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와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nderstanding of Education Curriculum and Recognition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upport needs for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upport needs for specia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fan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eonnam. Result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higher than medium.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infant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lth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he shorter their careers were, the mor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finding effective methods. Third,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ere lack of preparation time and lack of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reconstruction. Lastly, in order to practic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required to disseminate reconstruction example materials,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and to reduce workloa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support curriculum reconstruction practices,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mentoring of experienced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hands-on training and sharing reconstruction case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and the development of reconstruction manu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실태와 지원 요구 사항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 유아․초등․...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실태와 지원 요구 사항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 유아․초등․중등 특수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초등특수가 유아특수와 중등특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경력이 낮을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준비 시간 부족, 방법론적 지식과 경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과정 이해도와 재구성 실천 간,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과 재구성 실천 간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위해서는 예시 자료 보급, 실제적인 연수, 업무 경감 등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와 함께 교사 멘토링, 실습 중심의 연수, 재구성 사례 공유 등 지원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고,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재구성 매뉴얼 개발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2 김기영,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김현숙,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09-126, 2015

      5 김석진, "특수교육 교사의 교육과정 접근법에 대한 인식과 수업문화"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21-45, 2016

      6 최성규,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21, 2015

      7 백민영, "초임 초등특수교사의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현진,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육연구원 33 (33): 95-111, 2017

      9 정재성,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0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교육과정, 수업,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조 관계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18, 2018

      1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2 김기영,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김현숙,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09-126, 2015

      5 김석진, "특수교육 교사의 교육과정 접근법에 대한 인식과 수업문화"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21-45, 2016

      6 최성규,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21, 2015

      7 백민영, "초임 초등특수교사의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현진,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육연구원 33 (33): 95-111, 2017

      9 정재성,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0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교육과정, 수업,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조 관계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9 (9): 1-18, 2018

      11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정향과 구조가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미치는 관계 분석"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7 (7): 123-141, 2016

      12 권순황,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적정화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27-148, 2017

      13 남지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4 오세웅,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07-131, 2014

      15 김인숙, "주제단원 중심 통합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13 (13): 155-179, 1998

      16 최하영,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국내 실험 연구 분석" 한국행동분석학회 4 (4): 23-43, 2017

      17 고은정, "순회학급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순회교사의 경험과 의미"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01-131, 2015

      18 안영은,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35-163, 2018

      19 김현규, "국가교육과정 문서 안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용어의 의미 연역"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55-82, 2015

      20 김영미,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교육발전연구소 26 (26): 335-363, 2016

      21 한경임,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 수행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지원 요구"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71-295, 2019

      22 추광재,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요인 탐색" 12 : 427-442, 2018

      23 이경진,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9): 1-27, 2006

      24 신초롬, "교과 간 교육과정 재구성이 특수학교 지적장애 중학생의 직업준비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25 정주영, "경도 장애 초등학생의 통합교육 방법으로서 교수적합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 17 (17): 251-283, 2001

      26 Marsh, C. J.,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Pearson Education 2003

      27 김승연,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8 교육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부교시 제 2015-81호 기본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9 0.73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