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에 따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2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과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라 비장애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9 세부터 29 세까지의 비장애인 30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가상의 AAC 사용자와 비장애인 간의 대화 상황을 듣고,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5 초, 10 초, 20 초, 30 초)에 따른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를 5 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AAC 사용자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른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장애인은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에서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화 반응 시간이 느리더라도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 비장애인은 의사소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AAC 사용자의 정확하고 신속한 메시지 생성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비장애인은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20 초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 의사소통 성공 판단과 수용, 메시지 이해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AC 사용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전 대화 전략 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과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라 비장애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과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라 비장애인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9 세부터 29 세까지의 비장애인 30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가상의 AAC 사용자와 비장애인 간의 대화 상황을 듣고,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5 초, 10 초, 20 초, 30 초)에 따른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를 5 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AAC 사용자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 유무에 따른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장애인은 의사소통 성공 판단, 의사소통 수용, 메시지 이해에서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화 반응 시간이 느리더라도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 비장애인은 의사소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AAC 사용자의 정확하고 신속한 메시지 생성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비장애인은 AAC 사용자의 대화 반응 시간이 20 초 이상으로 길어질 경우, 의사소통 성공 판단과 수용, 메시지 이해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사전 대화 전략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비장애인의 의사소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AC 사용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전 대화 전략 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ommunication partners when conversing with AAC users, based on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and the use of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ommunication attitudes of 30 non-disabled participants aged 19 to 29 years. Participants listened to a fictitious conversation between an AAC user and a non-disabled person, rating the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on a 5-point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5, 10, 20, and 30 second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re-conversation messages on communication attitudes.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AAC users’ response time increased, non-disabled participants raed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However, even when response times were slow, participants expresse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hen the AAC user employed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Conclusion: For AAC users, the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by accurately and quickly selecting the messages they wish to convey is critical to successful communication. This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non-disabled individuals rated communication success,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when AAC users had a response time of 20 seconds or more, suggesting that employing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is essential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y AAC users.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ommunication partners when conversing with AAC users, based on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and the use of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M...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ommunication partners when conversing with AAC users, based on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and the use of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ommunication attitudes of 30 non-disabled participants aged 19 to 29 years. Participants listened to a fictitious conversation between an AAC user and a non-disabled person, rating the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on a 5-point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AAC user’s response times (5, 10, 20, and 30 second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re-conversation messages on communication attitudes.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AAC users’ response time increased, non-disabled participants raed communication success,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However, even when response times were slow, participants expresse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hen the AAC user employed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Conclusion: For AAC users, the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by accurately and quickly selecting the messages they wish to convey is critical to successful communication. This study’s results indicated that non-disabled individuals rated communication success, acceptance, and message understanding lower when AAC users had a response time of 20 seconds or more, suggesting that employing a pre-conversation strategy message is essential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y AAC us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서 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