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 연구 = A Study on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Educ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wangju․Jeonnam and Busan․Gyeongnam.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168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o analyze the level and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the lowest in technology utilization knowledge, and the general knowledge of technology was the highest.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y pedagogy knowledge between grade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knowledge area of technology pedagog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the digital competency building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wangju․Jeonnam and Busan․Gyeongnam.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168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o analyze the 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wangju․Jeonnam and Busan․Gyeongnam.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168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o analyze the level and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the lowest in technology utilization knowledge, and the general knowledge of technology was the highest.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y pedagogy knowledge between grade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knowledge area of technology pedagog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the digital competency building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교육의 발전 계획 수립 및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 부산․경남 지역의 예비특수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테크놀로지 활용지식이 가장 낮았으며, 테크놀로지 일반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 간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실연 경험 유무에 따라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하여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교육의 발전 계획 수립 및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 부산․경...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교육의 발전 계획 수립 및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 부산․경남 지역의 예비특수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테크놀로지 활용지식이 가장 낮았으며, 테크놀로지 일반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 간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실연 경험 유무에 따라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하여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림 ; 최성규,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직무수행능력의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271-291, 2018

      2 김호연 ; 김은하,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7-118, 2018

      3 김동인 ; 정은희,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183-202, 2022

      4 김동인 ; 정은희,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97-118, 2022

      5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6 노은희 ; 신호재 ; 이재진,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31-60, 2019

      7 변숙자,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49-167, 2021

      8 홍선주 ; 이명진, "초‧중등교육에서 블렌디드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사의 역량 및 지원 요구" 교육연구원 37 (37): 321-344, 2021

      9 김종민 ; 안성훈 ; 임현정 ; 김한성, "초·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321-334, 2017

      10 김윤진 ; 한가형 ; 어정인 ; 임규연, "중등교사의 ICT 효능감, 디지털 리터러시가 수업에서의 ICT 활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ICT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67-76, 2020

      1 박혜림 ; 최성규,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직무수행능력의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271-291, 2018

      2 김호연 ; 김은하,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7-118, 2018

      3 김동인 ; 정은희,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역량 평가도구 구성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183-202, 2022

      4 김동인 ; 정은희, "특수교사의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연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3 (13): 97-118, 2022

      5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6 노은희 ; 신호재 ; 이재진,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31-60, 2019

      7 변숙자,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49-167, 2021

      8 홍선주 ; 이명진, "초‧중등교육에서 블렌디드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사의 역량 및 지원 요구" 교육연구원 37 (37): 321-344, 2021

      9 김종민 ; 안성훈 ; 임현정 ; 김한성, "초·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321-334, 2017

      10 김윤진 ; 한가형 ; 어정인 ; 임규연, "중등교사의 ICT 효능감, 디지털 리터러시가 수업에서의 ICT 활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ICT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67-76, 2020

      11 최숙영,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25-35, 2018

      12 강혜진 ; 박희정 ; 장지현, "장애학생 미래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역량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32 (32): 63-73, 2023

      13 허경아 ; 정정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479-494, 2012

      14 허경아 ; 정정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25-252, 2011

      15 김보현 ; 이홍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과 교수효능감이 스마트 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97-119, 2019

      16 송연경 ; 황신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기기 활용인식과 컴퓨팅 사고력,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의 관계"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66-174, 2019

      17 조미헌, "예비교사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597-606, 2016

      18 이도경 ; 유정애, "예비 체육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학교체육연구소 10 (10): 111-123, 2022

      19 남창우 ; 박영희,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및 디지털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99-226, 2016

      20 안정임,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7 (7): 1-21, 2013

      21 이원태 ; 차미영 ; 양해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44-79, 2011

      22 한순영 ; 김우리, "디지털리터러시 중재가 발달장애 학생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6 (26): 39-60, 2022

      23 양길석 ; 서수현 ; 옥현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8, 2020

      24 김태영, "단대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차이" 인문사회 21 13 (13): 137-152, 2022

      25 김지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1

      26 손승남,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89-108, 2005

      27 Sanchez-Cruzado, C., "Teacher digital literacy : The indisputable challenge after COVID-19" 13 (13): 1858-, 2021

      28 Krumsvik, R. J., "Situated learning and teachers’ digital competence" 13 (13): 279-290, 2008

      29 Peled, Y., "Pre-service teacher’s self-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 The case of Israel" 26 : 2879-2896, 2021

      30 김수혜 ; 신형석, "OECD 7개국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실태와 ICT의 교육적 활용 간 관계 탐색 - PISA 2018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71-97, 2020

      31 교육부, "2022 개정 초․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