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산시내에 소재한 의류 소매업자의 구매행동 : 공급원 선택 기준, 정보원, 상점의 성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Bying Behavior of the Retail Apparel Buyers in Pusan : Vendor Selection Criteria, Information Sources,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17515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 1998. 2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92.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 52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5-47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류 소매업자는 최종 소비자의 구매를 위한 의류 상품을 제공함으로 마케팅 변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류 마케팅 연구의 초점은 브랜드 중심의 의류 제품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의류 소매점이나 소매업자에 대한 조사는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 소매업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른 정보원 사용과 공급원 선택 기준의 차이를 조사 하는 것을 주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론 소매업자의 구매행동 모델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Sheth 모델(1973)과 임대선의 '소매점 구매 담당자 행동 모델'(1992)을 중심으로 개념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라 공급원 선택기준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공급원 선택기준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셋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공급원 선택기준에 따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넷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인근통계적 특성에 따라 상점 성과 만족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모두 4개의 질문, 즉 상점 성과 만족도, 공급원 선택 기준, 정보원 사용, 인구통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1 · 2차 예배조사를 통해 선정되었다. 본 조사는 1997년 7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 16일 동안 부산 시내를 소재하는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여성 의류 소매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품목은 트렌디한 캐주얼로 제한하였다. 배분된 320부 중 분석에 사용된 것은 237부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빈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급원 선택 기준의 상대적 중요도 제품의 디자인/스타일, 공급원 신뢰성, 품질, 색상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사용은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기 연예인의 의상관찰, 거리패션의 관찰의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2.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른 공급원 선택기준에 대해서는 현재 있는 제품과의 조화정도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으며 정보원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인근통계적 특성에 따른 공급원 선택 기준에서는 품질, 가격, 거래조건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원에서는 패션잡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4. 공급원 선택 기준 각 항목에 영향을 끼치는 정보원은 거의 다르며, 거리패션 관찰과 공급원 대표가 전반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연령과 직위, 구매경험은 상점의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많을수록, 직원이 그리고 구매경험이 많을수록 상점의 성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의류 소매업자는 최종 소비자의 구매를 위한 의류 상품을 제공함으로 마케팅 변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류 마케팅 연구의 초점은 브랜드 중심의 의류 제품에 맞...

      의류 소매업자는 최종 소비자의 구매를 위한 의류 상품을 제공함으로 마케팅 변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류 마케팅 연구의 초점은 브랜드 중심의 의류 제품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의류 소매점이나 소매업자에 대한 조사는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 소매업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른 정보원 사용과 공급원 선택 기준의 차이를 조사 하는 것을 주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론 소매업자의 구매행동 모델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Sheth 모델(1973)과 임대선의 '소매점 구매 담당자 행동 모델'(1992)을 중심으로 개념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라 공급원 선택기준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공급원 선택기준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셋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공급원 선택기준에 따라 정보원 사용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넷째, 의류 소매업자들은 인근통계적 특성에 따라 상점 성과 만족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모두 4개의 질문, 즉 상점 성과 만족도, 공급원 선택 기준, 정보원 사용, 인구통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1 · 2차 예배조사를 통해 선정되었다. 본 조사는 1997년 7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 16일 동안 부산 시내를 소재하는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여성 의류 소매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품목은 트렌디한 캐주얼로 제한하였다. 배분된 320부 중 분석에 사용된 것은 237부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빈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급원 선택 기준의 상대적 중요도 제품의 디자인/스타일, 공급원 신뢰성, 품질, 색상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사용은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기 연예인의 의상관찰, 거리패션의 관찰의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2. 상점 성과 만족도에 따른 공급원 선택기준에 대해서는 현재 있는 제품과의 조화정도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으며 정보원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인근통계적 특성에 따른 공급원 선택 기준에서는 품질, 가격, 거래조건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원에서는 패션잡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4. 공급원 선택 기준 각 항목에 영향을 끼치는 정보원은 거의 다르며, 거리패션 관찰과 공급원 대표가 전반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구통계적 특성 중 연령과 직위, 구매경험은 상점의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많을수록, 직원이 그리고 구매경험이 많을수록 상점의 성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tail apparel buyer played an important roll in the marketing exchange process by providing apparel products for final consumer consumption and acts as an specialist who selects vendor and decides are1 product assortment and is distinguished from organizational buyers or industrial buyers in that they buy only for resale.
      However litter research has been at the retail apparel buyer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theoretical modul for retail behavior. And fashion marketing research have had large-scale studies conducted on apparel products that affect brand typ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nformation sources and vendor selection criteria, a phas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may impact retail buy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tail apparel buyers ' utiliz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selected information sources and selection criteria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d in buying.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pretest. Data were collected using 237 buyers from the retail buyers of women's apparel lived in Pusan.
      Results were as following ;
      1. It was true that there can be may selection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some criteria and sources a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2.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scores and the group with low satisfaction scores in relation to 7 information sources and 10 selection criteria. There was significant of one selection criteria(coordination with other products). None of information sources were significant.
      3.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s with the demographic variables in relation to 7 information source and 10 selection criteria. There were significant of four selection criteria(product quality, product price, terms of sale) and one information source(fashion magazine).
      4.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information sourc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election criteria as the dependent variables. Observation of street fashion affected quality of product, design/style of product, coordination with other product. And vendor representatives affected terms of sale, fashion awareness of vendor, reliability of vendor, price of product.
      5.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s with demographic variables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of four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sales, gross margin, net sales per square foot, net sales per employee).
      Finally some selection criterias and information sources used by apparel retailers in making a purchase appear to be related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Several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conjunction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to a grater retail buyers representing different store type and merchandise lines.
      번역하기

