor of modem architecture, constructing an evolutionary history of modem architecture based on the rationalist constructive tradition, from iron construction to reinforced concrete architecture. However, their Discovery of iron construction was purely an aesthetic invention of the twentieth century based on modernist avant garde aesthetics. Behind their apparent reconciliation of modem technology and architecture lay the aestheticization of material and construction, and the subjectivization of architecture. Thus,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displacement of architectural discourses on iron
      construction from an objective construction to a subjective aesthetics. This shift
      characterized the further development of modem architecture and its mode of existence in modem societ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m technology.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al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iron construction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n France. �Ihe emergence of iron construction paralleled the crisis of neoclassicism, in...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al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iron construction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n France. �Ihe emergence
      of iron construction paralleled the crisis of neoclassicism, in which an ambiguous
      compromise between classical formal norms and modem science and technology was
      already manifest in the iron reinforced lintel. In the crisis of neoclassicism, iron, with its impact on both technological and formal aspects of architecture, emerged as a symbolic material to create a new style of modem architecture among utopians and rationalists. However, iron construction could not create a new style on its own; nor did there exist absolute formal aesthetic principles to impose on the construction. This is a fundamental dilemma of modem architectnre, an inherent contradiction of bourgeois culture. Stmctnral rationalist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ried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by attempting to create a new style of architecture based on material and constructional rationality and reason. However, their inability to create a new style was finally proved in the last decade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Art Nouveau exploitation of iron became a passion for individual fantasies, while engineers declared the triumph of their iron construction. Subsequent rationalists change of the material signifier
      of architectural modernity from iron to reinforced concrete testified to the fundamental gap between technology and form, and the dilemma of bourgeois rationalism. Early twentieth century modernist historians rediscovered nineteenth century iron construction as a precursor of modem architecture, constructing an evolutionary history of modem architecture based on the rationalist constructive tradition, from iron construction to reinforced concrete architecture. However, their Discovery of iron construction was purely an aesthetic invention of the twentieth century based on modernist avant garde aesthetics. Behind their apparent reconciliation of modem technology and architecture lay the aestheticization of material and construction, and the subjectivization of architecture. Thus,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displacement of architectural discourses on iron
      construction from an objective construction to a subjective aesthetics. This shift
      characterized the further development of modem architecture and its mode of existence in modem societ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m technolog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