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시각 = A New View Point of Mudang Gutch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parating Gyungsa Gut and Wuhuan Gut followed by the objective of Mudang Gut which becomes background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Gyungsa Gut’s Mudang Gutchum and Wuhuan Gut’s Mudang Gutchum rather than classifying it with the existing method. First, Mudang Gut is widely divided into Gyungsa Gut which is prayer ritual for well-being, richness in family and for descendant’s prosperity and Wuhuan Gut which is ritual when family is sick or in bad situation. Gyungsa Gut is for alive person, so Mudang exists between God and human. Mudang is an absolute being that connects God and human in a middle position. Therefore, Mudang is very free in Gyungsa Gut. Also, Gyungsa Gut is for the audience who is alive that concentrates and spends more times on Osin than on Chungsin and Songsin which are offering procedures for God because Mudang proceeds Mudang Gut focusing on the audience. On the other hand, Wuhuan Gut is for Mangia(ancestor) which makes Mudang and Mangia(ancestor) exist between God and human. Mudang is in middle position, but cannot exists as an absolute being like it is in Gyungsa Gut because Mangia is existing between God and human. Consequently, Mudang always needs to be with Mangia resulting Mudang be not free in Wuhuan Gut. Mudang proceeds Gut for Mangia, not for the audience like in Gyungsa Gut. So, Gyungsa Gut’s Mudang Gutchum is atypical Chum strongly reflecting artistic and playful characters than the formal and ritual natures which expresses Mudang’s artistic ability. As a result, Gyungsa Gut’s Mudang Gutchum is arranged in open structure engaging with the entrainment and audience. Differently, Wuhuan Gut separates the entrainment and audience referring that Gut is for Mangia than human focusing on God. Mudang Gutchum in this Gut is standardized Chum strongly showing ritual character than the plaful nature, and Mudang dance in stylized way.
      Therefore, the audience i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Wuhuan Gut’s Mudang Gutchum, but only proceeds under Mudang(Yeonhangza)’s contro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parating Gyungsa Gut and Wuhuan Gut followed by the objective of Mudang Gut which becomes background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Gyungsa Gut’s Mudang Gutchum and Wuhuan Gut’s Mudang Gutchum rather than classifying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parating Gyungsa Gut and Wuhuan Gut followed by the objective of Mudang Gut which becomes background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Gyungsa Gut’s Mudang Gutchum and Wuhuan Gut’s Mudang Gutchum rather than classifying it with the existing method. First, Mudang Gut is widely divided into Gyungsa Gut which is prayer ritual for well-being, richness in family and for descendant’s prosperity and Wuhuan Gut which is ritual when family is sick or in bad situation. Gyungsa Gut is for alive person, so Mudang exists between God and human. Mudang is an absolute being that connects God and human in a middle position. Therefore, Mudang is very free in Gyungsa Gut. Also, Gyungsa Gut is for the audience who is alive that concentrates and spends more times on Osin than on Chungsin and Songsin which are offering procedures for God because Mudang proceeds Mudang Gut focusing on the audience. On the other hand, Wuhuan Gut is for Mangia(ancestor) which makes Mudang and Mangia(ancestor) exist between God and human. Mudang is in middle position, but cannot exists as an absolute being like it is in Gyungsa Gut because Mangia is existing between God and human. Consequently, Mudang always needs to be with Mangia resulting Mudang be not free in Wuhuan Gut. Mudang proceeds Gut for Mangia, not for the audience like in Gyungsa Gut. So, Gyungsa Gut’s Mudang Gutchum is atypical Chum strongly reflecting artistic and playful characters than the formal and ritual natures which expresses Mudang’s artistic ability. As a result, Gyungsa Gut’s Mudang Gutchum is arranged in open structure engaging with the entrainment and audience. Differently, Wuhuan Gut separates the entrainment and audience referring that Gut is for Mangia than human focusing on God. Mudang Gutchum in this Gut is standardized Chum strongly showing ritual character than the plaful nature, and Mudang dance in stylized way.
      Therefore, the audience i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Wuhuan Gut’s Mudang Gutchum, but only proceeds under Mudang(Yeonhangza)’s contr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무당굿춤의 분류를 기존의 방식이 아닌 무당굿의 목적에 따라 경사굿와 우환굿으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사굿의 무당굿춤과 우환굿의 무당굿춤의 특성을 드러냈다.
      먼저, 무당굿은 크게 집안의 안녕과 재복, 자손의 번창을 기원의례인 경사굿과 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 연행하는 의례인 우환굿으로 구분하는데, 경사굿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굿으로, 신과 인간 사이에 무당이 존재한다. 여기서 무당은 중간자적 위치에서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절대자적 존재이다. 그래서 경사굿에서 무당은 매우 자유롭다. 또한 경사굿은 산사람인 향유자를 위하는 것으로, 무당은 청신․송신보다는 오신에 집중하며, 소요시간도 청신․송신보다 오신이 길다. 이는 무당이 향유자를 중심으로 무당굿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반면, 우환굿은 망자․조상을 위한 굿으로 신과 인간 사이에 무당과 더불어 망자(조상)가 존재한다.
      여기서 무당은 경사굿과 마찬가지로 중간자적 위치에 존재하나 절대자적 위치에 존재하지 못한다. 즉, 신과 인간 사이에 망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환굿에서 무당은 경사굿처럼 자유롭지 못한데, 이는 항상 망자와 함께 해야하기 때문이다. 즉, 무당은 경사굿처럼 향유자가 아닌 망자를 위해 굿을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경사굿의 무당굿춤은 비정형화된 춤으로 의례적 성격보다는 예능적․놀이성이 강한 춤이기 때문에 무당의 기예능적 기량을 표출할 수 있다. 그래서 경사굿의 무당굿춤은 연행주체와 향유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구조를 지니고 있다. 반면, 우환굿은 연행대상과 향유주체가 분리된 굿으로 인간보다는 망자를 위한 신 중심의 굿이다. 여기서 무당굿춤은 정형화된 춤으로 예능성․놀이성보다는 의례성이 강한 춤이며, 무당은 양식화된 춤을 틀에 맞추어 춘다. 그래서 우환굿의 무당굿춤은 향유자의 참여가 어렵다 오직 연행자인 무당에 의해서만 진행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무당굿춤의 분류를 기존의 방식이 아닌 무당굿의 목적에 따라 경사굿와 우환굿으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사굿의 무당굿춤과 우환굿의 무당굿춤의 특성을 드러냈다. 먼저, ...