      A retail apparel buyer played an important roll in the marketing exchange process by providing apparel products for final consumer consumption and acts as an specialist who selects vendor and decides are1 product assortment and is distinguished from o...

      A retail apparel buyer played an important roll in the marketing exchange process by providing apparel products for final consumer consumption and acts as an specialist who selects vendor and decides are1 product assortment and is distinguished from organizational buyers or industrial buyers in that they buy only for resale.
      However litter research has been at the retail apparel buyer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theoretical modul for retail behavior. And fashion marketing research have had large-scale studies conducted on apparel products that affect brand typ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nformation sources and vendor selection criteria, a phas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may impact retail buy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tail apparel buyers ' utiliz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selected information sources and selection criteria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d in buying.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pretest. Data were collected using 237 buyers from the retail buyers of women's apparel lived in Pusan.
      Results were as following ;
      1. It was true that there can be may selection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some criteria and sources a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2.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scores and the group with low satisfaction scores in relation to 7 information sources and 10 selection criteria. There was significant of one selection criteria(coordination with other products). None of information sources were significant.
      3.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s with the demographic variables in relation to 7 information source and 10 selection criteria. There were significant of four selection criteria(product quality, product price, terms of sale) and one information source(fashion magazine).
      4.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information sourc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election criteria as the dependent variables. Observation of street fashion affected quality of product, design/style of product, coordination with other product. And vendor representatives affected terms of sale, fashion awareness of vendor, reliability of vendor, price of product.
      5.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s with demographic variables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of four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sales, gross margin, net sales per square foot, net sales per employee).
      Finally some selection criterias and information sources used by apparel retailers in making a purchase appear to be related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store performance.
      Several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conjunction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to a grater retail buyers representing different store type and merchandise li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의류 소매업자의 개념과 구매행동 = 3
      • 1) 의류 소매업자의 개념 = 3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의류 소매업자의 개념과 구매행동 = 3
      • 1) 의류 소매업자의 개념 = 3
      • 2) 의류 소매업자의 역할. = 4
      • 3) 의류 소매업자의 구매 행동. = 7
      • 2. 공급원 선택 기준 = 10
      • 1) 공급원의 개념과 유형 = 10
      • 2) 공급원 선택 기준 = 13
      • 3. 정보원 사용 = 16
      • 4. 상점 성과 만족도 = 17
      • 5. 인구통계적 특성 = 22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5
      • 1. 연구 가설 = 25
      • 2. 연구 대상 = 26
      • 3. 예비 조사 및 본 조사 = 27
      • 1) 1차 예비 조사 (실태 조사) = 27
      • 2) 2차 예비 조사 = 27
      • 3) 본 조사 = 28
      • 4. 측정 도구 = 29
      • 5. 자료 분석 = 29
      • Ⅳ. 결과 및 분석 = 30
      • 1. 상점 성과 만족도와 공급원 선택 기준과의 관계 = 30
      • 2. 상점 성과 만족도와 정보원 사용의 관계 = 32
      • 3. 인구통계적 특성과 공급원 선택 기준과의 관계 = 33
      • 4. 인구통계적 특성과 정보원 사용과의 관계 = 35
      • 5. 정보원 사용과 공급원 선택 기준과의 관계 = 37
      • 6. 인구통계적 특성과 상점 성과 만족도의 관계 = 38
      • Ⅴ. 결론 및 제언 = 41
      • 참고문헌 = 45
      • ABSTRACT = 48
      • 부록 =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