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과학기술의 놀라운 발전은 인류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취약함을 개선 혹은 제거하여 ‘인간 이후의 인간’, ‘포스트-휴먼’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7920
2019
-
존재론 ; 현대 철학 ; 생명 윤리 ; vulnerability ; post-human ; transhumanism ; human enhancement ; humanity
KCI등재
학술저널
5-33(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과학기술의 놀라운 발전은 인류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취약함을 개선 혹은 제거하여 ‘인간 이후의 인간’, ‘포스트-휴먼’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
오늘날 과학기술의 놀라운 발전은 인류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취약함을 개선 혹은 제거하여 ‘인간 이후의 인간’, ‘포스트-휴먼’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인간적 취약함’에 대한 논의는 인공적 진화와 관련된 실천적 질문에 대해 어떤 답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제공해야만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인간적 취약함의 의미’에 대한 탐구는 우리가 현재 마주하고 있는 거대하고 긴급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려줄 뿐이다. 문제의 해결은 인간다움의 이중적 의미가 지닌 내적 긴장으로부터 제기되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부터 주어질 것이다. 결국 문제는 다시 “인간이란 무엇인가?”이며, 인간다움에 대한 우리의 선택이다. 우리는 우선 취약함이란 말의 어원적 의미를 분석하면서 취약함을 ‘인간의 존재 조건’이자 ‘인간이 도전하여 극복하고자 하는 한계’로 정의하고, 그러한 정의가 인간 강화 시대에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가 인간 강화와 관련되어 제기된 실천적 차원의 문제에 답을 줄 수는 없지만,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전통적 문제를 시급히 다시 소환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given mankind the possibility to evolve into ‘human after human’, ‘post-human’ by improving or eliminating his own vulnerability by his own power. Thus the theoretical discussion ...
Today,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given mankind the possibility to evolve into ‘human after human’, ‘post-human’ by improving or eliminating his own vulnerability by his own power. Thu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human vulnerability’ seems to be able and have to provide some answers to the practical questions related to artificial evolution. But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the quest for ‘meaning human vulnerability’ will only tell us what the huge and pressing problem we are facing today. In fact, the solution of the practical problem will be given from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human?” raised from the inner tension with the dual meaning of humanity. After all, the question is “What is human?” again, and our choice of humanity. We will first analyze the etymological meaning of the word ‘vulnerability’ and define ‘vulnerability’ as a ‘condition of human being’ and ‘the limit which human tries to overcome’ and see how that definition changes in the era of human enhancement. And although these discussions can not answer the practical question posed in relation to human enhancement, they will show that they urgently recall the traditional question, “what is human?”, to solve this problem.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아카넷 2014
2 오영주,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외국문학연구소 (58) : 73-100, 2015
3 이원태, "포스트휴먼(Post-human)시대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문사회 학제간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4
4 김진경, "인지 향상 약물 사용을 위한 윤리적 실천 방안 모색" 새한철학회 85 (85): 163-182, 2016
5 앨런 뷰캐넌, "인간보다 나은 인간: 인간 증강의 약속과 도전" 로도스 2015
6 마이클 샌델,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7 미셸 우엘벡, "어느 섬의 가능성" 열린책들 2007
8 정재우,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인간학연구소 (28) : 127-154, 2015
9 이중원,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의 윤리적 수용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기존 찬반 논변들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논의지평 모색" 철학연구회 (87) : 157-188, 2009
10 오영주,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한국불어불문학회 (101) : 103-125, 2015
1 신상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아카넷 2014
2 오영주,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 - 미셸 웰벡의 『어느 섬의 가능성』" 외국문학연구소 (58) : 73-100, 2015
3 이원태, "포스트휴먼(Post-human)시대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문사회 학제간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4
4 김진경, "인지 향상 약물 사용을 위한 윤리적 실천 방안 모색" 새한철학회 85 (85): 163-182, 2016
5 앨런 뷰캐넌, "인간보다 나은 인간: 인간 증강의 약속과 도전" 로도스 2015
6 마이클 샌델,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7 미셸 우엘벡, "어느 섬의 가능성" 열린책들 2007
8 정재우, "생명윤리 성찰을 위한 인간 몸의 인간학적 의미 고찰" 인간학연구소 (28) : 127-154, 2015
9 이중원,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의 윤리적 수용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기존 찬반 논변들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논의지평 모색" 철학연구회 (87) : 157-188, 2009
10 오영주, "『어느 섬의 가능성』 혹은 ‘잃어버린 몸을 찾아서’ - 포스트휴먼 주체와 몸" 한국불어불문학회 (101) : 103-125, 2015
11 Schermer, Maartje, "The Future of Psychopharamachological Enhancement: Expectations and Policies" 2 : 2009
12 Merleau-Ponty, M,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13 Henry, M., "Philosophie et phénoménologie du corps" PUF 1987
14 Naam, R, "More than Human: Embracing the Promise of Biological Enhancement" Broadway Books 2005
15 Marcel, G, "Le mystère de l’être" Présence de Gabriel Marcel 1997
16 Houellebecq, M, "Interventions" Flammarion 1998
17 Synifzik, M., "Ethically Justified, Clinically Applicable Criteria for Physician Decision-Making in Psychopharamacological Enhancement" 2 : 89-102, 2009
18 Maine de Biran, "Essai sur les fondements de la psychologie, OEuvres VII" Vrin 2001
19 Lévinas, E,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Le Livre de Poche 2004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욕망 -욕망에 대한 형이상학적 본질 탐구-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이 갖는 표상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가톨릭철학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4 | 0.85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