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 = The Implications of Bio-philosophy and Biopoli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7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와 그 관계를 해명하려는 글이다. 생명에 대한 존재자적 탐구가 생명의 의미를 망각한다면 생명철학은 그 존재론적 의미를 밝히는 형이상학적 작업이다. 그에 비해 생명정치학은 생명체의 타당한 존재론적 터전을 정립하는 실천 철학의 영역에 속한다. 현대의 사회문화적 상황은 생명을 실용주의적 관점에 따라 대상화함으로써 생명이 생명으로 자리할 터전을 박탈한다. 이런 현대 사회의 생명성 망각과 생명 소외 현상을 넘어설 길을 생명철학의 존재론과 생명정치학의 실천철학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이 글에 담긴 근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 두 학문을 포괄하는 맥락에서 설정한 생명학의 범위와 내용을 해명한다. 이어 생명철학의 내용을 설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생명정치학의 내용을 소개한다. 여기에는 F.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와 G. 아감벤의 생명정치학이 포함된다. 이어 현대 사회에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전유하면서 이를 자본주의적 맥락으로 몰아가는 생명자본의 정치경제학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우리의 실존과 존재를 생명성으로 연결지어 해명하는 철학적 사유가 필요함을 말하면서 정당하게 이해하는 생명철학적 학문을 주장할 것이다. 그에 따라 생명과 올바른 관계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정치학이 정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와 그 관계를 해명하려는 글이다. 생명에 대한 존재자적 탐구가 생명의 의미를 망각한다면 생명철학은 그 존재론적 의미를 밝히는 형이상학적 작업...

      이 논문은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와 그 관계를 해명하려는 글이다. 생명에 대한 존재자적 탐구가 생명의 의미를 망각한다면 생명철학은 그 존재론적 의미를 밝히는 형이상학적 작업이다. 그에 비해 생명정치학은 생명체의 타당한 존재론적 터전을 정립하는 실천 철학의 영역에 속한다. 현대의 사회문화적 상황은 생명을 실용주의적 관점에 따라 대상화함으로써 생명이 생명으로 자리할 터전을 박탈한다. 이런 현대 사회의 생명성 망각과 생명 소외 현상을 넘어설 길을 생명철학의 존재론과 생명정치학의 실천철학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이 글에 담긴 근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 두 학문을 포괄하는 맥락에서 설정한 생명학의 범위와 내용을 해명한다. 이어 생명철학의 내용을 설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생명정치학의 내용을 소개한다. 여기에는 F.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와 G. 아감벤의 생명정치학이 포함된다. 이어 현대 사회에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전유하면서 이를 자본주의적 맥락으로 몰아가는 생명자본의 정치경제학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우리의 실존과 존재를 생명성으로 연결지어 해명하는 철학적 사유가 필요함을 말하면서 정당하게 이해하는 생명철학적 학문을 주장할 것이다. 그에 따라 생명과 올바른 관계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정치학이 정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philosophy and biopolitics. The biophilosophy is a metaphysical work that reveals its ontological meaning if the quest for existence of life forgets the meaning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biopolitics belongs to the field of a practical philosophy that establishes the valid ontological place of life.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situations deprive life as a place of life by targeting life according to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life-forgetting and life alienation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from the ontology of life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life politic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account for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study of life set out in the context of these two disciplines. After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 biophilosophy, the contents of biopolitics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is. This includes F. Foucault’s life-management politics and G. Agamben’s biopolitics. Then, we critically analyze the political economics of biocapital which appropriates the scientific knowledge of lif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drives it into the capitalist contex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nclusion will insist on the life-ness that we understand justly, saying that we need a philosophical reason to link our existence and existence to life and explain it. Thus, it is possible to make to the primacy of biopolitics, which enables life to have a proper relationship with it.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philosophy and biopolitics. The biophilosophy is a metaphysical work that reveals its ontological meaning if the quest for existence of life forgets the meaning of life. On the...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philosophy and biopolitics. The biophilosophy is a metaphysical work that reveals its ontological meaning if the quest for existence of life forgets the meaning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biopolitics belongs to the field of a practical philosophy that establishes the valid ontological place of life.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situations deprive life as a place of life by targeting life according to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life-forgetting and life alienation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from the ontology of life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life politic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account for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study of life set out in the context of these two disciplines. After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 biophilosophy, the contents of biopolitics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is. This includes F. Foucault’s life-management politics and G. Agamben’s biopolitics. Then, we critically analyze the political economics of biocapital which appropriates the scientific knowledge of lif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drives it into the capitalist contex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nclusion will insist on the life-ness that we understand justly, saying that we need a philosophical reason to link our existence and existence to life and explain it. Thus, it is possible to make to the primacy of biopolitics, which enables life to have a proper relationship with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감벤. 조르조, "호모 사케르 –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신승환, "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 서광사 2018

