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로부터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의 문제요 몸(신체)의 문제로 인식됐다. 이 글은 욕망의 근원과 원리를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구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현상을 탐구하는 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7921
2019
-
욕망 ; 정신 ; 확장된 신체 ; 욕망의 이데올로기 ; 소비 욕망 ; Desire ; Spirit ; Extended Body ; Ideology of Desire ; Consumption Desire
KCI등재
학술저널
35-68(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대로부터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의 문제요 몸(신체)의 문제로 인식됐다. 이 글은 욕망의 근원과 원리를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구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현상을 탐구하는 데 ...
고대로부터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의 문제요 몸(신체)의 문제로 인식됐다. 이 글은 욕망의 근원과 원리를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구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현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간의 욕망은 우선 생물학적 필요와 요구로부터 자연스럽게 생성되지만, 근본적으로 한계를 모르는 정신의 무제약적 행위에 근거한다. 인간이 욕망하는 주체인 것은 인간이 신체를 갖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정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신체적 욕구(physiological needs)는 생리적 한계를 갖지만, 정신적 욕구(mental greed)는 결코 만족하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욕망은 인간에게 있어서 필연적으로 몸을 매개로 하는 정신의 표현이기에 육체의 기능 없이는 불가능하다. 인간의 욕망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본성에 근거하지만, 또한 사회 구조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모습을 띠고 나타난다. 오늘날 현대 사회의 욕망은 지각 체험을 넓혀주는 ‘신체의 확장으로서 욕망’, 욕망을 감추고 이데올로기화하는 ‘욕망의 이데올로기’, 존재와 소유 사이에서 소유를 지향하는 ‘과대 소비 욕망’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ancient times, desire has been perceived as a matter of emotional and physical (bodily) problems that arise from deprivation. This article aims to disclose the origins and principles of desire from a metaphysical point of view and explore the ph...
Since ancient times, desire has been perceived as a matter of emotional and physical (bodily) problems that arise from deprivation. This article aims to disclose the origins and principles of desire from a metaphysical point of view and explore the phenomenon of desire in modern society. Human desires initially arise naturally from biological needs and demands, but they are based on the unrestrained movements of the mind as essentially unaware of human limitations. Desire arises not because human beings have bodies, but more so because they have minds. Physiological needs have physical limitations, but mental greed is unlimited. It can never be fully satisfied. Of course, mental desires inevitably use the body a medium; without the body, they cannot pursue their desired goal. Human desire is based on human nature; but because it depends on physical activity, it is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structures; and it can take various forms in social interaction. Desire in today’s modern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as “desire as an extension of the body” that broadens the perception of experience, as an “ideology of desire” that screens desire by making it ideological, and as “desire of overconsump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준, "한나 아렌트의 인간관 - 『인간의 조건』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탐구 -" 철학연구소 38 : 9-38, 2014
2 한병철, "피로 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이제이북스 2011
4 플라톤, "파이드로스" 이제이북스 2017
5 마셜 매클루언, "테런스 고든(엮음), 김상호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6 안셀름 그린, "탐욕" 바오로딸 2018
7 황순향, "탈구조주의 이론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 새한철학회 76 (76): 649-677, 2014
8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9 쇠렌 키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한길사 2007
10 김석, "존재를 향한 욕망의 윤리" 23 : 20-32, 2011
1 박병준, "한나 아렌트의 인간관 - 『인간의 조건』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탐구 -" 철학연구소 38 : 9-38, 2014
2 한병철, "피로 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이제이북스 2011
4 플라톤, "파이드로스" 이제이북스 2017
5 마셜 매클루언, "테런스 고든(엮음), 김상호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6 안셀름 그린, "탐욕" 바오로딸 2018
7 황순향, "탈구조주의 이론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 새한철학회 76 (76): 649-677, 2014
8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9 쇠렌 키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한길사 2007
10 김석, "존재를 향한 욕망의 윤리" 23 : 20-32, 2011
11 르네 데카르트, "정념론" 문예출판사 2013
12 에머리히 코레트, "전통 형이상학의 현대적 이해-형이상학 개요"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0
13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욕망" 한국학술정보 2011
14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3
15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새물결 2013
16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에 관하여" 궁리 2001
17 박병준,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학 이해" 140 : 66-87, 2003
18 최영송, "슬라보에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9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는 마사지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0 라이오넬 블레인, "마르셀과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 25 : 12-21, 1974
21 홍준기, "라캉의 재판생" 창작과비평사 15-141, 2002
2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도서출판 길 2011
23 플라톤, "국가" 서광사 1997
24 플라톤, "고르기아스" 이제이북스 2014
25 이명곤, "가브리엘 마르셀의 형이상학적 갈망으로서의 존재에 대한 갈망 - '존재론적 exigence'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69) : 433-456, 2013
26 Haben oder Sein, "To have or to be?" Continuum 1997
27 Lacan, J., "Séminaire 22 - R. S. I.: 1974-1975" Publication hors commerce 1999
28 Lacan, J., "Séminaire 11 -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Seuil 1964
29 Marcel, G., "Homo Viator: Introduction to a Metaphysic of Hope" Henry Regnery Company 1951
30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258-289, 1996
31 권택영, "(자크 라캉)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1-36, 1996
32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50-94, 1996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이 갖는 표상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가톨릭철학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4 | 0.85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