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금융 평가정보를 활용한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High-direct-employment SMEs Using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5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terminants of high-direct-employment SMEs were derived by using the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The C5.0 method of decision tree model was analyzed for startup companies with less than 7 years of experience.
      As a result, the appraisal information of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status, and market competitiveness was deriv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highdirect- employment SMEs regardless of the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formation on capital involvement and production capacity, which are related to the capital structure and financial status of SMEs and the size of production facilities, were selected as determinants. In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management expertise and R & D investment information reflecting management's sales capabilities and human capital-oriented industry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as determinants.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85.45%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group and 76.73% in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group.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to high- direct-employment SMEs
      번역하기

      The determinants of high-direct-employment SMEs were derived by using the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The C5.0 method of decision tree model was analyzed for startup companies with less than 7 years of experience. As a result, the appr...

      The determinants of high-direct-employment SMEs were derived by using the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The C5.0 method of decision tree model was analyzed for startup companies with less than 7 years of experience.
      As a result, the appraisal information of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status, and market competitiveness was deriv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for highdirect- employment SMEs regardless of the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formation on capital involvement and production capacity, which are related to the capital structure and financial status of SMEs and the size of production facilities, were selected as determinants. In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management expertise and R & D investment information reflecting management's sales capabilities and human capital-oriented industry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as determinants.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85.45%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group and 76.73% in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group.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echnology financing appraisal information to high- direct-employment S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금융 평가정보를 활용하여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의 사전적(Ex-ante)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업력 7년이하의 창업기업군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 모형 중 C5.0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우위성, 시장현황, 시장경쟁력 평가정보는 업종과 관련 없이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에 대한 중요 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제조업군에서는 중소기업의 자본구조와 재정상태 및 생산시설 규모와 관련이 있는 자본참여도와 생산역량 평가정보가결정요인으로 선별되었으며, 非제조업군에서는 경영진의 영업능력과 인적자본 중심의 업종 특성이 반영된경영진 전문성 및 연구개발투자 평가정보가 결정요인으로 편입되었다. 모형의 정확성은 제조업군 85.45%, 非제조업군 76.73%로 제조업군의 모형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금융평가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기술금융 평가정보를 활용하여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의 사전적(Ex-ante)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업력 7년이하의 창업기업군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 모형 중 C5.0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

      기술금융 평가정보를 활용하여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의 사전적(Ex-ante)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업력 7년이하의 창업기업군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 모형 중 C5.0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술우위성, 시장현황, 시장경쟁력 평가정보는 업종과 관련 없이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에 대한 중요 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제조업군에서는 중소기업의 자본구조와 재정상태 및 생산시설 규모와 관련이 있는 자본참여도와 생산역량 평가정보가결정요인으로 선별되었으며, 非제조업군에서는 경영진의 영업능력과 인적자본 중심의 업종 특성이 반영된경영진 전문성 및 연구개발투자 평가정보가 결정요인으로 편입되었다. 모형의 정확성은 제조업군 85.45%, 非제조업군 76.73%로 제조업군의 모형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고직접고용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금융평가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원,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른 중소기업의 고용효과 비교분석 -기술금융 기술력 평가 대상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233-260, 2019

      2 이준원, "중소기업의 산업기술분류에 따른 고용효과 비교분석" 한국혁신학회 15 (15): 115-139, 2020

      3 황덕순, "주요 국가의 경제성장과 고용성과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296, 2011

      4 정현승, "불균형 데이터에 대한 오버샘플링 효과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2089-2098, 2008

      5 김성태, "기업의 R&D투자와 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고용창출형 고성장기업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345-357, 2017

      6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매출액 고성장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금융정보학회 7 (7): 51-73, 2018

      7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안정성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경영정보학회 20 (20): 79-96, 2018

      8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수익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혁신학회 13 (13): 1-23, 2018

      9 이준원, "기술력 평가결과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한국혁신학회 14 (14): 47-70, 2019

      10 이준원, "기술금융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술력 평가항목 간 분석을 통한 기술력 평가모형의 타당성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2 (22): 73-89, 2020

      1 이준원, "혁신 및 기술경영 역량에 따른 중소기업의 고용효과 비교분석 -기술금융 기술력 평가 대상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233-260, 2019

      2 이준원, "중소기업의 산업기술분류에 따른 고용효과 비교분석" 한국혁신학회 15 (15): 115-139, 2020

      3 황덕순, "주요 국가의 경제성장과 고용성과 비교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296, 2011

      4 정현승, "불균형 데이터에 대한 오버샘플링 효과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2089-2098, 2008

      5 김성태, "기업의 R&D투자와 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고용창출형 고성장기업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345-357, 2017

      6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매출액 고성장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금융정보학회 7 (7): 51-73, 2018

      7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안정성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경영정보학회 20 (20): 79-96, 2018

      8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수익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혁신학회 13 (13): 1-23, 2018

      9 이준원, "기술력 평가결과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한국혁신학회 14 (14): 47-70, 2019

      10 이준원, "기술금융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술력 평가항목 간 분석을 통한 기술력 평가모형의 타당성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2 (22): 73-89, 2020

      11 이준원, "기술금융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고용효과 비교분석 : 기술신용대출을 받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2 (22): 893-913, 2019

      12 이준원, "기술금융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비교분석 - 기술신용대출을 받은 기술금융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혁신학회 14 (14): 279-300, 2019

      13 표한형, "고성장기업에 대한 실증연구의 최근 동향" 신용보증기금 37 (37): 67-93, 2017

      14 홍재범, "고성장 중소기업의 동태적 특성 및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산업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827-838, 2016

      15 Birch, D. L., "Who Creates Jobs?" 65 : 3-14, 1981

      16 Daunfeldt, S. O., "Using the EUROSTATOECD Definition of High-growth Firms: A Cautionary Note" 4 : 50-56, 2015

      17 Lerner, J., "The Government as Venture Capitalist: The Long-run Impact of the SBIR Program" 72 : 285-318, 1999

      18 Jovanovich, B.,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Industry" 50 : 649-670, 1982

      19 Birch, D. L., "Labor Markets, Employment Policy and Job Creation" Westview Press 159-167, 2011

      20 Klump, R., "Factor Substitution and Factor Augmenting Technical Progress in the United States: A Normalized Supply-side System Approach" 89 : 183-192, 2007

      21 EUROSTAT-OECD, "EUROSTAT-OECD Manual on Business Demography Stat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