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근세 고증수필 속 조선관련 기사 = Articles related to Joseon cultures in Research Essay of the early moder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8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seon was a country which ha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do shogunate. Joseon and Edo had a active cultural exchanges. Japanese literatians of the 17th and 8th centuries interested in Joseon cultures and wrote in what they thought about it...

      Joseon was a country which ha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do shogunate. Joseon and Edo had a active cultural exchanges. Japanese literatians of the 17th and 8th centuries interested in Joseon cultures and wrote in what they thought about it. Joseon articles in the research essay of the early modern japan have not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studying Japanese modern literature. The articles related to Joseon in the research essay are Joseon goods(ink stick, tortoiseshell, shoes etc), Joseon books(『Jingbirok(懲毖錄)』『Jinbeob(陣法)』『pyohaelog(漂海錄)』 etc), Joseon characters (such as Hangul notation of “Namiamidabu” engraved on a stone monument), Joseon person(the person who came to buy Japanese books in Nagasak and Park sa-bu, Lee Me-gae etc). Among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ink stick fo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shoes sole are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the study of Joseon culture and custom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re was an intellectual exchange about the Joseon’s money ‘Sangpyeongtongbo(常平通寶)’and the paintings of the tiger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일본 근세기의 에도막부가 유일하게 정식 국교를 맺은 나라로 양국은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다. 조선의 문물은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이를 접한 근세 문인들은 자신의 수필집에 이에 ...

      조선은 일본 근세기의 에도막부가 유일하게 정식 국교를 맺은 나라로 양국은 활발한 교류를 이루었다. 조선의 문물은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이를 접한 근세 문인들은 자신의 수필집에 이에 대한 고증내용을 기술하게 된다. 고증수필집에 기록된 조선관련 문물은 조선의 물건(조선의 먹, 대모갑 비녀, 신발 등), 문자(비석에 ‘나무아미타불’ 한글표기 등), 조선본(『징비록』,『진법』,『표해록』등), 조선인(나가사키에 온 조선인, 이매계, 박사부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본 문인들 사이에서 조선의 상평통보, 호랑이 그림, 조선통신사 행렬도에 대한 지적 교류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에서 건너간 먹의 모양, 조선 신발의 밑바닥 모양 등에 관한 조선 측 자료는 찾아보기 힘든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근세중후기의 고증수필 속 조선 관련 기사는 그들이 어떠한 조선 문물을 접했는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조선 문물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유한, "해유록 조선 선비 일본을 만나다" 보리 65-, 2006

      2 후쿠다 야스노리,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과 상성 회복" 소명출판 326-, 2017

      3 아메노모리 호슈, "한 경계인의 고독과 중얼거림" 태학사 68-, 2012

      4 박찬기, "조선통신사와 일본근세문학" 보고사 1-322, 2001

      5 최관, "임진왜란 관련 일본 문헌 해제" 문 1-456, 2010

      6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文庫10 08032 0004)"

      7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文庫08 B0092)"

      8 "와세다대학교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ヘ13_00962)"

      9 "와세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ヘ13 02021)"

      10 한일관계사학화, "역주 교린제성" 국학자료원 43-53, 2013

      1 신유한, "해유록 조선 선비 일본을 만나다" 보리 65-, 2006

      2 후쿠다 야스노리,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과 상성 회복" 소명출판 326-, 2017

      3 아메노모리 호슈, "한 경계인의 고독과 중얼거림" 태학사 68-, 2012

      4 박찬기, "조선통신사와 일본근세문학" 보고사 1-322, 2001

      5 최관, "임진왜란 관련 일본 문헌 해제" 문 1-456, 2010

      6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文庫10 08032 0004)"

      7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文庫08 B0092)"

      8 "와세다대학교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ヘ13_00962)"

      9 "와세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ヘ13 02021)"

      10 한일관계사학화, "역주 교린제성" 국학자료원 43-53, 2013

      11 "센슈대학교 도서관 무카이문고 소장본(청구기호: /000/Z00/M0436.1)"

      12 야마자키 요시시게, "가이로쿠"

      13 中村幸彦, "近世随想集" 岩波書店 351-352, 1965

      14 宇佐美英機, "守貞謾稿 권5" 岩波書店 42-43, 2008

      15 宇佐美英機, "守貞謾稿 권3" 岩波書店 379-, 2008

      16 宇佐美英機, "守貞謾稿 권2" 岩波書店 164-, 2008

      17 喜多村筠庭, "嬉遊笑覧 1" 岩波書店 190-, 2002

      18 "https://www.pref.chiba.lg.jp/kyouiku/seisaku/shou-chuu/furusato/documents/sidou200-0.pdf#search=%27%E5%A4%A7%E5%B7%96%E9%99%A2+%E5%9B%9B%E9%9D%A2%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8 0.9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