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조의 평화사상 : 탕평과 활법을 중심으로 = The Peace Thought of King Jôngjo : Focusing on Tangpyông and Hwalb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7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의 왕 정조(正祖, 1752~1800)에게서 현대 평화학에서 다루는 수준의 평화사상을 찾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정조에게 평화에 대한 관념이 없지는 않았고, 그러한 관념은 정조의 사...

      조선의 왕 정조(正祖, 1752~1800)에게서 현대 평화학에서 다루는 수준의 평화사상을 찾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정조에게 평화에 대한 관념이 없지는 않았고, 그러한 관념은 정조의 사상과 정치에 반영되었다. 정조의 평화사상은 관용과 통합의 사상으로서의 탕평과 내면의 활기 있는 평안을 추구하는 활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토론과 소통의 활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폭력 없는 공존과 갈등의 완화를 추구하는 준론탕평(峻論蕩平)은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구조적 폭력이 제거된 화합과 대통합의 정치사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관용 없는 분쟁과 폭력의 여지를 없애려는 대동탕평(大同蕩平)은 적극적 평화 (posi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성리학적 마음공부의 연장선상에 있으면 서도 정조 자신만의 독특한 깨달음을 가미한 정조의 활법(活法) 공부론(工夫論)은 내적인 평화, 인간 마음의 평화를 위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조의 평화사상을 조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ill be challenging to look for thoughts of peace from King Jôngjo(正 祖, 1752-1800) of Joseon, from the same level of the modern Peace Studies. However, it was true that King Jôngjo did have the notion of peace, and this notion was considerabl...

      It will be challenging to look for thoughts of peace from King Jôngjo(正 祖, 1752-1800) of Joseon, from the same level of the modern Peace Studies. However, it was true that King Jôngjo did have the notion of peace, and this notion was considerably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olitics. Thought of Peace of King Jôngjo can be found from Tangpyông(蕩平) as an ideology of tolerance and integration and Hwalbup(活法) pursuing internal vivacity. Firstly, his “Junlon Tangpyông(峻論蕩平)” can be considered nega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ideology aims at coexistence without violence and minimization of conflict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respect of diverse opinions and dynamism of discussions and communications. Secondly, his “Daedong Tangpyông(大同蕩平)” is considered posi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notion intends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dispute without tolerance and violence by seeking socio-political system of harmony and great integration void of structural violence. Thirdly, Jôngjo’s “Theory of Hwalbup learning” can be considered internal peace, namely, thoughts for peace of mind of humanity, in the sense that this theory is an extension of mind learning of Neo-Confucianism but is added by unique awakening of Jôngjo of his ow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houghts of peace in King Jôngjo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그리스도교 철학연구소, "현대 사회와 평화" 서광사 1991

      2 김준석, "한국 중세 유교정치사상사론Ⅱ" 지식산업사 2005

      3 陳正炎, "중국의 유토피아 사상" 지식산업사 1990

      4 김성윤, "조선후기 탕평정치 연구" 지식산업사 1997

      5 김준석, "조선후기 정치사상사 연구" 지식산업사 2003

      6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7 한상권, "정조와 정조시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8 안효성, "정조 탕평론의 정치철학적 의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6

      9 오수창,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및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대화" 역사문제연구소 (116) : 204-234, 2016

      10 칸트, 임마누엘, "영구평화론" 서광사 2013

      1 그리스도교 철학연구소, "현대 사회와 평화" 서광사 1991

      2 김준석, "한국 중세 유교정치사상사론Ⅱ" 지식산업사 2005

      3 陳正炎, "중국의 유토피아 사상" 지식산업사 1990

      4 김성윤, "조선후기 탕평정치 연구" 지식산업사 1997

      5 김준석, "조선후기 정치사상사 연구" 지식산업사 2003

      6 김문식,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2007

      7 한상권, "정조와 정조시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8 안효성, "정조 탕평론의 정치철학적 의미" 한국외국어대학교 2016

      9 오수창,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및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대화" 역사문제연구소 (116) : 204-234, 2016

      10 칸트, 임마누엘, "영구평화론" 서광사 2013

      11 "禮記"

      12 "正祖實錄"

      13 안효성, "正祖 蕩平策의 公共性과 公論政治의 座標" 한국해석학회 (36) : 87-120, 2015

      14 "栗谷全書"

      15 "弘齋全書"

      16 "尙書"

      17 안효성, "和諍과 蕩平은 어떻게 상대주의를 넘어서는가? - 一心과 皇極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1 (81): 127-150, 2015

      18 Galtung, Johan, "Violence, Peace, and Peace Research" 6 (6):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과평화 -> 통일과 평화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3-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일평화연구소 -> 통일평화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