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소리 정확성을 위한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문헌 연구 = Analysis of Recent Trends on Auditory Perception of Speech Accu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auditory perception of speech. The results of analyzing 13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cus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speech sound accuracy, the type of speech stimulus used, and the effect of the auditory experience or ear training of the rater, are as follows. First, speech sounds of normal children in the process of speech sound development were most often used as speech stimuli used for speech sound evaluation. Second, transcription and scale methods were mainly used as measurement methods for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nd there were many studies using a 3-point scale and a visual analog scale.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ar training on speech sound evaluation,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studying speech pathology participated mainly.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ear training or speech listening experience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r accuracy of auditory perception evalu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auditory perception of speech. The results of analyzing 13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cus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speech sou...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auditory perception of speech. The results of analyzing 13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cus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speech sound accuracy, the type of speech stimulus used, and the effect of the auditory experience or ear training of the rater, are as follows. First, speech sounds of normal children in the process of speech sound development were most often used as speech stimuli used for speech sound evaluation. Second, transcription and scale methods were mainly used as measurement methods for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nd there were many studies using a 3-point scale and a visual analog scale.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ar training on speech sound evaluation,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studying speech pathology participated mainly.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ear training or speech listening experience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r accuracy of auditory perception eval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말소리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소리 정확성의 측정 방법, 사용된 말자극의 형태, 평가자의 청지각적 경험이나 훈련의 효과 등을 중심으로 선정 기준에 따라 선행 연구 중 13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소리 평가에 많이 사용된 말소리 자극은 말소리 발달 과정에 있는 정상 아동들의 말소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청지각적 평가에 사용되는 측정 방법으로는 전사와 척도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3점 척도와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이 많았다. 셋째, 말소리 평가에서 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언어병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이 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많은 연구들에서 귀 훈련이나 말소리 듣기 경험이 청지각 평가의 신뢰도나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말소리장애 평가에 청지각적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말소리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소리 정확성의 측정 방법, 사용된 말자극의 형태, 평가자...

      본 연구는 말소리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소리 정확성의 측정 방법, 사용된 말자극의 형태, 평가자의 청지각적 경험이나 훈련의 효과 등을 중심으로 선정 기준에 따라 선행 연구 중 13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소리 평가에 많이 사용된 말소리 자극은 말소리 발달 과정에 있는 정상 아동들의 말소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청지각적 평가에 사용되는 측정 방법으로는 전사와 척도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3점 척도와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이 많았다. 셋째, 말소리 평가에서 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언어병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이 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많은 연구들에서 귀 훈련이나 말소리 듣기 경험이 청지각 평가의 신뢰도나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말소리장애 평가에 청지각적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희 ; 이미숙 ; 김선우 ; 이원용, "파킨슨증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신뢰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1 (11): 129-141, 2004

      2 허은지 ; 허명진, "취학전 일반아동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내면적 특성과 정서행동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45-58, 2022

      3 이영아 ; 김재옥 ; 김형태,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526-536, 2010

      4 권미지, "청지각적 귀 훈련이 말장애 평가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8 (28): 71-76, 2019

      5 김수진 ; 안경숙 ; 고은,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절정확도·오류자음 수 그리고 말 명료도 간의 상관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35-147, 2015

      6 김민정, "임상중심 말소리장애" 학지사 2021

      7 허명진, "외국인 유학생의 발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중심으로 문헌고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2 (12): 129-141, 2021

      8 박혜진,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명료도 측정을 위한 등간척도법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은경 ; 김지채,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명료도와 말용인도 평가를 위한 청자 집단 간 청지각 능력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287-296, 2015

      10 하승희,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411-421, 2010

      1 김향희 ; 이미숙 ; 김선우 ; 이원용, "파킨슨증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신뢰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1 (11): 129-141, 2004

      2 허은지 ; 허명진, "취학전 일반아동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내면적 특성과 정서행동 비교"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45-58, 2022

      3 이영아 ; 김재옥 ; 김형태,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526-536, 2010

      4 권미지, "청지각적 귀 훈련이 말장애 평가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8 (28): 71-76, 2019

      5 김수진 ; 안경숙 ; 고은,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절정확도·오류자음 수 그리고 말 명료도 간의 상관관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35-147, 2015

      6 김민정, "임상중심 말소리장애" 학지사 2021

      7 허명진, "외국인 유학생의 발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중심으로 문헌고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2 (12): 129-141, 2021

      8 박혜진,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명료도 측정을 위한 등간척도법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은경 ; 김지채,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명료도와 말용인도 평가를 위한 청자 집단 간 청지각 능력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287-296, 2015

      10 하승희,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411-421, 2010

      11 Walden, R. P., "The use of auditory-perceptual training as a research method : A summary review" 36 (36): 322-334, 2020

      12 Munson, B., "The role of experience in the perception of phonetic detail in children’s speech : A comparison betwe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clinically untrained listeners" 21 : 124-139, 2012

      13 Klein, B. H., "The relation ship between inexperienced listeners’ perceptions and acoustic correlates of children’s /r/ productions" 26 (26): 628-645, 2012

      14 Munson, B., "The influence of multiple presentations in judgments of children’s phonetic accuracy" 13 : 341-354, 2004

      15 Wolfe, V., "The effect of clinical experience on cue trading for the /r-w/ contrast" 12 : 221-228, 2003

      16 Jing, 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atings of speech accuracy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31 : 419-430, 2022

      17 Gooch, J., "Reliability of listener transcriptions of compensatory articulations" 38 (38): 59-67, 2001

      18 Titterington, J., "Practice makes perfect? The pedagogic value of online independent phonetic transcription practice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tudents" 32 (32): 249-266, 2018

      19 Werfel, K. L., "Phonetic Transcription Training improves adults' explicit phonemic awareness" 39 (39): 281-287, 2017

      20 McNutt, J. C, "Judgements of phoneme errors under four modes of audio-visual presentation" 15 : 37-42, 1991

      21 Kent, R. D., "Hearing and believing : Some limits to the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of speech and voice disorders" 5 : 7-23, 1996

      22 Jung, S., "Graduate student clinicians’ perceptions of child speech sound errors" 7 : 1275-1283, 2022

      23 Lee, A., "Effect of listener training on perceptual judgement of hypernasality" 23 (23): 319-334, 2009

      24 Meyer, M. K., "Clinical experience and categorical perception of children’s speech" 56 (56): 364-388, 2021

      25 Munson, B., "Bias in the perception of phonetic detail in children’s speech : A comparison of categorical and continuous rating scales" 31 (31): 56-79, 2017

      26 Glover, L., "A study of the judgment accuracy of repeated /r/ stimuli by graduate clinicians" 3 : 185-19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