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삼국∼백제 한성기 춘천지역의 문화양상 = Cultural aspects of Chuncheon area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Baekje Hanseo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0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춘천지역은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는 충적 대지로 형성되어 있고,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분지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춘천지역은 구석기 유적부터 근·현대유적까지 다양한 유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오랫동안 인간이 거주해 온 지역이다. 이러한 춘천지역에서는 구석기문화가 나타난 이후 신석기, 청동기문화를 거쳐 소위 예계문화로 분류되는 중도유형문화가 나타난다. 중도유형문화는 철자형과 여자형의 주거지를 가지고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기본으로 하는 문화이다. 중도유형문화는 한강수계를 중심으로 퍼져 중부지역의 중심문화로 성장하고 춘천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춘천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중도유형문화는 신매리, 근화동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후 한강 하류 송파구 일대에서는 중도유형문화를 기본으로 하는 백제 한성기 문화가 성장하기 시작한다. 조금씩 성장한 백제문화는 3세기대에 이르러 국가단계의 기틀을 마련한 후 기존의 마한으로 분류되던 지역을 흡수·통합하기 시작하는데, 한강수계를 따라 북쪽과 동쪽으로도 영역확장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북한강 상류역에 위치한 춘천 및 화천지역에도 3세기대부터 백제계문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백제문화는 춘천지역 중 중도동에 거점 취락을 만들고 기존의 춘천지역에서 중도유형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 기존의 춘천지역 일대 세력과 충돌하게 된다.
      번역하기

      춘천지역은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는 충적 대지로 형성되어 있고,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분지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천혜의 자연...

      춘천지역은 북한강과 소양강이 만나는 충적 대지로 형성되어 있고,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분지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예전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춘천지역은 구석기 유적부터 근·현대유적까지 다양한 유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오랫동안 인간이 거주해 온 지역이다. 이러한 춘천지역에서는 구석기문화가 나타난 이후 신석기, 청동기문화를 거쳐 소위 예계문화로 분류되는 중도유형문화가 나타난다. 중도유형문화는 철자형과 여자형의 주거지를 가지고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기본으로 하는 문화이다. 중도유형문화는 한강수계를 중심으로 퍼져 중부지역의 중심문화로 성장하고 춘천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춘천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중도유형문화는 신매리, 근화동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후 한강 하류 송파구 일대에서는 중도유형문화를 기본으로 하는 백제 한성기 문화가 성장하기 시작한다. 조금씩 성장한 백제문화는 3세기대에 이르러 국가단계의 기틀을 마련한 후 기존의 마한으로 분류되던 지역을 흡수·통합하기 시작하는데, 한강수계를 따라 북쪽과 동쪽으로도 영역확장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북한강 상류역에 위치한 춘천 및 화천지역에도 3세기대부터 백제계문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백제문화는 춘천지역 중 중도동에 거점 취락을 만들고 기존의 춘천지역에서 중도유형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 기존의 춘천지역 일대 세력과 충돌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uncheon area is formed as an alluvial plain where the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meet, and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giving it a basin shape. Due to this natural environment, it has been blessed with excellent natural conditions for living since ancient times. Culture appeared in the Chuncheon area from the Old Stone Age. Afterwards, throug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cultures, the so-called Ye-gye culture or Jungdo-type culture appeared. The Jungdo-type culture is a culture based on hard, untextured pottery and tanal-patterned pottery, with dwellings of the 呂 type and 凸 type. This culture spreads around the Han River system and grows into the central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Baekje culture based on a Jungdo-type culture began to grow in the current Songpa-gu area in the lower Han River area. Baekje culture began to advance afte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al stage, and expanded its territory to the north and east along the Han River system. Meanwhile, Baekje culture began to appear in the Chuncheon area, located upstream of the Bukhan River from the 3rd century and this Baekje culture against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grew based on the Jungdo-type culture in the Chuncheon area.
      번역하기

      The Chuncheon area is formed as an alluvial plain where the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meet, and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giving it a basin shape. Due to this natural environment, it has been blessed with excellent natural conditions for livi...

      The Chuncheon area is formed as an alluvial plain where the Bukhan River and Soyang River meet, and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giving it a basin shape. Due to this natural environment, it has been blessed with excellent natural conditions for living since ancient times. Culture appeared in the Chuncheon area from the Old Stone Age. Afterwards, throug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cultures, the so-called Ye-gye culture or Jungdo-type culture appeared. The Jungdo-type culture is a culture based on hard, untextured pottery and tanal-patterned pottery, with dwellings of the 呂 type and 凸 type. This culture spreads around the Han River system and grows into the central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Baekje culture based on a Jungdo-type culture began to grow in the current Songpa-gu area in the lower Han River area. Baekje culture began to advance afte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al stage, and expanded its territory to the north and east along the Han River system. Meanwhile, Baekje culture began to appear in the Chuncheon area, located upstream of the Bukhan River from the 3rd century and this Baekje culture against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grew based on the Jungdo-type culture in the Chuncheon a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