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을 위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Design of Space Design Program for self-directed art learning - Focusing on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 is the reaction to all the environments and objects surrounding and nature of human beings to attempt meaningful change. The space as a mixture of natural order and human order constantly affects human life. The meaning and value of space desig...

      Design is the reaction to all the environments and objects surrounding and nature of human beings to attempt meaningful change. The space as a mixture of natural order and human order constantly affects human life. The meaning and value of space design is not tied to the artistic, aesthet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begins with human experience and self-directed. As an object of the learner's active reactions to the environment, ‘Space’ is suitable as a self-directed art learning material leading to personal development and social improvement through communication. The learner is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when he / she participates in art activities and develops and reflects himself / herself, and understands, respects, cares and cooperates with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in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Future Classroom Design' which is a space design program considering the field of school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self-direct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practiced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ite and expected effect. The learner can expect to develop self - 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by creating and evaluating a future classroom model, a space design program, by linking with other subjects and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자인은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과 사물에 대한 반응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하려는 인간의 본성이다. 자연의 질서와 인간이 만든 질서의 혼재로서의 공간은 끊임없이 인간의 삶에 영...

      디자인은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과 사물에 대한 반응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하려는 인간의 본성이다. 자연의 질서와 인간이 만든 질서의 혼재로서의 공간은 끊임없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준다. 공간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는 예술적, 미적, 재료적 특징에 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자기 주도성에서 시작된다.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반응의 대상으로서 공간은 소통을 통해서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개선의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제재로 적합하다. 학습자가 미술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때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과 자기 주도성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인 ‘미래 교실 디자인’을 설계하고, 예비 초등 교사들의 디자인 프로세스 실습을 통해 현장 가능성과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학습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 및 시각적 소통으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인 미래 교실 모형을 제작 및 평가하면서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함양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균,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7 (17): 353-364, 2004

      2 최범,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 안그라픽스 2018

      3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4 정향진, "중등단계 디자인교육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진경, "일상문화디자인리서치와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6 Papanek, V., "인간을 위한 디자인" 미진사 2009

      7 Papanek, V., "인간과 디자인" 미진사 1996

      8 안인기,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 수업의 가능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195-216, 2007

      9 Pink, D., "새로운 미래가 온다: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한국경제신문 2014

      10 박정애, "미술교육담론과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8 (8): 15-30, 2007

      1 김종균,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7 (17): 353-364, 2004

      2 최범, "최범의 서양 디자인사" 안그라픽스 2018

      3 박소영,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 한국조형교육학회 (28) : 207-242, 2006

      4 정향진, "중등단계 디자인교육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5 김진경, "일상문화디자인리서치와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6 Papanek, V., "인간을 위한 디자인" 미진사 2009

      7 Papanek, V., "인간과 디자인" 미진사 1996

      8 안인기,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 수업의 가능성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195-216, 2007

      9 Pink, D., "새로운 미래가 온다: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한국경제신문 2014

      10 박정애, "미술교육담론과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8 (8): 15-30, 2007

      11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12 김정희, "미술 5-6 교과서" 동아출판 2018

      13 김정선, "미술 5-6 교과서" (주)금성출판사 2018

      14 송미영, "미술 5-6 교과서" 지학사 2018

      15 정선화, "미술 5-6 교과서" 미술과생활 2018

      16 안금희, "미술 5-6 교과서" 천재교과서 2018

      17 류재만, "미술 5-6 교과서" 천재교육 2018

      18 김정선, "미술 3-4 교과서" (주)금성출판사 2017

      19 김정희, "미술 3-4 교과서" 동아출판 2017

      20 류재만, "미술 3-4 교과서" 천재교육 2017

      21 안금희, "미술 3-4 교과서" 천재교과서 2017

      22 김경숙, "미술 3-4 교과서" 지학사 2017

      23 이은적, "미술 3-4 교과서" 비상교육 2017

      24 YTN 사이언스,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시대를 이끄는 신기술"

      25 민경우, "디자인의 이해; 인간, 사회, 그리고 자연을 생각하며" 미진사 2008

      26 김영찬, "디자인의 의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27 後藤 武, "디자인생태학" 세종출판사 2005

      28 "디자인"

      29 박소영, "대한제국기의 『중등용기화법(中等用器畵法)』 연구 -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31-174, 2010

      30 박소영, "근대 초등미술교과서 다시 읽기* - 도안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61-92, 2012

      31 노유니아, "근대 디자인 개념과 양식의 수용 : 동경미술학교 도안과 유학생 임숙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2 김완기, "그땐 그랬지"

      33 권영걸, "공간이미지와 인간행태: Man, Space, Behavior" 1 (1): 32-39, 1999

      34 이홍구, "공간의 진화"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267-276, 2006

      35 강성중, "공간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 (14): 234-241, 2005

      36 김현지, "공간에서 나타나는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과 어포던스 연출 방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 기업 홍보관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172-184, 2011

      37 권영걸, "공간디자인의 비(非)물질화 경향에 관한 연구" 22 : 61-68, 2000

      38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도서출판국제 2001

      39 이민아, "공간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스케이프 평가지표 연구 : 문화예술공간의 물리적 증거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7

      40 Aquino, A., "What is the Design Process?"

      41 RAAAF, "The end of sitting"

      42 Wick, R., "Teaching at the Bauhaus" D. A. P 2000

      43 Freedman, K., "Social Perspectives on Art Education in the U. S.: Teaching Visual Culture in a Democracy" 41 (41): 314-329, 2000

      44 Carter, C., "Let’s stop talking about THE design process"

      45 Anderson, T., "Art for life" McGrawHill companies 2004

      46 Woodham, J., "20세기 디자인" 시공사 2009

      47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4 디자인백서" 지성기획인쇄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