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연구 :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40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경영컨설팅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8.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 A Focus on Moder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 형태사항

        vii, 11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영철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95-11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철강 산업은 우수한 품질 경쟁력으로 세계 철강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가에서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우리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포스코 경영연구소의 내부 보고서(2013)에 의하면 앞으로 철강 산업의 침체는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철강 산업이 경쟁 국가보다 더 진보할 수 있는 경쟁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복수의 대안을 설정하는 리얼 옵션(real option) 경영과 기술혁신을 통한 품질경쟁력을 갖추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패러독스(paradox) 경영이 가능한 조직문화의 형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철강 기업 P사를 대상으로 조직유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 이를 기업에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 유형은 합의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로 구분하였고, 조직유효성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와 함께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P사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P사의 핵심 사업지역인 서울, 포항, 광양, 인천지역으로 설정하여 총 44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으며, 타당도 검사를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분석을 위해 먼저 P사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P사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응답자 441명의 전체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P사 조직문화 유형은 합의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별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인식에서 서울지역 근로자들은 위계문화와 합의문화, 합리문화를 거의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포항, 광양지역의 근로자들은 합리문화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별 조직문화 유형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 사원급, 대리급의 일반사원들은 조직문화를 합리문화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과장급, 차장급, 부장급의 관리직들은 조직문화를 합의문화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사는 전체적으로 조직내에 다양한 조직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지역과 직위 등에 따라 특유의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실시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 유형 가운데 합의문화와 합리문화가 철강 기업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발문화와 위계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조직문화 유형 인식가운데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 유형으로는 합의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개발문화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결과와는 다르게 개발문화가 철강 기업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겠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조직문화 유형 인식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은 이들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합의문화와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공유리더십은 이들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조직문화 유형 가운데 구성원들 간의 강한 응집력과 신뢰가 형성된 합의문화 및 창의력과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자율성을 강조하는 개발문화가 형성된 조직에서 공유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더욱 높여주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는 공유리더십의 특성이 업무 처리 과정이나 직무와 관련된 것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위해 구성원들 간에 상호 리더십을 발휘하는 공유리더십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치열한 글로벌 경쟁체제하에 있는 철강 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전 산업에 걸쳐 본 연구가 기업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한국의 철강 산업은 우수한 품질 경쟁력으로 세계 철강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가에서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우리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포스코 ...

      한국의 철강 산업은 우수한 품질 경쟁력으로 세계 철강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가에서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우리 기업을 위협하고 있다. 포스코 경영연구소의 내부 보고서(2013)에 의하면 앞으로 철강 산업의 침체는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철강 산업이 경쟁 국가보다 더 진보할 수 있는 경쟁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복수의 대안을 설정하는 리얼 옵션(real option) 경영과 기술혁신을 통한 품질경쟁력을 갖추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패러독스(paradox) 경영이 가능한 조직문화의 형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철강 기업 P사를 대상으로 조직유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 이를 기업에 접목시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 유형은 합의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로 구분하였고, 조직유효성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와 함께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P사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P사의 핵심 사업지역인 서울, 포항, 광양, 인천지역으로 설정하여 총 44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으며, 타당도 검사를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분석을 위해 먼저 P사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P사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응답자 441명의 전체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P사 조직문화 유형은 합의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별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인식에서 서울지역 근로자들은 위계문화와 합의문화, 합리문화를 거의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포항, 광양지역의 근로자들은 합리문화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별 조직문화 유형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 사원급, 대리급의 일반사원들은 조직문화를 합리문화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과장급, 차장급, 부장급의 관리직들은 조직문화를 합의문화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사는 전체적으로 조직내에 다양한 조직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지역과 직위 등에 따라 특유의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실시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 유형 가운데 합의문화와 합리문화가 철강 기업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발문화와 위계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조직문화 유형 인식가운데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 유형으로는 합의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개발문화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결과와는 다르게 개발문화가 철강 기업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겠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조직문화 유형 인식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은 이들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합의문화와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공유리더십은 이들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조직문화 유형 가운데 구성원들 간의 강한 응집력과 신뢰가 형성된 합의문화 및 창의력과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자율성을 강조하는 개발문화가 형성된 조직에서 공유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더욱 높여주는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는 공유리더십의 특성이 업무 처리 과정이나 직무와 관련된 것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위해 구성원들 간에 상호 리더십을 발휘하는 공유리더십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치열한 글로벌 경쟁체제하에 있는 철강 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전 산업에 걸쳐 본 연구가 기업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steel industry is world known for its superior qualit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several competing nation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threatened Korea's leading position in the steel industry with competing prices. According to POSCO Research Institute’s (POSRI) internal report in 2013, the steel industry’s recession is expected to escalate.
      Therefore, Korea is in urgent need of securing competitiveness that can advance Korea ahead of other competing countries.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llows real option management that can offer multiple decision alternatives is needed as well as paradox management that will secure both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that promote organizational efficiency at Korea’s world leading steel company ‘P’ and apply them to the company to enable continued growth. For thi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divided into consensus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iciency was examined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were examined.
      The employees of ‘P’ company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411 employees from Seoul, Pohang, Gwangyang, and Inchon. Cronbach's alpha was used to verify the survey’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urvey’s validity.
      First,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P’ company’s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was analyz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all 411 employees recognized the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s the same.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by region, employees from Seoul recognized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s almost the same, and employees from Pohang and Gwangyang recognized the rational culture the most. Also,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office posi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ordinary employees such as general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were inclined to recognize organizational culture as ra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managers, deputy general managers, and general managers had a tendency to recogniz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as a consensus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arious organizational cultures exist within the 'P' compan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region or job position.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all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consensus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do not have similar influence.
      Second,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posi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One distinguishing difference is that development culture also posi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whereas it did not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share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it does no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Shared leadership also positive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among consensus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 an organization with a developed consensus culture with a highly developed sense of fellowship and trust among employees, as well as a development culture that values creativity and ideas, shared leadership is confirmed to have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demonstrates the great impact shared leadership has over task performance processes or other work-related practices.
      To summarize, the study reveals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in promoting the employee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t work. Also, organizational culture is a highly important factor behind formation of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These results should become a guideline for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panies that are in global competition.
      번역하기