      3 브라이도티, 로지,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4 윌슨, 에드워드, "통섭 -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5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6 쿠퍼, 멜린다, "잉여로서의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기술과 자본주의" 갈무리 2016

      7 월러스틴, 이매뉴얼,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창작과비평사 2001

      8 푸코, 미셸, "안전, 영토, 인구 –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7-1978년" 도서출판 난장 2004

      9 월러스틴, 이매뉴얼, "세계체제 분석" 당대 2005

      10 푸코, 미셸,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나남 1990

      1 아감벤. 조르조, "호모 사케르 –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신승환, "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 서광사 2018

      3 브라이도티, 로지,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4 윌슨, 에드워드, "통섭 -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5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6 쿠퍼, 멜린다, "잉여로서의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기술과 자본주의" 갈무리 2016

      7 월러스틴, 이매뉴얼,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창작과비평사 2001

      8 푸코, 미셸, "안전, 영토, 인구 –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7-1978년" 도서출판 난장 2004

      9 월러스틴, 이매뉴얼, "세계체제 분석" 당대 2005

      10 푸코, 미셸, "성의 역사 1 – 지식의 의지" 나남 1990

      11 신승환, "생명학과 생명학의 철학 ― 동향과 의미 ―" 인간학연구소 (20) : 7-41, 2011

      12 신승환, "생명정치학의 철학적 지평" 철학연구소 51 : 155-181, 2017

      13 김환석, "생명정치의 사회과학 – 경계넘기의 사회과학을 위한 탐색과 제언" 알렙 2014

      14 렘케, 토마스,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그린비 2015

      15 라잔, 카우시크 순데르, "생명자본 – 게놈 이후 생명의 구성" 그린비 2012

      16 푸코, 미셸,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8-1979년" 도서출판 난장 2012

      17 푸코, 미셸,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콜레주드 프랑스 강의 1975-1976년" 도서출판 난장 2015

      18 신승환, "동서 사유의 생명철학적 계기" 인문과학연구소 1 (1): 7-30, 2017

      19 Heidegger, M, "Wegmarken" Klostermann 1967

      20 Prozorov, S, "The Routledge Handbook of Biopolitics" Routledge 2017

      21 Heidegger, M, "Sein und Zeit" De Gruyter 1927

      22 Heidegger, M., "Logik: Die Frage nach der Wahrheit" Klostermann 1976

      23 Hadot, P.,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Schwabe Verlag 52-56, 1980

      24 Hübner, H.,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Schwabe Verlag 56-59, 1980

      25 Gould, S.J., "Ever Since Darwin: Reflections in Natural History" Paperbook 1977

      26 Heidegger, M., "Einfürung in die Metaphysik" De Gruyter 1953

      27 Heidegger, M, "Die Technik und die Kehre" Klett-Cotta 1962

      28 Heidegger, M.,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 Welt – Endlichkeit – Einsamkeit" Klostermann 1983

      29 Esposito, R., "Bios: Biopolitics and Philosophy" Univ. of Minnesota Press 2008

      30 Campbell T., "Biopolitics: A Reader" A John Hope Franklin Center Book 2013

      31 Rabinow, P., "Anthropos Today: Reflections on Modern Equipment" Princeton Univ. Pres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가톨릭철학
      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4 0.85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