      이 연구는 무당굿춤의 분류를 기존의 방식이 아닌 무당굿의 목적에 따라 경사굿와 우환굿으로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사굿의 무당굿춤과 우환굿의 무당굿춤의 특성을 드러냈다.
      먼저, 무당굿은 크게 집안의 안녕과 재복, 자손의 번창을 기원의례인 경사굿과 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 연행하는 의례인 우환굿으로 구분하는데, 경사굿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굿으로, 신과 인간 사이에 무당이 존재한다. 여기서 무당은 중간자적 위치에서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절대자적 존재이다. 그래서 경사굿에서 무당은 매우 자유롭다. 또한 경사굿은 산사람인 향유자를 위하는 것으로, 무당은 청신․송신보다는 오신에 집중하며, 소요시간도 청신․송신보다 오신이 길다. 이는 무당이 향유자를 중심으로 무당굿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반면, 우환굿은 망자․조상을 위한 굿으로 신과 인간 사이에 무당과 더불어 망자(조상)가 존재한다.
      여기서 무당은 경사굿과 마찬가지로 중간자적 위치에 존재하나 절대자적 위치에 존재하지 못한다. 즉, 신과 인간 사이에 망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환굿에서 무당은 경사굿처럼 자유롭지 못한데, 이는 항상 망자와 함께 해야하기 때문이다. 즉, 무당은 경사굿처럼 향유자가 아닌 망자를 위해 굿을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경사굿의 무당굿춤은 비정형화된 춤으로 의례적 성격보다는 예능적․놀이성이 강한 춤이기 때문에 무당의 기예능적 기량을 표출할 수 있다. 그래서 경사굿의 무당굿춤은 연행주체와 향유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구조를 지니고 있다. 반면, 우환굿은 연행대상과 향유주체가 분리된 굿으로 인간보다는 망자를 위한 신 중심의 굿이다. 여기서 무당굿춤은 정형화된 춤으로 예능성․놀이성보다는 의례성이 강한 춤이며, 무당은 양식화된 춤을 틀에 맞추어 춘다. 그래서 우환굿의 무당굿춤은 향유자의 참여가 어렵다 오직 연행자인 무당에 의해서만 진행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

      2 홍태한, "한국 서사무가의 유형별 존재양상과 연행원리" 민속원 2015

      3 정병호, "무무"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87

      4 홍태한,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한국무속학회 (39) : 133-154, 2019

      5 나경수, "경기도 구리안안팎굿" 민속원 2016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

      2 홍태한, "한국 서사무가의 유형별 존재양상과 연행원리" 민속원 2015

      3 정병호, "무무"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87

      4 홍태한,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한국무속학회 (39) : 133-154, 2019

      5 나경수, "경기도 구리안안팎굿" 민속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