      Korea’s steel industry is world known for its superior qualit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several competing nation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threatened Korea's leading position in the steel industry with competing prices. According to POSCO R...

      Korea’s steel industry is world known for its superior quality and competitiveness. However, several competing nation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threatened Korea's leading position in the steel industry with competing prices. According to POSCO Research Institute’s (POSRI) internal report in 2013, the steel industry’s recession is expected to escalate.
      Therefore, Korea is in urgent need of securing competitiveness that can advance Korea ahead of other competing countries.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llows real option management that can offer multiple decision alternatives is needed as well as paradox management that will secure both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that promote organizational efficiency at Korea’s world leading steel company ‘P’ and apply them to the company to enable continued growth. For thi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divided into consensus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efficiency was examined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were examined.
      The employees of ‘P’ company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411 employees from Seoul, Pohang, Gwangyang, and Inchon. Cronbach's alpha was used to verify the survey’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urvey’s validity.
      First,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P’ company’s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was analyz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all 411 employees recognized the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s the same.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by region, employees from Seoul recognized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s almost the same, and employees from Pohang and Gwangyang recognized the rational culture the most. Also,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office posi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ordinary employees such as general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were inclined to recognize organizational culture as ra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managers, deputy general managers, and general managers had a tendency to recogniz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as a consensus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arious organizational cultures exist within the 'P' compan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region or job position.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all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consensus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do not have similar influence.
      Second, consensus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posi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One distinguishing difference is that development culture also positive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whereas it did not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share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it does no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Shared leadership also positive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among consensus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 an organization with a developed consensus culture with a highly developed sense of fellowship and trust among employees, as well as a development culture that values creativity and ideas, shared leadership is confirmed to have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demonstrates the great impact shared leadership has over task performance processes or other work-related practices.
      To summarize, the study reveals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in promoting the employee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t work. Also, organizational culture is a highly important factor behind formation of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These results should become a guideline for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panies that are in global compet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5
      • 1. 연구범위 5
      • 2. 연구방법 6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5
      • 1. 연구범위 5
      • 2. 연구방법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절 조직문화 8
      • 1. 조직문화의 이해 8
      •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11
      • 3. 조직문화의 유형 분류와 경쟁가치모형 16
      • 제 2 절 공유리더십 23
      • 1. 공유리더십의 개념 23
      • 2. 공유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 27
      • 제 3 절 조직유효성 29
      • 1. 조직유효성의 개념 29
      • 2. 조직유효성의 접근방법 30
      • 3. 조직몰입 32
      • 4. 직무만족 38
      • 제 4 절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43
      • 제 5 절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 46
      • 제 3 장 연구의 설계 48
      •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계 48
      • 제 2 절 연구가설의 설정 49
      •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3
      • 1. 조직문화 유형 53
      • 2. 공유리더십 55
      • 3. 조직유효성 55
      • 제 4 절 설문지의 설계 57
      • 제 4 장 실증연구 58
      • 제 1 절 인구통계 분석 58
      • 제 2 절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61
      • 1. 신뢰도 분석 61
      • 2. 구성타당도 분석 62
      • 3. 상관관계 분석 65
      • 제 3 절 P사 구성원들의 조직문화 유형에 대한 인식 분석 66
      • 제 4 절 연구가설의 검증 74
      • 1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계 검증 74
      • 2.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 검증 80
      •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88
      • 제 1 절 요약 및 결론 88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92
      • 참고문헌 95
      • Abstract 111
      • 부 록(설문지) 11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Qu inn, Kimberly, "Paradox", 1983

