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의 두벌농사 특성 평가 = Global Warming on Double Cropping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1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the benefits of global warming on the double cropping with staple crops in North-Korea, four aspects such as the increasing rate of air temperature, the wintering temperatures for winter crops, the causing temperature of cool injury to rice and the securing of accumulated temperature for the double cropping in the different agricultural climate zone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22 years from 1973to 1994 and the recent 5 years from 2002 to 2006. The warming rate in recent daily mean air temperature of 8.96℃in North Korea was higher by 0.64℃ than that in the past with large regional variations ranging from 1.06℃ in Samjiyeon of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to 12.26℃in Jangjeon of east central coastal zone. With the accumulated temperatures of more than 3,150℃ and 2,650℃, it was possible to apply the double cropping patterns with winter wheat and for cropping patterns with spring potato,respectively, to the whole region except for the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However, the wintering temperature higher than -15℃ of average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of January, cropping patterns were impossible to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and most regions of the northern mountainous zone. The days passed by below 17℃in daily mean air temperature, causing the spikelet sterility at meiotic stage of rice in July, were a lot recorded from 21 to 29 days in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and from 2 to 10 days in east-northern coastal zone, respectively.
      Therefore, a reasonable utilization of heat / temperature resources would relieve the limiting factors in double cropping for stable production of staple crops in North-Korea.
      번역하기

      In order to evaluate the benefits of global warming on the double cropping with staple crops in North-Korea, four aspects such as the increasing rate of air temperature, the wintering temperatures for winter crops, the causing temperature of cool inju...

      In order to evaluate the benefits of global warming on the double cropping with staple crops in North-Korea, four aspects such as the increasing rate of air temperature, the wintering temperatures for winter crops, the causing temperature of cool injury to rice and the securing of accumulated temperature for the double cropping in the different agricultural climate zone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st 22 years from 1973to 1994 and the recent 5 years from 2002 to 2006. The warming rate in recent daily mean air temperature of 8.96℃in North Korea was higher by 0.64℃ than that in the past with large regional variations ranging from 1.06℃ in Samjiyeon of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to 12.26℃in Jangjeon of east central coastal zone. With the accumulated temperatures of more than 3,150℃ and 2,650℃, it was possible to apply the double cropping patterns with winter wheat and for cropping patterns with spring potato,respectively, to the whole region except for the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However, the wintering temperature higher than -15℃ of average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of January, cropping patterns were impossible to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and most regions of the northern mountainous zone. The days passed by below 17℃in daily mean air temperature, causing the spikelet sterility at meiotic stage of rice in July, were a lot recorded from 21 to 29 days in northern inland semi-alpine zone and from 2 to 10 days in east-northern coastal zone, respectively.
      Therefore, a reasonable utilization of heat / temperature resources would relieve the limiting factors in double cropping for stable production of staple crops in North-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지역의 식량작물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이모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온난화의 지역적특성, 겨울작물의 월동온도, 여름작물의 냉해유발온도 및이모작 작부양식별 소요적산온도 확보 등 온열지표의 변화를 농업기후지대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북한의 온난화는 과거(1973-1994)보다 최근(2002-2006)들어 연간 평균기온 3,271℃로 233℃나 상승되었고 일평균기온은 8.96℃로 0.64℃ 증가되었다. 일평균기온의지역간 변이는 아한대인 북부내륙고산지대의 삼지연에서 1.06℃, 온대인 동해안중부지대의 장전에서 12.26℃로 큰 변이를 보였다.
      2. 겨울작물의 월동가능지역 확대겨울작물의 월동온도를 기준으로 가을보리+벼 이모작(-13℃ 이상 지역) 가능지역의 분포는 과거 서해안과동해안 및 서부중간지대의 일부에서 최근 들어 서부중간지대의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가을밀+벼 이모작(-15℃)가능지역은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 전역에서 최근 중부산간지대의 전역과 북부산간 일부지역까지 확대되었다.
      3. 여름작물의 냉해우려지역 분포7월중 일평균기온 17℃이하의 장해형냉해 유발온도의경과일수를 기준으로 냉해우려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에서 21-29일, 동북해안북부지대에서 8-10일, 동북해안남부지대에서 2-5일로 나타났다.
      4. 이모작 적산온도 확보의 지역적 분포월동작물 가을밀과 결합된 여름작물(벼, 옥수수 및 콩)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3,1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를 제외한 북한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여름작물 봄감자와 결합된 벼, 옥수수및 콩 등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2,6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일부 북부내륙고산지대 혜산지역까지 가능하였다.
      번역하기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지역의 식량작물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이모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온난화의 지역적특성, 겨울작물의 월동온도, 여름작물의 냉해유발온도 및이모작 작부양식...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한지역의 식량작물 생산을 주축으로 하는 이모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온난화의 지역적특성, 겨울작물의 월동온도, 여름작물의 냉해유발온도 및이모작 작부양식별 소요적산온도 확보 등 온열지표의 변화를 농업기후지대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난화의 지역적 특성북한의 온난화는 과거(1973-1994)보다 최근(2002-2006)들어 연간 평균기온 3,271℃로 233℃나 상승되었고 일평균기온은 8.96℃로 0.64℃ 증가되었다. 일평균기온의지역간 변이는 아한대인 북부내륙고산지대의 삼지연에서 1.06℃, 온대인 동해안중부지대의 장전에서 12.26℃로 큰 변이를 보였다.
      2. 겨울작물의 월동가능지역 확대겨울작물의 월동온도를 기준으로 가을보리+벼 이모작(-13℃ 이상 지역) 가능지역의 분포는 과거 서해안과동해안 및 서부중간지대의 일부에서 최근 들어 서부중간지대의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가을밀+벼 이모작(-15℃)가능지역은 과거 서해안과 동해안 및 서부중간지 전역에서 최근 중부산간지대의 전역과 북부산간 일부지역까지 확대되었다.
      3. 여름작물의 냉해우려지역 분포7월중 일평균기온 17℃이하의 장해형냉해 유발온도의경과일수를 기준으로 냉해우려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에서 21-29일, 동북해안북부지대에서 8-10일, 동북해안남부지대에서 2-5일로 나타났다.
      4. 이모작 적산온도 확보의 지역적 분포월동작물 가을밀과 결합된 여름작물(벼, 옥수수 및 콩)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3,1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북부내륙고산지대를 제외한 북한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여름작물 봄감자와 결합된 벼, 옥수수및 콩 등 이모작을 가능케 하는 적산온도 2,650℃ 이상 확보지역의 분포는 일부 북부내륙고산지대 혜산지역까지 가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철영, "콩 품종들의 소요온열조건과 생육일수, 소출과의 관계" 1 : 39-40, 2005

