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외통제성,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의 차이 =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6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긍정정서, 부정정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위치한 정보통신학교(구 소년원) 비행청소년 75명과 D중학교 및 D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 한 후 이를 토대로 학생용 내외통제 척도,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부통제성, 긍정정서및 부정정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의 내부통제소재 수준은 일반청소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청소년의 부정정서 수준은 일반청소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청소년의 긍정정서 수준은 일반청소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부통제성,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서 내부통제성이 낮고, 부정정서는 높지만 긍정정서에는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비행청소년들에게 부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대처전략을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대처전략 습득에 앞서 자신의 부정적 정서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인식하게 하고 감내 할 수 있도록 내적인 힘을 키워 주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비행청소년들의 상담을 진행할 때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정서에 초점을 두기보다 행복, 희망 등의 긍정정서의 증진에 초점을 둔다면 상담의 성과도 보다 긍정적일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내적 자원을 강화시키는 것이 비행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긍정정서, 부정정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위치한 정보통신학교(구 ...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긍정정서, 부정정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위치한 정보통신학교(구 소년원) 비행청소년 75명과 D중학교 및 D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 한 후 이를 토대로 학생용 내외통제 척도,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부통제성, 긍정정서및 부정정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의 내부통제소재 수준은 일반청소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행청소년의 부정정서 수준은 일반청소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청소년의 긍정정서 수준은 일반청소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부통제성,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서 내부통제성이 낮고, 부정정서는 높지만 긍정정서에는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비행청소년들에게 부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대처전략을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대처전략 습득에 앞서 자신의 부정적 정서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인식하게 하고 감내 할 수 있도록 내적인 힘을 키워 주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비행청소년들의 상담을 진행할 때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정서에 초점을 두기보다 행복, 희망 등의 긍정정서의 증진에 초점을 둔다면 상담의 성과도 보다 긍정적일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내적 자원을 강화시키는 것이 비행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probe into th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s well a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75 juvenile delinquent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hool (formerly youth detention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110 students at D middle school and D high school were examined. Furth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internal-external control criteria for students and the Korean standard for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using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nal control of juvenile delinquents was statistically lower (p<.05) than that of non-delinquent adolescents.
      Second,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s of juvenile delinquents was statistically higher (p<.05) than that of non-delinquent adolescents while the level of positive emo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hile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prov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 control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for it manifested that juvenile delinquents have lower internal control and, more intensive negative emotions but similar levels of positive emotion compared with non-delinquent adolescents. This means that juvenile delinquents need to be educated to learn about a number of strategies to cope with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more importantly, the inner strength to accept, recognize, and endure their ow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s they are before learning about various strategies.
      If counsellors focus on enhanc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d hope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when dealing with juvenile delinquents, the counseling would result in more positive outcomes. In other words, intensifying the internal resources of adolescents to discove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under negative circumstances by themselves would help to prevent delinquencies.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ed to probe into th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s well a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75 juvenil...

      This study intended to probe into the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s well a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75 juvenile delinquent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hool (formerly youth detention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110 students at D middle school and D high school were examined. Furth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internal-external control criteria for students and the Korean standard for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using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nal control of juvenile delinquents was statistically lower (p<.05) than that of non-delinquent adolescents.
      Second,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s of juvenile delinquents was statistically higher (p<.05) than that of non-delinquent adolescents while the level of positive emo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hile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prov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internal control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for it manifested that juvenile delinquents have lower internal control and, more intensive negative emotions but similar levels of positive emotion compared with non-delinquent adolescents. This means that juvenile delinquents need to be educated to learn about a number of strategies to cope with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more importantly, the inner strength to accept, recognize, and endure their ow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s they are before learning about various strategies.
      If counsellors focus on enhanc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d hope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when dealing with juvenile delinquents, the counseling would result in more positive outcomes. In other words, intensifying the internal resources of adolescents to discove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under negative circumstances by themselves would help to prevent delinqu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비행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비행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5
      • 2. 내부-외부통제성 11
      • 3.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14
      • 4. 비행청소년에 관한 선행연구 19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조사연구 23
      • 3. 연구절차 25
      • 4. 자료분석 25
      • Ⅳ. 연구결과 26
      • 1.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내부통제성 차이 26
      • 2.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차이 26
      • Ⅴ. 논 의 28
      • Ⅵ. 결론 및 제언 34
      • 참고문헌 36
      • 부 록 45
      • 영문초록 49
      • 국문초록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