      2 March, James G, "Organizations", Blackwell Business, 1993

      3 이학종, "조직행동론", 法文社, 2004

      4 Meyer, Tett, "Job Satisfaction", 1993

      5 이종연, "행정학 사전", 행정학사전, 2009

      6 H.M.Trice, Beyer, J.M., Stevens, "Assessing personal", 1978

      7 신유근, "조직행동연구", 1998

      8 Robbins, Stephen P., "Organization theory", Prentice-Hall, Inc., 1984

      9 Shaw, "Communication networks", 1964

      10 Zajac, Mathieu, "Psychological Bulletin", 1990

      1 Qu inn, Kimberly, "Paradox", 1983

      2 March, James G, "Organizations", Blackwell Business, 1993

      3 이학종, "조직행동론", 法文社, 2004

      4 Meyer, Tett, "Job Satisfaction", 1993

      5 이종연, "행정학 사전", 행정학사전, 2009

      6 H.M.Trice, Beyer, J.M., Stevens, "Assessing personal", 1978

      7 신유근, "조직행동연구", 1998

      8 Robbins, Stephen P., "Organization theory", Prentice-Hall, Inc., 1984

      9 Shaw, "Communication networks", 1964

      10 Zajac, Mathieu, "Psychological Bulletin", 1990

      11 Herzberg, F., "The Motivation to Work", TheMotivation to Work, 1959

      12 김성수, "조선일보(2013 11. 9)", 2013

      13 Gibb, "Leadership, In G. Lindzey", "Leadership, 1954

      14 Schein, Edgar H, "Organizational psychology", Prentice-Hall, Organizational psychology, 1965

      15 Davis, Stanley M, "Managing corporate culture", Ballinger Pub. Co., Managing Corporate Culture, 1984

      16 Norman.N.J, Hair, "Nonlinear Statistical Models", 1998

      17 Stee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1977

      18 Streers, "OrganizationalBehavior,5thed", Organizational Behavior 5th ed, 1994

      19 김종민, "2040 중국철강산업전망", 2011

      20 Miles, Robert H, "Macro organizational behavior", Scott, Foresman and Company, Macro organizational behavior, 1980

      21 Gilmer,B.H., "Industrial Psychology(2nd ed.)", Industrial Psychology 2nd. ed, 1966

      22 Yuchtman, Seashore, "Administrative sciencequarterly", 1967

      23 McCormick, E. J, "Industrial psychology (7th ed.)", 1980

      24 Pascal, Athos, "The Arts of Japanese Management", The arts of japanesemanagement, 1981

      25 이한검, "(세계화시대의)기업문화", 형설, 2000

      26 Ouichi, "Markets, Bureaucracies, and Clans", "Markets Bureaucracies, 1980

      27 Smith, Henry Clay,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McGraw-Hill Kogakusha, 1972

      28 Feldman, "A contingencytheoryofsocialization", A contingency theory of socialization, 1976

      29 Pettigrew,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 1979

      30 Berger, Luckman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1967

      31 최종태, "현대조직론 : 이론과 설계", 1987

      32 Meyer, N.J.Allen,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1997

      33 Kanter, "Three tiers for innovation research", 1988

      34 Schein, Edgar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Jossey-Ba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1997

      35 Kozlowski, Bell, "Work Groups and Teams inOrganizations", Work Groups and Teamsin Organizations, 2003

      36 Ebers, "The framing of organizational cultures", 1995

      37 Heskett, A.Schlesinger, Heskett, J. L., "Putting the Service Profit Chain to Work", Putting the Service-Profit Chain toWork, 1994

      38 Harrison, "Understanding YourOrganization Character",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 character, 1972

      39 Holt.K,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1984

      40 Payne,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team: a view", 1990

      41 방호진, 차동욱, 이정훈, "공유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연구", 2008

