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열린 제3차 세계교육포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글로벌 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eace and Cooperation)이다. 반기문 유엔 총장은 글로벌 교육우선구상(GEFI, global education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78532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지리교육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910.712 판사항(22)
충청북도
viii, 136 p. : 삽도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권정화
참고문헌 : pp.108-1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열린 제3차 세계교육포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글로벌 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eace and Cooperation)이다. 반기문 유엔 총장은 글로벌 교육우선구상(GEFI, global education ...
우리나라에서 열린 제3차 세계교육포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글로벌 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eace and Cooperation)이다. 반기문 유엔 총장은 글로벌 교육우선구상(GEFI, 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s)에서 지구시민의식 함양을 강조하였고, 우리나라는 GEFI 지원그룹에 15번째로 가입하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유엔 연설에서 ‘보다 나은 세계를 이끌어갈 미래의 주역들을 양성하기 위한 글로벌 시민교육의 주요 지지국으로서 글로벌 시민교육이 새로운 교육목표의 핵심이 되도록 앞장설 것’을 다짐하였다.
지구촌의 빈곤 문제와 평화, 환경, 인권 등 글로벌 이슈 해결을 위한 개발협력이 이루어진 지난 15년간의 시간 동안 지구시민의식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깨달은 결과일 것이다. 지구시민의식함양은 하나의 교육목표일 뿐만 아니라 개발 협력의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시민의식함양을 위한 글로벌 시민교육이 중·고등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세계시민교육, 지구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국제개발협력교육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시민교육의 정의와 용어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중 글로벌 이슈와 국제개발협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개발교육의 현황 및 발전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개발교육의 사례로 YGA(Youth Global Action) 활동을 제시하고 실제 고등학교 지리수업 시간에 이루어진 YGA 활동이 학생들의 지구시민의식 함양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내용으로 지리교육과 개발교육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개발협력을 단순한 원조가 아닌 동등한 인간으로서의 가치와 평등 실현이라는 보편적 가치에 비중을 두고 이루어지는 교육이 필요하며 지리교육은 여러 국가와 지역들에서 볼 수 있는 공간적 상호 의존과 갈등의 본질을 파악하고, 공존과 번영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세계시민성에서 요구되는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국제적 이슈에 대한 인식과 해결 방안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하므로 개발교육에 적합한 교과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내용으로 개발교육의 정의와 국제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개발교육은 세계시민교육, 지구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등과 동일한 개념으로 혹은 하위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구촌의 빈곤문제, 개발도상국의 발전문제에 좀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개발도상국의 상황 이해와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협력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 국제사회 환경의 변화에 다라 개발교육의 주체와 지향점은 조금씩 변화를 거듭해오고 있다.
세 번째 연구내용으로 우리나라 개발교육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정규교육과정,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교육원, 국제개발민간협의회(KCOC), 개발 NGO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우리나라는 개발협력의 역사만큼이나 개발교육에 대한 역사가 짧은 편이며 개발 NGO의 기부문화 조성을 위한 홍보의 수단으로 개발교육이 활용되었던 면을 부정하기 어려우나 국제개발의 당위성과 책임성 제고 등의 내용으로 교육은 진정성을 찾아가고 있다.
네 번째 연구내용으로 중·고등학교 수업시간과 동아리 활동시간에 YGA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수업은 성남시 S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리수업시간에 진행하였으며, 동아리 활동은 연구모임 교사들의 학교에서 유엔의 날 캠페인 활동, 봉사활동, 체험활동, 현장체험학습 등의 형태로 실시하였다.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설문지 분석, 심층면담을 통해 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YGA 활동을 중심으로 한 개발교육 수업은 지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및 관심도를 높였다. 이는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학생들의 가치 및 태도 영역을 기를 수 있는 모둠활동 중심의 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를 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 전에는 추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세계 여러 대륙과 나라들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특히 아프리카 대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글로벌 이슈에 대한 문제의식과 국제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커졌으며 자신의 주변 환경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시각도 생겼다. 넷째, 유엔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하는 일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며 개발 NGO의 역할에 대한 개념이 생겼다. 마지막으로 지구 환경 오염에 대한 책임의식과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한 실천의지가 수업 전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개발협력의 조력자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지구시민으로서의 의식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