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자메이카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조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01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2.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Basic Perception of Jamaican Dancehall Dance for Practical Dance Major

      • 형태사항

        75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서용석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28-200000665862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실용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것으로, 댄스홀 춤은 자메이카의 스트릿 댄스에서 기인한 문화와 더불어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 케이팝의 흥행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댄스홀 춤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지만, 대중들에게는 최근 유행했던 ‘스우파(스트릿 우먼 파이터)’를 통해 표착되는 계기가 되었고, 전공자들 사이에서는 훨씬 이전부터 실질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고는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중심으로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조사 연구를 진행하여, 대중과 전공자들 사이에 댄스홀 춤의 이론적 성립을 추구하고, 이후 보다 체계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실용무용 범주에 속하는 스트릿 댄스는 이전에 순수 무용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댄서들만의 특수 영역에 속했지만 오늘날의 스트릿 댄스는 대중문화 속에서 자연스레 받아들여진다는 점에서 일반 영역으로 확장·해석되었다.
      댄스홀 춤의 ‘댄스홀 Dancehall’은 다른 예술분과처럼 음악과 춤, 공간과 문화까지 지칭할 수 있는 광의적 스펙트럼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댄스홀 춤’에 국한하여 그 단어를 사용하고, 개념적으로 다른 맥락으로 사용할 때는 한정 수사를 활용하여 분명히 지칭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전공자들의 기초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세부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힌다.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 현황은 대체로 자각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본 연구를 첨예화하여 들여다보면, 그 양상이 실용무용 전공자 사이에서 따라 하기 쉬운 느낌을 가지고 현시대의 댄스 트렌드를 이끄는 흥미로운 춤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용무용 범주 안에서 큰 입지를 다지고 있는 댄스홀 춤의 향후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질적 활용을 넘어서 이론적 기반을 다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실용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것으로, 댄스홀 춤은 자메이카의 스트릿 댄스에서 기인한 문화와 더불어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

      본고는 실용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것으로, 댄스홀 춤은 자메이카의 스트릿 댄스에서 기인한 문화와 더불어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 케이팝의 흥행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댄스홀 춤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지만, 대중들에게는 최근 유행했던 ‘스우파(스트릿 우먼 파이터)’를 통해 표착되는 계기가 되었고, 전공자들 사이에서는 훨씬 이전부터 실질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고는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중심으로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조사 연구를 진행하여, 대중과 전공자들 사이에 댄스홀 춤의 이론적 성립을 추구하고, 이후 보다 체계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실용무용 범주에 속하는 스트릿 댄스는 이전에 순수 무용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댄서들만의 특수 영역에 속했지만 오늘날의 스트릿 댄스는 대중문화 속에서 자연스레 받아들여진다는 점에서 일반 영역으로 확장·해석되었다.
      댄스홀 춤의 ‘댄스홀 Dancehall’은 다른 예술분과처럼 음악과 춤, 공간과 문화까지 지칭할 수 있는 광의적 스펙트럼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댄스홀 춤’에 국한하여 그 단어를 사용하고, 개념적으로 다른 맥락으로 사용할 때는 한정 수사를 활용하여 분명히 지칭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댄스홀 춤’에 대한 전공자들의 기초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세부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힌다.
      국내 실용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 현황은 대체로 자각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지만, 본 연구를 첨예화하여 들여다보면, 그 양상이 실용무용 전공자 사이에서 따라 하기 쉬운 느낌을 가지고 현시대의 댄스 트렌드를 이끄는 흥미로운 춤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용무용 범주 안에서 큰 입지를 다지고 있는 댄스홀 춤의 향후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질적 활용을 넘어서 이론적 기반을 다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practical dance majors. Research is about Dancehall dance, which grew with the culture of street dance in Jamaica. In Korea, after the 2000s, it began to be accepted in earnest with the success of K-pop. Domestic research on Dancehall dance is still insufficient, but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be drifted through the recent popular "SWF (Street Woman Fighter)" and has been practically used among majors for a long time.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Dancehall dance among the public and majors by conducting a basic perception survey on Dancehall dance majors in Korea and contributing to more systematic development.
      Street dance, which belongs to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was previously relatively undervalued than pure dance and belonged to the dancers' special area, but today's street dance was expanded and interpreted as a general area in that it is naturally accepted in popular culture.
      Dancehall of 'Dancehall Dance' has a broad spectrum that can refer to music, dance, space, and culture, like other art division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word is limited to 'Dancehall dance', and when used in a conceptually different context, it will be clearly referred to using a limited investig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perception of majors about 'Dancehall dance' and reveals in detail the difference in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ults that domestic practical dance majors are generally aware of the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Hence, it is quite obvious to say that this study sharpens and can be seen as an interesting dance that leads the current dance trend.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Dancehall dance, which has a large position within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it is necessar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beyond practical use.
      번역하기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practical dance majors. Research is about Dancehall dance, which grew with the culture of street dance in Jamaica. In Korea, after the 2000s, it began to be accepted in earnest with the success of K-pop. Domestic resear...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practical dance majors. Research is about Dancehall dance, which grew with the culture of street dance in Jamaica. In Korea, after the 2000s, it began to be accepted in earnest with the success of K-pop. Domestic research on Dancehall dance is still insufficient, but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be drifted through the recent popular "SWF (Street Woman Fighter)" and has been practically used among majors for a long time.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Dancehall dance among the public and majors by conducting a basic perception survey on Dancehall dance majors in Korea and contributing to more systematic development.
      Street dance, which belongs to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was previously relatively undervalued than pure dance and belonged to the dancers' special area, but today's street dance was expanded and interpreted as a general area in that it is naturally accepted in popular culture.
      Dancehall of 'Dancehall Dance' has a broad spectrum that can refer to music, dance, space, and culture, like other art division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word is limited to 'Dancehall dance', and when used in a conceptually different context, it will be clearly referred to using a limited investig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perception of majors about 'Dancehall dance' and reveals in detail the difference in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ults that domestic practical dance majors are generally aware of the basic perception of Dancehall dance, Hence, it is quite obvious to say that this study sharpens and can be seen as an interesting dance that leads the current dance trend.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Dancehall dance, which has a large position within the practical dance category, it is necessar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beyond practical u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차례
      • 그림 차례
      • 국문 요약
      • 1. 서론
      • 1.1. 연구의 대상 및 목적
      • 표 차례
      • 그림 차례
      • 국문 요약
      • 1. 서론
      • 1.1. 연구의 대상 및 목적
      • 1.2. 연구의 제한점
      • 2. 이론적 배경
      • 2.1. 댄스홀 춤: 댄스홀의 문화적 흐름
      • 2.2. 국내 스트릿 댄스 영역에서의 댄스홀 춤
      • 2.3. 국내 댄스홀 춤 연구 동향
      • 2.4. 선행 연구 분석
      • 3. 연구 방법
      • 3.1. 연구 문제
      • 3.2. 변수의 측정도구
      • 3.3.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3.4. 자료 처리 방법
      • 4. 연구 결과
      • 4.1. 조사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4.2. 댄스홀 춤에 대한 기초 인식
      • 4.3.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기초 인식 차이
      • 4.3.1.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평소 인식
      • 4.3.2.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평소 느낌
      • 4.3.3.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관람 및 직접 참여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 4.3.4.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TV 또는 공연 관람 경험 여부
      • 4.3.5.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TV 또는 공연 관람 경험 횟수
      • 4.3.6.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 장르에 대해 들어본 경험
      • 4.3.7.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가장 선호하는 스타일
      • 4.3.8.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차 순으로 선호하는 스타일
      • 4.3.9.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댄스홀 춤의 보유 지식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