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혈중지질 수준 비교 = (A) comparison of serum lipids level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615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8년 11월에 실시되었던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검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13,421명중 ‘보건의식행태조사’와 ‘건강검진조사’를 받은 20세이상 성인 8,823명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과거에 피웠다고 대답한 사람, 혈중지질이 조사되지 않았던 대상자를 제외한 6,877명(흡연자 2,421명, 비흡연자 4,456명)이었다.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일반적특성과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유의성 검정은 P<0.05일 때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고,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흡연자 2,421명(35.2%)중 남자 2,168명(89.6%), 여자 253명(10.4%), 비흡연자 4,456명(64.8%)중 남자 600명(13.5%), 여자 3856명(86.5)이었다. 남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86.3±36.8mg/dl, 중성지방 138.7±67.0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8.3±12.6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0.2±33.8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5.2±35.1mg/dl, 중성지방 126.6±62.2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7.2±11.8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2.6±32.1mg/dl이었다. 여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98.8±40.1mg/dl, 중성지방 132.7±54.9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2±13.9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21.1±38.5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8.0±37.3mg/dl, 중성지방 110.7±56.1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7±12.5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4.1±33.0mg/dl 이었다.
      둘째, 하루평균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10개피미만, 10-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으로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자는 20개피이상인 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농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비흡연군에 비해 10개피미만, 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았고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셋째, 생애총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Q1(2,702갑미만), Q2(5,749갑미만), Q3(9,728갑미만), Q4(9,729갑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남녀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남자는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여자에서는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1,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Q3, Q4군에서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비흡연군에 비해 낮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넷째, 혈중지질에 대한 하루평균흡연량, 생애총흡연량, 연령, 교육정도, 수입, 음주여부, 운동여부, 스트레스정도, BMI, waist hip ratio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남녀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른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하루평균흡연량이 20개피 이상인 군과 생애총흡연량이 상위사분위수(>9,729갑)군에서 혈중지질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하루평균흡연량과 생애총흡연량이 혈중지질농도에 독립적인 관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8년 11월에 실시되었던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검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실시...

      본 연구는 1998년 11월에 실시되었던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검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13,421명중 ‘보건의식행태조사’와 ‘건강검진조사’를 받은 20세이상 성인 8,823명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과거에 피웠다고 대답한 사람, 혈중지질이 조사되지 않았던 대상자를 제외한 6,877명(흡연자 2,421명, 비흡연자 4,456명)이었다.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일반적특성과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유의성 검정은 P<0.05일 때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고,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흡연자 2,421명(35.2%)중 남자 2,168명(89.6%), 여자 253명(10.4%), 비흡연자 4,456명(64.8%)중 남자 600명(13.5%), 여자 3856명(86.5)이었다. 남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86.3±36.8mg/dl, 중성지방 138.7±67.0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8.3±12.6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0.2±33.8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5.2±35.1mg/dl, 중성지방 126.6±62.2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7.2±11.8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2.6±32.1mg/dl이었다. 여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98.8±40.1mg/dl, 중성지방 132.7±54.9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2±13.9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21.1±38.5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8.0±37.3mg/dl, 중성지방 110.7±56.1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7±12.5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4.1±33.0mg/dl 이었다.
