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관도식을 활용한 중심반응훈련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복합단서에 대한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ivotal Response Training Using Contingency Maps on the Response to Multiple Cu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2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ivotal response training (PRT) using a contingency maps on the response to multiple cues of tw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RT using contingency maps is in accord with a characteristic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n individual with ASD. The participants were a six and a three-year-old boy with ASD. The study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and changing conditions design simultaneously, which was composed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phase. And generalization data was measured through activities between the child and his parent at the intervention plac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RT using contingency map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riminating objects with multi-dimensional cues (size, color, number, or shape)’ and ‘following multi-step direction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vent recording syst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T using contingency maps resulted in high effect on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discriminating objects with multi-dimensional cues’ and ‘following multi-step directions.’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PRT using contingency map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enhancing response to multiple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ivotal response training (PRT) using a contingency maps on the response to multiple cues of tw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RT using contingency maps is in accord with a char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ivotal response training (PRT) using a contingency maps on the response to multiple cues of tw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RT using contingency maps is in accord with a characteristic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n individual with ASD. The participants were a six and a three-year-old boy with ASD. The study appli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and changing conditions design simultaneously, which was composed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phase. And generalization data was measured through activities between the child and his parent at the intervention plac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RT using contingency map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riminating objects with multi-dimensional cues (size, color, number, or shape)’ and ‘following multi-step direction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vent recording syst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T using contingency maps resulted in high effect on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discriminating objects with multi-dimensional cues’ and ‘following multi-step directions.’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PRT using contingency map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enhancing response to multiple cu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정 ; 이소현,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1 (21): 213-237, 2005

      2 박정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김주원,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4 송유하 ; 박지연,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25, 2008

      5 김남경 ; 박은혜, "초등학교 자폐아동을 위한 또래-주도 중심축 반응훈련이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7 (7): 215-235, 2008

      6 송호준 ; 김춘종,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 및 운동협응성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41-158, 2015

      7 정대영 ; 김미정,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어휘 확장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51-269, 2016

      8 방은 ; 최하영, "중심축 반응 훈련을 적용한 문답형 동요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시작하기와 반응하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259-290, 2018

      9 변관석,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5 (15): 35-57, 2016

      10 나지회 ; 이소현, "중심축 반응 중재의 동기 향상 전략을 적용한 개별화된 또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20 (20): 1-26, 2020

      1 이수정 ; 이소현,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1 (21): 213-237, 2005

      2 박정미,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김주원,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4 송유하 ; 박지연,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25, 2008

      5 김남경 ; 박은혜, "초등학교 자폐아동을 위한 또래-주도 중심축 반응훈련이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7 (7): 215-235, 2008

      6 송호준 ; 김춘종,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 및 운동협응성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41-158, 2015

      7 정대영 ; 김미정,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어휘 확장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51-269, 2016

      8 방은 ; 최하영, "중심축 반응 훈련을 적용한 문답형 동요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시작하기와 반응하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259-290, 2018

      9 변관석,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5 (15): 35-57, 2016

      10 나지회 ; 이소현, "중심축 반응 중재의 동기 향상 전략을 적용한 개별화된 또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20 (20): 1-26, 2020

      11 방명애, "자폐성장애학생 교육" 학지사 2018

      12 이재욱, "자폐성 장애의 일반화를 위한 비디오 모델링에 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69-383, 2006

      13 이나림 ; 홍영은 ; 김예니,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선별 도구에 대한 고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8 (58): 192-201, 2019

      14 김미영 ; 이소현 ; 허수연,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 반응 훈련 중재의 메타분석-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23, 2012

      15 장미순 ; 김은경, "자기관리를 통한 중심축반응훈련이 자폐아동의 사회적 행동 개선과 반응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05-134, 2008

      16 안미경, "시각적 지원이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의 화용론적 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17 정보인 ; 김진경 ; 김수정, "동영상 활동스케줄 활용을 통한 자폐 아동의 자발성 행동 증진" 대한작업치료학회 14 (14): 49-58, 2006

      18 박다해 ; 김은경,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사물 요구하기 행동의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7 (17): 49-76, 2017

      19 서경희 ; 김미경, "고기능 자폐아의 중앙응집"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 (20): 315-336, 2004

      20 채유선 ; 이소현,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 훈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41-66, 2008

      21 Petronella, S., "Weak central coherence is a syndrom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teacher-learner task instructions" 10 (10): 1-11, 2020

      22 Susan, L. G., "Visual and auditory cue respons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niversity of Indiana 2014

      23 Sara, R. D., "Using mobile game application to teac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ultiple cues responding: a pilot study" 2014

      24 Patricia, M. K., "Response to multiple visual cues of color, size, and form by autistic children" 4 (4): 251-261, 1974

      25 Manon, W. P., "Pivotal response treatment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51 (51): 4506-4519, 2021

      26 Eimas, P. D., "Multiple-cue discrimination learning in children" 19 : 417-424, 1969

      27 Rachael, B., "Flexible integration of visual cues in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9 : 272-281, 2016

      28 Mirko, U., "Examining effectiveness and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of pivotal response treatment in autism: An umbrella review and a meta-analysis" 12 : 766150-, 2022

      29 Andrew, P. B., "Effects of differential observing responses on observational learning across multiple contingencies" 54 : 1385-1404, 2021

      30 Zhang, B., "Design of intervention app for children with autism based on visual cue strategy" 38 (38): 70-87, 2022

      31 Brown, K. E., "Contingency mapping : Use of a novel visual support strategy as an adjunct to functional equivalency training" 8 (8): 155-164, 2006

      32 Estate, M. S., "Behavioral, cognitive, and motor preparation deficits in a visual cued spatial attention task in autism spectrum disorder" 41 : 81-92, 2016

      33 Philip, S. L, "An examination of weak central coherence in individuals with autism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functioning" George mason university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