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si and Diaglosia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Hansi for Children and Wome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62365
2007
-
051.000
KCI등재
학술저널
179-208(30쪽)
3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si and Diaglosia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Hansi for Children and Women
Hansi and Diaglosia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Hansi for Children and Women
국문 초록 (Abstract)
한글이 창제된 초기에 여성과 아동을 위한 번역서는 한문이 중심이고 한글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선 초기에 나온 아동을 위한 한시 번역서 역시 한문이 우선이고 한글이 부차적인 지...
한글이 창제된 초기에 여성과 아동을 위한 번역서는 한문이 중심이고 한글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선 초기에 나온 아동을 위한 한시 번역서 역시 한문이 우선이고 한글이 부차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다. 16세기 이래 일반 대중의 교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화서를 중심으로, 한문 원문 자체의 비중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번역문의 한글 전용이 서서히 이루어졌다. 또 한글이 왕실에서 여성들의 공식적인 문자로 자리하면서, 조선 후기에는 왕실 여성의 교화나 교양을 위한 번역이 대규모로 이루어졌고, 이러한 번역서는 철저하게 한글만으로 표기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여성이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하는 것이 금기시되던 사회분위기에서는, 한문을 알면서도 한글로 된 책을 읽어야 했고 또 한글로 글을 적어야 했다. 한글이 여성의 공식어로 자리하였기에,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남성 지식층도 그들의 공식어인 한문이 아니라 한글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들이 한문으로 지은 한시도 번역문뿐만 아니라 원문까지 한글로 읽는 전통이 생겼다. 특히 왕실 여성의 경우 광범위한 교양의 습득을 위해 한글로 번역된 역사서나 여행기를 읽었고, 이들 역사서나 여행기에 이미 교양의 일부가 된 한시가 수록되어 있었으므로, 이들 한시 역시 한글로 향유하게 되었다. 한글로 원문과 번역문을 읽는 체재가 확립되면서 원문은 장식으로만 존재하고 번역문을 통하여 대충 시의 뜻을 파악하는 것이 여성들의 한시 향유 방식이 된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무영,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유고" 3 : 2001
2 박무영,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유고" 고전여성문학연구 3집 2001
3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1982
4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2
5 박부자, "한글필사본 녈성지장통긔에 나타난 주체존대 시의 통합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2001
6 박부자, "한글필사본 녈성지장통긔에 나타난 주체존대 ‘-시-’의 통합관계" 2001
7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2002
8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9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8
10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8
1 박무영,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유고" 3 : 2001
2 박무영,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유고" 고전여성문학연구 3집 2001
3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1982
4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2
5 박부자, "한글필사본 녈성지장통긔에 나타난 주체존대 시의 통합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2001
6 박부자, "한글필사본 녈성지장통긔에 나타난 주체존대 ‘-시-’의 통합관계" 2001
7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2002
8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9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8
10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8
11 "택당 이식의 한시론과 택풍당비해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2 "택당 이식의 한시론과 택풍당비해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13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양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 : 2002
14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양상" 2002
15 백두현, "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97) : 139-187, 2004
16 백두현, "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97) : 139-187, 2004
17 유탁일, "의유당유고와 그 작자 고증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18 유탁일, "의유당유고와 그 작자 고증" 아세아문화사 1989
19 "왕실자료의 한글 필사본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 (창간) : 1999
20 "왕실자료의 한글 필사본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 장서각 창간호 1999
21 이현희, "언해자료 두율분류와 두초당시에 대한 고찰 두시와 두시언해연구" 태학사 1998
22 이현희, "언해자료 두율분류와 두초당시에 대한 고찰" 태학사 1998
23 이호권, "언해와 언해서의 사적 고찰" 한국방송통시대학논문집 42집 2006
24 이호권, "언해와 언해서의 사적 고찰" 42 : 2006
25 강혜선, "아버지의 글로 남은 딸의 삶" 문헌과해석 19호 2002
26 강혜선, "아버지의 글로 남은 딸의 삶" (19) : 2002
27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성곡학술재단 1972
28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성곡학술재단 1972
29 "담헌연기와 을병연행록의 비교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시각1" 집문당 1999
30 "담헌연기와 을병연행록의 비교" 집문당 1 : 1999
31 "규장각소장 근대국어 문헌자료의 종합적 연구" 1994
32 "규장각소장 근대국어 문헌자료의 종합적 연구" 1994
33 홍윤표,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 1993
34 홍윤표,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 1993
35 안병희, "구결과 한문훈독 국어사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36 안병희, "구결과 한문훈독" 문학과지성사 1992
37 남권희, "諺解絶句의 간행에 대하여" (8) : 1999
38 남권희, "諺解絶句의 간행에 대하여" 1999
39 정승혜, "窮儒寒士를 위한 四書諺解에 대하여" (25) : 2003
40 정승혜, "窮儒寒士를 위한 四書諺解에 대하여" 문헌과해석 25호 2003
41 태학사, "杜詩의 언해 양상 두시와 두시언해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1999
42 "杜詩의 언해 양상" 태학사 1999
43 "朝鮮時代 王室圖書의 收藏에 대하여" (26) : 2002
44 "朝鮮時代 王室圖書의 收藏에 대하여" 書誌學報 26호 2002
45 김덕수, "朝鮮 文士와 明使臣의 酬唱과 그 양상 한국한문학연구27" 한국한문학회 2001
46 김덕수, "朝鮮 文士와 明使臣의 酬唱과 그 양상" 한국한문학회 2001
47 김완진, "庚子紀年 대왕대비 諺文傳敎에 대하여" 문헌과해석 27호 2004
48 김완진, "庚子紀年 대왕대비 諺文傳敎에 대하여" (27) : 2004
49 이경하, "15-16세기 왕후의 국문 글쓰기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 389-416, 2003
50 이경하, "15-16세기 왕후의 국문 글쓰기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 389-416, 2003
西團山文化와 吉林 中部 地域 初期 鐵器文化 諸 類型 間의 文化的 相關 關係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2.456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