      둘째, 하루평균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10개피미만, 10-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으로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자는 20개피이상인 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농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비흡연군에 비해 10개피미만, 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았고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셋째, 생애총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Q1(2,702갑미만), Q2(5,749갑미만), Q3(9,728갑미만), Q4(9,729갑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남녀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남자는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여자에서는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1,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Q3, Q4군에서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비흡연군에 비해 낮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넷째, 혈중지질에 대한 하루평균흡연량, 생애총흡연량, 연령, 교육정도, 수입, 음주여부, 운동여부, 스트레스정도, BMI, waist hip ratio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남녀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른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하루평균흡연량이 20개피 이상인 군과 생애총흡연량이 상위사분위수(>9,729갑)군에서 혈중지질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하루평균흡연량과 생애총흡연량이 혈중지질농도에 독립적인 관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rum lipids level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health check-up data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Investigation Report」in 1998. From the total sample of 13,421, 8,823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took part in the 'Public Health Awareness Report' and 'Health Check-up', were chosen as the study sample. Furthermore, the sporadic smokers and ex-smokers were excluded. A total number 6,877 subjects were analyzed(2,421 smokers, 4,456 nonsmoker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ups(smokers and nonsmokers) differences of serum lipids level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adjusting, the effects of confoun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males were 186.3±36.8mg/dl, 138.7±67.0mg/dl, 48.3±12.6mg/dl and 110.2±33.8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5.2±35.1mg/dl, 126.6±62.2mg/dl, 47.2±11.8mg/dl and 112.6±32.1mg/dl for the nonsmoker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198.8±40.1mg/dl, 132.7±54.9mg/dl, 51.2±13.9mg/dl and 121.1±38.5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8.0±37.3mg/dl, 110.7±56.1mg/dl, 51.7±12.5mg/dl and 114.1±33.0mg/dl for the nonsmokers.
      Second, based on the daily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nsmokers, light smokers(less than 10 cigarettes per day), moderate smokers(10-19 cigarettes per day), and heavy smokers(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the light smokers, the moderate smokers and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Third, based on the life-long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nsmokers, Q1(from 1 pack to 2702 packs), Q2(from 2703 packs to 5749 packs), Q3(from 5750 packs to 9728 packs) and Q4(more than 9729 pack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group Q2, Q3, Q4 than nonsmokers.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low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on serum lipids level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age, education level, income, drinking pattern, exercise, levels of stress, BMI and waist hip ratio. Controlling other variables, heavy smokers and smokers in group Q4(more than 9729 packs) yielded a high concentration of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might be regard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rum lipid levels in Korea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rum lipids level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health check-up data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rum lipids level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health check-up data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Investigation Report」in 1998. From the total sample of 13,421, 8,823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took part in the 'Public Health Awareness Report' and 'Health Check-up', were chosen as the study sample. Furthermore, the sporadic smokers and ex-smokers were excluded. A total number 6,877 subjects were analyzed(2,421 smokers, 4,456 nonsmoker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ups(smokers and nonsmokers) differences of serum lipids level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adjusting, the effects of confoun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males were 186.3±36.8mg/dl, 138.7±67.0mg/dl, 48.3±12.6mg/dl and 110.2±33.8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5.2±35.1mg/dl, 126.6±62.2mg/dl, 47.2±11.8mg/dl and 112.6±32.1mg/dl for the nonsmoker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198.8±40.1mg/dl, 132.7±54.9mg/dl, 51.2±13.9mg/dl and 121.1±38.5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8.0±37.3mg/dl, 110.7±56.1mg/dl, 51.7±12.5mg/dl and 114.1±33.0mg/dl for the nonsmokers.
      Second, based on the daily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nsmokers, light smokers(less than 10 cigarettes per day), moderate smokers(10-19 cigarettes per day), and heavy smokers(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the light smokers, the moderate smokers and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Third, based on the life-long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nsmokers, Q1(from 1 pack to 2702 packs), Q2(from 2703 packs to 5749 packs), Q3(from 5750 packs to 9728 packs) and Q4(more than 9729 pack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group Q2, Q3, Q4 than nonsmokers.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low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on serum lipids level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age, education level, income, drinking pattern, exercise, levels of stress, BMI and waist hip ratio. Controlling other variables, heavy smokers and smokers in group Q4(more than 9729 packs) yielded a high concentration of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might be regard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rum lipid levels in Kore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목차
      • 국문요약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3.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8
      • Ⅲ. 연구방법 = 13
      • 1. 연구대상 = 13
      • 2. 분석방법 = 13
      • 3. 연구설계 = 14
      • Ⅳ. 연구 결과 = 15
      •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 15
      • 2. 하루평균흡연량에 따른 혈중지질 비교 = 19
      • 3. 생애총흡연량에 따른 혈중지질 비교 = 20
      • 4.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 21
      • Ⅴ. 고찰 = 26
      • Ⅵ. 결론 = 30
      • 참고문헌 = 33
      • ABSTRACT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