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 The Dialectic of Segment and 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50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영향사적 맥락에서 먼저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의 전제 왕권을 뒷받침한 정치이...

      이 논문은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를 영향사적 맥락에서 먼저 검토하였다. 신라 중대의 전제 왕권을 뒷받침한 정치이데올로기는 화엄사상과 법상종 및 정토사상 등을 들 수 있다. 정토사상 가운데 미륵상생사상과 미타사상은 신라 중대의 귀족과 일반민중의 의지처로 기능하였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는 이러한 영향사 아래 전개되었다. 진골귀족의 반대운동으로 전제왕권이 해체되고 귀족연합정치가 전개된 정치변동은, 화엄사상이나 법상종같은 복잡한 교리가 아닌 개인주의적 성격을 지니는 선종과 현세지향적인 미륵하생사상을 선호하게 하였다. 미륵하생사상은 법상종과 연결된 것이므로 법상종 또한 신라 하대의 정치이데올로기로 여전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의 관계에서 반드시 하나 더 주목해야 할 사상은 밀교(비로자나불사상)이라 할 것이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신라 전역에 조성된 비로자나 불상이 그 반증이 된다. 이것은, 1) 신라 하대의 무상한 정치현실을 넘어서 영원광명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빛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셨다는 점, 2)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상 신라 하대는 화염불교에서 밀교로 나아가고 있었다는 점, 3) 신라 하대의 사상계가 화염불교보다는 밀교에 친근성을 보였다는 점 등과 결부된다.
      신라 하대의 신라인들은 스스로 빛의 부처님이 되어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분절된 정치를 사상적으로 통합한 변증은 선종이나 미륵하생사상, 법상종이 아닌 밀교의 비로자나불사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eats of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下代).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I examine in advance that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Jungdae(中代). Political ideology that supporting despotic regime of S...

      This paper treats of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Hadae(下代).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I examine in advance that of Buddhism and politics of Silla Jungdae(中代). Political ideology that supporting despotic regime of Silla Jungdae is Hwaeomsasang(華嚴思想) and Beobsangjong(法相宗) and Jeongtosasang(淨土思想) and so on.
      Political change of Silla Hadae, that is, dissolution of despotic regime and development of aristocracy brought on the preference for Seonjong(禪宗) and Mireukhasaengsasang(彌勒下生思想).
      For all that, we should take notice of Esoteric Buddhism(Vairocana Buddha thought). Because, Vairocana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s Buddha of light who console people exhausted due to politics with rays, Main stream of Silla Hadae is not Hwaeomsasang but Esoteric Buddhism, Seonjong runs through Esoteric Buddhism.
      People of Silla Haedae had intention to get over the limit through being Buddha of light themselves. The dialectic of segment and integration of Silla Haedae could be realized by Vairocana Buddha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두 가지 문제제기 : 신라의 불교와 정치
      • Ⅱ. 영향사적 맥락 :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
      • Ⅲ.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분절과 통합의 변증
      • 〈참고문헌〉
      • 논문요약
      • Ⅰ. 두 가지 문제제기 : 신라의 불교와 정치
      • Ⅱ. 영향사적 맥락 : 신라 중대의 불교와 정치
      • Ⅲ.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분절과 통합의 변증
      • 〈참고문헌〉
      • 영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