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전기(1392-1608년)는 통치이념을 성리학에 바탕을 둔 유교지상주의 시기로서 강력한 억불책이 시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왕실 중심의 개인 신앙심과 함께 護佛과 崇佛로 부흥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02022
2011
Korean
609.005
KCI등재
학술저널
223-262(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전기(1392-1608년)는 통치이념을 성리학에 바탕을 둔 유교지상주의 시기로서 강력한 억불책이 시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왕실 중심의 개인 신앙심과 함께 護佛과 崇佛로 부흥의 ...
조선시대 전기(1392-1608년)는 통치이념을 성리학에 바탕을 둔 유교지상주의 시기로서 강력한 억불책이 시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왕실 중심의 개인 신앙심과 함께 護佛과 崇佛로 부흥의 기회를 맞게 되면서 16세기 불교미술계에도 왕실발원 불화의 조성이 진행되는 등 새로운 바람이 불게 된다. 이렇듯 조선시대 15-6세기에는 일반민중 및 왕실발원에 의한 불화들이 많이 그려지며 주제 또한 각 佛尊像畵를 비롯 관음보살도, 지장보살도, 신중도, 변상도, 감로왕도, 칠성도, 삼장보살도, 나한도 등으로 다양해진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도 조성시기가 명확환 불 존상화만을 한정하여 불화 조성배경, 도상 의미와 형식, 양식특징에 대하여 고찰해 본 결과 조선 전반기 불 존상화의 경우 사찰의 주 예배 대상 불화로서 첫째, 왕조별 홍불책과 지속적인 왕실 중심의 불교식 의례 집행, 妃嬪 등 궁중 여성들의 왕실안녕 기원과 종친들의 개인적인 신앙심, 經典에 대한 신앙심이 바탕이 되어 불화 조성이 이루어졌음을 밝혀 보았다. 둘째, 삼존도로부터 군집도에 이르기까지 화면 구성에 따른 형식의 다양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셋째, 존상화별 형식에 따라 등장 권속들이 어떻게 달라지며 도상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네 번째로는 각 불 존상화별에 따른 화면구성과 인물의 형태, 필선과 색채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조선 전반기는 왕실발원의 불화가 조성됨으로써 시선을 집중시키는 짜임새 있는 구성과, 편안한 느낌의 원만한 형태, 유려하면서도 활달한 필선에 은은한 색채감을 보이는 등 고려시대 불화의 흐름을 이어 받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데 미홉하나마 연구 의의를 두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1392-1608) promoted the Confucianism based on Neo Confucian Philosophy as the highest governing ideology while suppressing Buddhism. Despite such a governmental policy, however, Buddhism had a chance of revival ...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1392-1608) promoted the Confucianism based on Neo Confucian Philosophy as the highest governing ideology while suppressing Buddhism. Despite such a governmental policy, however, Buddhism had a chance of revival thanks to the protection and advocacy of Buddhism by individual believers, in particular, those from the royal family. In that situation, the Buddhist art circle in the 16th century also rode a new wave of prosperity as many 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As a large number of Buddhist paintings were drawn under the sponsorship of ordinary people and the royal famil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the Chosun Dynasty, the themes of paintings were also diversified from iconic paintings to Avalokitesvara paintings. Ksitigarbha paintings, guardian paintings, illustration paintings, Amita-raja paintings, Big Dipper paintings,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and Arahat paintings. Among such a variety of themes, iconic paintings with the date of creation know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 examined the background, form. icons and style characteristics of such Buddhist paint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Buddhist iconic painting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created mainly as objects of worshipping,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of Buddhist iconic paintings was promoted by policies for reviving Buddhism, prayers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by court women including queens and concubines, royal kin`s personal faith, and belief in Buddhist scriptures. Second, the forms of screen composition were diverse from Triad paintings to mass paintings. Third, included figure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m of iconic painting. Fourth, each Buddhist iconic painting showed characteristic screen composition, the shape of figures, stroke and color. Summing up,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at many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ere creat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and as a result, they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such as well-organized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viewers attention, comfortable and harmonious form, elegant and vigorous strokes, and subtle colors.
반구대 천전리암각화발견 40주년 기념 특집 :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인면상을 통해본 선사시대 인물표현의 특색
반구대 천전리암각화발견 40주년 기념 특집 : 천전리 암각화에 대한 신라인의 이해와 행렬도 제작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전반기 불상 조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상조각의 조성기 분석을 통한 조성배경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