      42 Gronn, "Distributed leadership as a unit of analysis", 2002

      43 백경선, 홍후조,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979

      44 Denison, "Bringing Corporate Culture to the Bottom Line", Bringing corporate culture to the bottomline, 1984

      45 Wallac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TheCultureMatc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 The CultureMatch, 1983

      46 Van de ven, "CentralProblems in the Management ofInnovation",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innovation, 1986

      47 Bavelas, "Communication patterns in task oriented groups", 1960

      48 P.E.Mott,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s", 1972

      49 Kahn, Katz,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2nd ed.)", The Social Psychology ofOrganization(2nd ed.), 1978

      50 Van Maanen, Schein, "Toward a theory of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oward a theory oforganizational socialization, 1979

      51 Smirich,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1983

      52 Luthans, Talor, D.Back,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sis of Antecedents", OrganizationalCommitment; Analysis of Antecedents, 1987

      53 Neubert, "Too much of a good thing or the more the merrier?", Too much of a good thing or the more themerrier?, 1999

      54 Bass, "Bass and Stodgill's handbook of leadership :theory", 1990

      55 Dension,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effectiveness, 1990

      56 Van Maanen, "Breaking in : Socialization to work. In R. Dubin(Ed)", "Breaking in : Socialization to work, 1976

      57 Rousseau, "Psychological and implied contracts in organizations", Psychological and Implied Contracts inOrganizations, 1989

      58 Steer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commitment, 1977

      59 Bergman, "The shared leadership process indecision making teams", 2012

      60 Brass,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on humanresources management", 1995

      61 Zammuto, Krakower, "QuantitativeandQualitativeStudiesof OrganizationalCultu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1991

      62 Lock, "The Nature and Causes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d)", "The Nature and Causes Job Satisfaction In M, 1976

      63 Stumpf, McDanial, "The Organizational Culture:Implication for Nursing Servi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Implication for Nursing Service, 1993

      64 이종두,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산업과 경영제10권 1호. pp.321-363, 1997

      65 Dill, A.A.Kennedy, "Cor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Corporate cultures : The rites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1982

      66 Mowday,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Employeeorganization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1982

      67 Allen, Meyer, "A Three ComponentConceptualiz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1991

      68 Pearce, Craig L, "Shared leadership :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2003

      69 R.C.Liden, Sparrowe, M.L.Kraimer,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s", 2001

      70 Bantel, "Strategic planning openness - The role of top team demography", Strategic Planning Openness : The Role ofTop Team Demography, 1994

      71 Smith, Hulin, "Empirical Investigation ofTwo-Factor Theory of Job Satisfaction", 1967

      72 Sathe, "Implications for Corporate Culture: A Manager's Guide to Action", Implications for corporate culture: A manager'sguide to action, 1983

      73 Brown, "Identifications and Some conditions of OrganizationalInvolvement", Identifications and Some Conditions ofOrganizational Involvement, 1969

      74 Peter, Waterman, "In search of excellence: Lesson from America'sbest-run companies", In Search of Excellence :Lesson From America's Best-Run Companies, 1982

      75 Etzioni, Amitai, "The active society : a theory of societal and political processes", Collier-Macmillan, The active society : a theory of societal andpolitical processes, 1968

      76 신철우, "조직문화와 동기부여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淸州大學校 産業經營硏究所, "한국성인교육학회, 2002

      77 Avolio, Sivasubramanium, Jung, "Buildinghighly developed teams: Focusing on shared leadershipprocess", 1996

      78 Heck, Marcoulid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 Proposing and testing a model", 1993

      79 Ghoshal,S., Nahapiet,J.,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Social Capital IntellectualCapital, 1998

      80 김진욱, 장영철, 지철규, "핵사곤 리더십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81 Greenberg, "Behavior in Organizations, 8th et., UpperSaddle River, NJ : Prentice-Hall", "Behavior in Organizations, 2009

      82 McGrath, Qu inn, "The transformation oforganizational cultures : A competing value approach", 1985

      83 L.Bradly, Parker,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Evidence from Six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sector : evidence from six organizations, 2000

      84 Glassman, "Charisma and social structure - thesuccessor failure of charismatic leadership", 1986

      85 Day, Hiller, Vance,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Collective enactment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2006

      86 Jones,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andnewcomer's adjustment to organizations",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1986

      87 신유근, "한국기업의 경영조직·경영전략·인사관리에 대한 현상분석", 1992

      88 김원석, "조직문화와 기업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연구", 1991

      89 Gordon, "The relationship of corporate culture to industrysector and corporate performance", 1985

      90 Decotis, "A Path AnalysisModelofthe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th analysis model of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commitment, 1987

