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자 미해득 아동의 미술 표현 특징과 시각이미지 활용 = The Characters of Art Expression and Visual Image Utilization by Illiterat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serving the three Illiterate children, the children were eager to use visual images to attend classes. In particular, Illiterate children want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writing, but they tried to convey their thoughts through pictu...

      Observing the three Illiterate children, the children were eager to use visual images to attend classes. In particular, Illiterate children want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writing, but they tried to convey their thoughts through pictures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wr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rt expressions of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text with those of children who do understand text, and to illustrate the intent of using visual images of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text.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literacy and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hildren's art expression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children, and that in case of children who liked to paint, the level of development was above average development. Second,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texts use visual images not only in art class but also in other subjects or in test situations. Third,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text use visual images as means to be recognized. Fourth, students who do not use text tend to refus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visu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 expression of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text should be interpreted educationally and with an active will to communicate their opinions in the course of school life and learning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poor learning due to lack of character and low self-este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자 미해득 아동 3명을 관찰한 결과, 아동들은 수업에 참여 하기 위해 시각 이미지 사용을 간절히 원하였다. 특히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 등을 쓰고 이를 발표하는 활동에서 문자 미해...

      문자 미해득 아동 3명을 관찰한 결과, 아동들은 수업에 참여 하기 위해 시각 이미지 사용을 간절히 원하였다. 특히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 등을 쓰고 이를 발표하는 활동에서 문자 미해득 아동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기를 원하였으나 글쓰기가 불가능하므로 그림을 통해 생각을 전달하려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자 미해득 아동들의 미술 표현과 문자 해득 아동들의 미술 표현 특징을 비교하고, 문자 미해득 아동의 시각이미지 활용 의도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자 미해득과 아동의 미술 표현 발달 정도는 일반 아동과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문자 미해득 아동의 경우 평균이상의 발달 수준을 보였다. 둘째, 문자 미해득 아동들은 시각이미지를 미술교과 뿐만 아니라 타교과 시간 또는 시험 상황 등에서도 활용한다. 셋째, 문자 미해득 아동은 시각이미지를 인정받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 넷째, 한글 미해득 학생은 그들의 경험을 시각이미지로 표현하기를 거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문자 미해득으로 인한 학습 부진과 낮은 자존감 형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 미해득 아동의 미술 표현이 학교생활과 학습과정에서 자신의 의사 전달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로 주목 받고 교육적으로 해석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도, "현대의 사상 : 퍼스의 기호학" 65 : 148-155, 1995

      2 김정희, "한국 유, 초, 중등 미술표현발달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07

      3 김 선, "학습 부진아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1

      4 이용수, "퍼스의 도상, 지표, 상징 개념의 재고에 따른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전개방향"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8 (18): 75-84, 2017

      5 강미정, "퍼스의 기호학과 미술사" 이학사 2011

      6 Peirce, C. S.,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7 노양진, "퍼스의 기호 개념과 기호 해석" 새한철학회 83 (83): 96-110, 2016

      8 변주영, "중·고등학생 시험불안에 대한 부모의 성취압력, 인정욕구,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 남녀 간 경로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77-302, 2016

      9 Lowenfeld, V.,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1993

      10 김기국, "이미지 텍스트의 읽기교육 방법론 -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1-27, 2014

      1 김성도, "현대의 사상 : 퍼스의 기호학" 65 : 148-155, 1995

      2 김정희, "한국 유, 초, 중등 미술표현발달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07

      3 김 선, "학습 부진아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1

      4 이용수, "퍼스의 도상, 지표, 상징 개념의 재고에 따른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전개방향"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8 (18): 75-84, 2017

      5 강미정, "퍼스의 기호학과 미술사" 이학사 2011

      6 Peirce, C. S.,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7 노양진, "퍼스의 기호 개념과 기호 해석" 새한철학회 83 (83): 96-110, 2016

      8 변주영, "중·고등학생 시험불안에 대한 부모의 성취압력, 인정욕구,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 남녀 간 경로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77-302, 2016

      9 Lowenfeld, V.,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1993

      10 김기국, "이미지 텍스트의 읽기교육 방법론 -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1-27, 2014

      11 Hurwitz, A., "어린이와 어린이 미술" 예경 2006

      12 김정희, "아동화에 나타난 감정표현 관련 상징적 기호의 유형 분석-초등학생의 인물화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5 : 105-136, 2018

      13 Arnheim, 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14 백중열, "비동시성 미술영재 특성과 육성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9 : 187-208, 2017

      15 엄훈, "독서 지원 프로그램: 읽기 부진 문제 해결의 새로운 길 찾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9) : 357-391, 2009

      16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17 Atkinson, D., "교육을 위한 미술-미술교육에서 해석, 정체성, 차이에 관한 이론과실제" 교육과학사 2007

      18 오창우, "공중의 심리적 기저 ‘인정받기’의 개념적 논의: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09-133, 2017

      19 Arnheim, R., "Zu Anfang das Kind; Kinderzeichnung und die Kunst des 20" Verlag Gerd Hatje 1995

      20 Golomb, C., "Young children's sculpture and drawing: A study in representational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21 Silverman, L. K., "The construct of asynchronous development" 72 (72): 36-58, 1997

      22 Wilson, B., "The Artistic tower of Babel" 11 (11): 90-104, 1985

      23 Goodenough, F., "Measurement of intelligence by drawing" Harcourt, Brace, & World 1926

      24 McLeod, S., "Maslow's hierarchy of needs" Simply Psychology 1-, 2007

      25 Wolf, D., "From endpoints to repertoires : Some new conclusions about drawing development" 22 (22): 17-34, 1988

      26 Kindler, A. M., "Culture and development of pictorial repertoires" 39 (39): 147-167, 1998

      27 Wilson, B., "Children’s drawing Egypt" 10 (10): 13-16, 1984

      28 Efland, A., "Art and cognition : Integrating the visual arts in the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