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라는 매체는 우리의 일상에 다양한 형태와 목적을 가지고 스며들어 이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공간매체’가 되었다. 웹이라는 공간은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지만 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529948
서울 :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4
學位論文(碩士) -- 中央大學校 大學院 , 産業디자인學科 視覺디자인專攻 , 2004.6
2004
한국어
서울
(A)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echniques to the design of web interface
81, x 장 : 삽도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웹이라는 매체는 우리의 일상에 다양한 형태와 목적을 가지고 스며들어 이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공간매체’가 되었다. 웹이라는 공간은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지만 몰...
웹이라는 매체는 우리의 일상에 다양한 형태와 목적을 가지고 스며들어 이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공간매체’가 되었다. 웹이라는 공간은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이지만 몰입하여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들의 무의식에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와 가상현실이 아닌 실재감까지도 느끼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웹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을 스토리텔링구조와 인터페이스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경험에 대한 유형을 도출한 후,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웹 인터페이스의 모형을 발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웹사이트, 모바일, 디지털 TV 등과 같은 인터랙티브 미디어들은 모두 사용성을 중심으로 한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의 방향성을 갖고 디자인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의 요소들은 정보 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아이덴티티(Indentity), 사용편의성(Usability), 시각효과(Visual effect),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등의 많은 관점에서 그 접근이 가능하지만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에 주목한다.
이는 스토리텔링의 특성이 감성과 상호작용이 수반된 복잡한 구성을 요구하는 반면,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이며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단순한 속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 두 속성의 결합으로 여러 가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방식들은 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제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해서 논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온라인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속에서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구조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웹 사이트에서 발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구조와 웹 인터페이스에 관한 유형들을 ‘사용자(user)의 참여’를 기준으로 분류한 후 전체적인 분류에 대한 분석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러한 유형별 분류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형으로 웹인터페이스 모형제시를 통해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웹에서 컨텐츠와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원활하게 하고 찾고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얻고자 하는 것, 즉 사이트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효과적인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해 연구 하였다.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과 사용성, 정보설계의 디자인 해석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우리들이 경험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된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웹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발전 모형을 제안함으로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질을 향상시키는 인터페이스 개발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웹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논의 들이 있었고, 또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짧은 역사에 기인한 웹 인터페이스 자체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이 마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구조와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온라인 컨텐츠 개발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발전이 단순히 스토리의 내러티브에 관한 접근뿐만 아니라 구조를 통한 스토리텔링도 중요하며 그것을 위한 인터페이스도 스토리텔링의 일부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