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아동문학상 선정에 참여하는 아동 독자의 자기 주도성을 탐색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동 독자가 참여하는 아동문학상 제도를 시행해 온 국외 아동문학상 현황을 탐색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0540
이지영 (경인교육대학교)
2024
Korean
Child Readers ; Children’s Literature Awards ; Shadower ; Shadow Judging ; Goncourt Prizes ; Carnegie Awards ; Reader Engagement ; Prix des Incorruptibles ; 아동 독자 ; 아동문학상 ; 추적 독자 ; 추적 심사 ; 공쿠르상 ; 카네기상 ; 독자 참여 ; 앵코륍티블상
KCI등재
학술저널
425-461(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동문학상 선정에 참여하는 아동 독자의 자기 주도성을 탐색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동 독자가 참여하는 아동문학상 제도를 시행해 온 국외 아동문학상 현황을 탐색하...
이 논문은 아동문학상 선정에 참여하는 아동 독자의 자기 주도성을 탐색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동 독자가 참여하는 아동문학상 제도를 시행해 온 국외 아동문학상 현황을 탐색하였다. 아동 독자가 참여하는 6개국 9개 아동문학상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검색 엔진 구글을 활용한 자료 분석을 하였다.
아동문학상의 연원, 주관 기관, 아동문학상 선정 과정, 아동 독자의 참여 방법, 시사점 등 아동문학상의 개별 현황을 살펴보고, 아동문학상의 주관 기관별 성격과 아동 독자의 참여 방식을 논의하였다. 아동문학상의 주관 기관은 도서관 기반, 학부모 기반, 서점 기반, 자선 단체 기반, 문학 협회 기반으로 분류된다. 아동 독자는 배심원 활동, 동아리 활동, 개별 활동 등을 통해 아동문학상 선정 과정에 참여한다.
아동 독자가 참여하는 아동문학 공모전이 확대되는 우리나라의 아동문학 현상에 비추어볼 때, 이 논문은 아동 문학 출판, 아동 문학 연구, 독서 교육 차원에서 벤치마킹할 점,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child reader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children’s literature awards as part of a research project on self–directed reading engagement. It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awards abroad 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child reader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children’s literature awards as part of a research project on self–directed reading engagement. It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awards abroad that incorporate systems allowing child readers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proces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Google searches of websites of nine children’s literature awards across six countries which involved participation of child readers.
The analysis explores various aspects of these awards, such as their origins, host organizations, selection processes, an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child readers participate.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ward system. The governing bodie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Prize are categorized as follows: library–based, parent–based, bookstore–based, charitable–based, and literary association–based. child readers participated in the selection process through jury, club, and individual activities.
In light of the growing trend in Korea of children’s literature awards, involving child readers, this study serves as a benchmark and offers insights into children’s literature publishing, literature research, and reading education.
1980년대 이티(E.T.)의 문화사 -영화
한국 근대 아동극에 나타난 동물 연구 -『어린이』, 『신소년』, 『별나라』를 중심으로-
그림동화의 기호 표현과 의미 작용의 효과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