      91 Ronan, "Effects of Goal Setting and Supervision onWorker Behavior in an Industrial Situation", 1973

      92 김호정,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효과성의 관계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조직문화, 2003

      93 O'Reilly, "Corporations, Culture, and Commitment: Motivation and Social Control in Organizations", Corporations culture and commitment :Motivation and social control in organizations, 1989

      94 Dygert, Jacobs, "Creating a Culture of Success: Fine-tuning the Heart and Soul of your Organizational;", 2004

      95 Tesluk, Carson, Marrone, "Shared leadership in teams: An investigation of antecedent conditions and performance", 2007

      96 양동민, 심덕섭, "프로젝트 팀 내 다양성, 공유리더십, 성과 간의관계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팀 내 다양성, 2009

      97 Jones, "Transaction Costs, Property Rights, andOrganizational Culture: An Exchange Perspective", Transaction costs property rights andorganizational culture: An exchange perspective, 1983

      98 한주희, 박석구, 황원일, "조직문화 인식 유형이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조직문화 인식유형이 조직몰입 유형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97

      99 Buhanan.B,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organizations",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1974

      100 O'Toole, Lawler.E.E, Galbraith, "When two(ormore) heads are better than one: The promise and pitfallsof shared leadership", 2002

      101 Qu inn, "Beyond Rational Management Mastering theParadoxes & Compeying Demands of High Performance", 1988

      102 Day, Carroll, "Using an Ability-based Measure ofEmotional Intelligence to Predict Individual Performance", 2004

      103 박호득, 안영식, 서희정, "중소기업 근로자의 조직학습과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012

      104 포스코경영연구소, "2014년 국내외 경제·철강시장 전망 - 저수익·저성장시대 극복의 원년", 2013

      105 Quinn, R. E., Cameron, Qu inn, "Organizational life cycle and shifting criteria of effectiveness: Some preliminary evidence", Organizational life cycle andshifting criteria of effectiveness: Some preliminary evidence, 1983

      106 Willkins, "Efficient cultures: Exploring the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1983

      107 Campbell, "Contributions research can make inunderstand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 L. Spray.ed", 1976

      108 김종진,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립대학을 대상으로",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국립대학을 대상으로, 2005

      109 구연원, "조직문화 유형과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0 Wiener, "Forms of value system: A focus on organizationaleffectiveness and culture change and maintenance", 1988

      111 Pearce, Manz, "The new silver bullets of leadership: Theimportance of self-and shared leadership in knowledge work", The new silver bullets ofleadership : The Importance of self and shared leadershipin knowledge work, 2005

      112 Louis, "Newcomers as lay ethnographers ;Acculturation dur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B.Schneider(ed)", 1983

      113 Chatman, O??Reilly Ⅲ, Caldwell,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1991

      114 이정일,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2

      115 지철규, 장영철, "지식근로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영향 - 공유리더십을 조절 변수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116 Kwantes, Boglarsky, "Perceptions of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Personal Effectiveness Across Six Countries", "Perceptions ofOrganizational Culture, 2007

      117 김진욱, "공유리더십이 종업원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18 지철규, "지식근로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공유리더십의역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19 Roberts, "Regulatory Focus as a Mediator of theInfluence of Initiating Structure and Servant Leadership onEmployee Behavior", 2008

      120 Pearce, Sims.H.P, "The relative influence ofvertical vs shared leadership on the longitudinaleeffectiveness of change management teams", 2002

      121 이광수, "조직문화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성남시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122 Grung, Grungig, Dozier, "Inside theorganization: culture structure, systems of internalcommunication, gender, and diversity. In Grunig, L.(Ed.)", "Inside theorganization: culture structure, 2002

      123 Alavi, Yoo, Pearce, "Leadership, social work and virtual teams: The relative influence of vertical vs. shared leadership in the nonprofit sector", Leadership social workand virtual teams: The relative influence of vertical vs.shared leadership in the nonprofit sector, 2004

      124 Meyer, Topolnytsky,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 a meta 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Affective, 2002

      125 Jaskyte, Dressler, "Studying Culture as anIntegral Aggregate Variable : Organizational Culture andInnovation in a Group of Nonprofit Organizations", 2004

      126 임채숙, 임채숙,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영향 :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2009

      127 Pearce, Ensley, Hmieleski, "The importance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within new venture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importance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within newventure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theperformance of startups, 2006

      128 Qu inn, Spreizer, "The psychometric of the competing values culture instrument and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quality of life", 1991

      129 O'Reilly, J.Chatma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Psychological Attachment : The Effect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psychological attachment : The effect of compliance, 1986

      130 이병동, 이병동, "경찰의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