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초·중등 지역사 교재 계열화 방안 = A Study on the Sequence of Local History Textbooks about Busan-Masan Upri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소동 이후 민주시민교육과 지역사 교육의 관련성에 주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역사 교육을 통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와 개인이 가진 다층적인 정체성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2020년을 전후하여 각 시도교육청들이 지역사 교육 활성화 조례를 발표하여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지역사 교육은 활발하지 않다. 교육과정에서 초·중·고등학교에 걸쳐서 지역사 교육을 명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3, 4학년만 지역사를 배우게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지역사 교육의 의미와 현 상황을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초등용과 중등용 지역사 교재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지역사 교육의 지향점으로 나로부터 출발하는 역사, 지역의 관점으로 본 역사, 지역사 하기를 설정하였다. 또 지역사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계열성을 설정하였다. 초등은 사실 이해를 목표로 가족과 이웃 등의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한 교재를 제작하였고, 중등은 자신만의 역사관을 형성하기 위해 인과관계 및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재를 제작하였다. 지역사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초중등에 걸친 지속적인 지역사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사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에 지역사 교육의 당위성을 명시하고, 이를 역사교과서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수업으로 실현해야 한다. 본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초·중등에 걸친 지역사 교육의 계열성을 구상할 때 참고할 수 있다.
      번역하기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소동 이후 민주시민교육과 지역사 교육의 관련성에 주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역사 교육을 통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와 개...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소동 이후 민주시민교육과 지역사 교육의 관련성에 주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지역사 교육을 통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와 개인이 가진 다층적인 정체성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2020년을 전후하여 각 시도교육청들이 지역사 교육 활성화 조례를 발표하여 지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지역사 교육은 활발하지 않다. 교육과정에서 초·중·고등학교에 걸쳐서 지역사 교육을 명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3, 4학년만 지역사를 배우게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지역사 교육의 의미와 현 상황을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부마민주항쟁을 주제로 한 초등용과 중등용 지역사 교재 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지역사 교육의 지향점으로 나로부터 출발하는 역사, 지역의 관점으로 본 역사, 지역사 하기를 설정하였다. 또 지역사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계열성을 설정하였다. 초등은 사실 이해를 목표로 가족과 이웃 등의 경험을 이야기로 구성한 교재를 제작하였고, 중등은 자신만의 역사관을 형성하기 위해 인과관계 및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재를 제작하였다. 지역사 교재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초중등에 걸친 지속적인 지역사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사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에 지역사 교육의 당위성을 명시하고, 이를 역사교과서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수업으로 실현해야 한다. 본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초·중등에 걸친 지역사 교육의 계열성을 구상할 때 참고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est in local history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 wa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oc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fter the government s case of publishing a state-authored textbook. Recently, the education offices announced an ordinance to promote local history education. However, local history education in schools is not active. Because local history education is not proper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nly third and fourth graders learn local history.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 checked the status and meaning of local history education. Next, I made a local history textbook for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about Busan-Masan Uprising. I made textbooks that included history starting from m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 and local history. The textbook was based on the sequenc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history as a fact,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form their own view of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education on local history, which l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possible. It should be described in the curriculum to educate local history.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describing the affilia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번역하기

      Interest in local history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 wa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oc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fter the government s case of publishing a state-authored textbook. Recently, the education off...

      Interest in local history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 was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ocal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fter the government s case of publishing a state-authored textbook. Recently, the education offices announced an ordinance to promote local history education. However, local history education in schools is not active. Because local history education is not proper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nly third and fourth graders learn local history.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 checked the status and meaning of local history education. Next, I made a local history textbook for 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about Busan-Masan Uprising. I made textbooks that included history starting from m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 and local history. The textbook was based on the sequenc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history as a fact,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form their own view of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education on local history, which l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possible. It should be described in the curriculum to educate local history.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describing the affilia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Ⅱ. 지역사 교육의 지향점과 현황 Ⅲ. 계열성을 고려한 지역사 교재 편찬 사례 Ⅳ. 결어
      • Ⅰ. 서언 Ⅱ. 지역사 교육의 지향점과 현황 Ⅲ. 계열성을 고려한 지역사 교재 편찬 사례 Ⅳ. 결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희, "향토사 교육의 현황" 5 : 2002

      2 조미경, "학교 급별 계열성에 입각한 단군신화 지도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석병배, "초등학교에서 지역사 자료로 역사하기 :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허영훈,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실제 :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 4․1독립만세운동 역사테마로드 만들기" 역사교육학회 (69) : 101-145, 2018

      5 이지혜,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박물관 활용의 연계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부산교육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사회 6-1" 지학사 2019

      7 최선희,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연계 지역사 교육의 실현과 의의, 안양시‘우리 고장 바로알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0

      8 허은철, "초등 지역사 교육과정의 변화와 방향 모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13-1726, 2019

      9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10 박창경, "초등 사회과에서 역사적 장소 탐방을 통한 지역사 수업 방안 –부산 임시수도 기념관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0

      1 이병희, "향토사 교육의 현황" 5 : 2002

      2 조미경, "학교 급별 계열성에 입각한 단군신화 지도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석병배, "초등학교에서 지역사 자료로 역사하기 :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허영훈,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실제 :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 4․1독립만세운동 역사테마로드 만들기" 역사교육학회 (69) : 101-145, 2018

