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체제 내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08478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75.7
충청북도
vii, 96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 김원경
참고문헌 : p.81-8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체제 내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체제 내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관리․지원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이 수학 교과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가. 사이버가정학습 실시 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별 향상 정도는 어떠한가?
나. 사이버가정학습 실시 후 학습자의 능력수준(상위, 중위, 하위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 정도는 어떠한가?
2.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의 구성 요소를 인지 전략, 메타인지 전략, 자기관리 전략, 자기 효능감, 내적 동기, 외적 동기의 6가지 요소로 나누고 그에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전략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사이버가정학습 진행을 위한 수준별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 전략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였다. 운영 전과 후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 표본 t-검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후에 학생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이버가정학습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문제 1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이 수학 교과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t-검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는 인지 전략, 메타인지 전략, 자기관리 전략, 자기 효능감, 내적 동기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따라서는 중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경우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사이버가정학습 태도 설문지를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 및 기술 통계치의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설문 응답 결과 78%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4%만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5점 척도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응답 결과는 수준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중위 수준의 평균이 약간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는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와 운영 전략을 통해 자기 스스로 학습을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는 환경임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중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들이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이버가정학습은 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환경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주었으며, 특히 면담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뿐만 아니라 흥미 및 자신감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운영 전략을 바탕으로 한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수학 교과의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을 도울 수 있는 자료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관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