      2 송경란, "최근 5년간 우리나라 기후특성" 1 : 24-26, 2007

      3 윤희일, "적산온도에 의한 논앞그루 감자소출형성과정의 모형화" 5 : 28-30, 2005

      4 최학봉, "우리나라의 두벌농사지역화에 대한 연구" 52 : 167-169, 2006

      5 반영옥, "온열자원 변화와 두벌농사조건" 1 : 29-30, 2004

      6 백현성, "알곡대 알곡 2모작 적지평가를 위한 기후지표들의 무게결정방법" 3 : 10-10, 2005

      7 김정팔, "서해안 정주이남지역에서 두벌농사 가능지역 구분을 위한 지리학적연구" 200 : 36-37, 2000

      8 류인수, "북한의 수도작 농업기후지대 구분" 8 (8): 206-215, 1996

      9 안영국, "두벌농사에서 5℃적산온도의 리용" 6 : 26-28, 2004

      10 김영철, "대동강유역에서 기후조건에 의한 두벌농사 가능지대 선택" 6 : 27-28, 2001

      1 송철영, "콩 품종들의 소요온열조건과 생육일수, 소출과의 관계" 1 : 39-40, 2005

      2 송경란, "최근 5년간 우리나라 기후특성" 1 : 24-26, 2007

      3 윤희일, "적산온도에 의한 논앞그루 감자소출형성과정의 모형화" 5 : 28-30, 2005

      4 최학봉, "우리나라의 두벌농사지역화에 대한 연구" 52 : 167-169, 2006

      5 반영옥, "온열자원 변화와 두벌농사조건" 1 : 29-30, 2004

      6 백현성, "알곡대 알곡 2모작 적지평가를 위한 기후지표들의 무게결정방법" 3 : 10-10, 2005

      7 김정팔, "서해안 정주이남지역에서 두벌농사 가능지역 구분을 위한 지리학적연구" 200 : 36-37, 2000

      8 류인수, "북한의 수도작 농업기후지대 구분" 8 (8): 206-215, 1996

      9 안영국, "두벌농사에서 5℃적산온도의 리용" 6 : 26-28, 2004

      10 김영철, "대동강유역에서 기후조건에 의한 두벌농사 가능지대 선택" 6 : 27-28, 2001

      11 반영옥, "농작물의 겨울나이 조건 평가" 6 : 26-27, 2003

      12 권창환, "논에서 두벌농사 가능지대 구분(1)" 3 : 36-37, 2001

      13 Satake, J., "Male sterility of rice plants in cool weather injury" 46 : 1534-1538, 1971

      14 허영복, "2모작 강냉이의 물질생산과 유효적산온도와의 관계" 5 : 25-2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