      5 이지혜,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와 박물관 활용의 연계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부산교육대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사회 6-1" 지학사 2019

      7 최선희,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연계 지역사 교육의 실현과 의의, 안양시‘우리 고장 바로알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0

      8 허은철, "초등 지역사 교육과정의 변화와 방향 모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13-1726, 2019

      9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10 박창경, "초등 사회과에서 역사적 장소 탐방을 통한 지역사 수업 방안 –부산 임시수도 기념관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0

      11 김민아, "초등 근현대사 교육에서의 현장체험학습 활용 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김소희, "지역사회의 인물 학습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강릉의 율곡 이이와 오죽헌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13 황현정, "지역사·역사수업, 그리고 역사교사" 7 : 2013

      14 이명희, "지역사 학습을 위한 문화재 활용 방안 :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황현정, "지역사 수업의 실행과 정체성 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47-171, 2015

      16 지수걸, "지역사 교육과 ‘텃세의식’ 만들기 - 전북・강원・광주・세종 교육청의 ‘지역사 보조교재’ 개발 실태 -" 한국역사교육학회 (28) : 181-210, 2017

      17 이영호, "지방사에서 지역사로 -인천을 사례로 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95-325, 2010

      18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19 최신호, "증언 자료를 활용한 부마항쟁 수업" 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20 이명희, "중학교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교육과정의 구성-서천 지역 주민의 지역인식 및 교사의 지역의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49-186, 2005

      21 부산광역시교육청, "중학교 부산의 재발견" 디자인글꼴 2017

      22 김희준, "중등학교 향토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학회 5 (5): 151-182, 2002

      23 진용선, "일제강점기 식민지 유적을 활용한 군산 지역사 학습방안"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4 권오현, "일본 지역사 교육의 계열성과 교재 선택의 관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239-260, 2005

      25 오아란, "인천지역 고등학생들의 지역 정체성 형성과 지역사 학습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26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우리들의 부마 1979(초등용, 중등용)" 디자인후 2020

      27 부산광역시교육청, "우리 고장의 생활 3학년 -남구·동구·부산진구" 디자인다인 2020

      28 박주현, "역사탐구체험으로서의 영국의지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7-36, 2011

      29 문재경, "역사의식조사, 역사교육의 미래를 묻다" 휴머니스트 2020

      30 박재형, "역사교육의 계열화 기준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안 : '임진왜란'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1 유승광,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구성 방안" 호서사학회 1 (1): 301-334, 2006

      32 양정현, "역사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 모색- 지역사·현대사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효원사학회 53 : 1-24, 2018

      33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8

      34 김현, "생애사를 활용한 초등학교 순천 현대사 학습" 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35 정덕용, "불교문화재를 활용한 지역사학습 방안 – 충남지역의 탑파를 중심으로" 19 : 2009

      36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의 생활 4학년" 한글그라픽스 2020

      37 김민수, "부산 민주화 운동을 주제로 한 지역사 체험학습 방안 모색" 효원사학회 53 : 59-90, 2018

      38 홍순권, "부마항쟁의 진실을 찾아서" 선인 2016

      39 지주형, "부마항쟁 이후 경남의 민주화 운동: 87년 6월 항쟁 전후의 기억과 계승"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6 (16): 249-295, 2020

      40 차성환,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의- ‘4·19의 길’과 ‘5·16의 길’ 사이에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33-65, 2020

      41 정승안, "부마민주항쟁시기의 한국경제와 지역사회의 여건"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189-225, 2018

      42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 및 관련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부마민주항쟁 진상보고서" 2020

      43 홍순권, "부마민주항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 27 : 2010

      44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부마민주항쟁 구술자료 상세목록집: 1979부마의 기억과 기록" 세종문화사 2019

      45 부마민중항쟁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 10주년 기념 자료집" 건양기획 1989

      46 서익진, "박정희 공업화 발전모델의 위기와 부마항쟁" 한국사회경제학회 33 (33): 135-178, 2020

      47 허영란, "민주시민교육과 새로운 지역사 교육" 역사교육학회 (75) : 3-33, 2020

      48 선혜란,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일제강점기 공주 지역사 수업" 역사교육학회 (75) : 113-155, 2020

      49 윤정현, "문화재 현장학습이 초등학교 역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0 이종혁, "문화재 답사를 통한 초등 역사수업 방안"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1 신주백, "고등학교 한국사" 씨마스 2020

      52 노대환,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020

      53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비상교육 2020

      54 박중현, "고등학교 한국사" 해냄에듀 2020

      55 송호정,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2020

      56 최병택,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2020

      57 최준채,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20

      58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20

      59 윤세병, "경계를 넘어서는 지역사 교육의 모색" 역사교육학회 (75) : 35-71, 2020

      60 신용균, "거창지역의 기록과 지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41) : 197-219, 2017

      61 차철욱, "【연구동향】지방사 연구와 시간 연구" 부경역사연구소 (40) : 325-336, 2017

      62 조정관, "“한국 민주화에 있어서 부마항쟁의 역할”" 21세기정치학회 19 (19): 73-98, 2009

      63 양정현, "6월 월례강좌 자료집" 2000

      64 허영훈,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123-139, 2016

      65 허영훈,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비한 초등학교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연구-경기도 안성 지역을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75-10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