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윤애, "컴퓨터기종과 VDT작업종류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3 (43): 31-2287, 2002
2 서영우,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눈 피로의 객관적 평가 방법" 대한안과학회 51 (51): 1327-1332, 2010
3 김준성,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시간이 눈깜박임 횟수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8 (48): 1466-1472, 2007
4 박형준, "중학생의 컴퓨터 이용시간과 건성안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 43 (43): 4-454, 2002
5 김웅재, "설문조사에 의한 국내 건성안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현황" 대한안과학회 48 (48): 1614-1622, 2007
6 김동일, "미디어 이용 대체 · 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71-88, 2012
7 이복임,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학교보건학회 26 (26): 45-53, 2013
8 정소향, "건성안 증후군의 델피 패널에 따른 분류" 대한안과학회 51 (51): 1179-1183, 2010
9 이병준,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 (13): 15-20, 2008
10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statistics"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1 조윤애, "컴퓨터기종과 VDT작업종류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3 (43): 31-2287, 2002
2 서영우,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눈 피로의 객관적 평가 방법" 대한안과학회 51 (51): 1327-1332, 2010
3 김준성,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시간이 눈깜박임 횟수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 48 (48): 1466-1472, 2007
4 박형준, "중학생의 컴퓨터 이용시간과 건성안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 43 (43): 4-454, 2002
5 김웅재, "설문조사에 의한 국내 건성안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현황" 대한안과학회 48 (48): 1614-1622, 2007
6 김동일, "미디어 이용 대체 · 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71-88, 2012
7 이복임,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학교보건학회 26 (26): 45-53, 2013
8 정소향, "건성안 증후군의 델피 패널에 따른 분류" 대한안과학회 51 (51): 1179-1183, 2010
9 이병준,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 (13): 15-20, 2008
10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Wire/wireless tele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statistics"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11 우현경, "VDT 증후군의 눈 증상과 관련 요인" 한국안광학회 16 (16): 351-356, 2011
12 Lee JW, "The influence of uninterrupted VDT work on visual functions" Kyungwoon University 2012
13 Gwon GD, "The future opening by smartphone" 741 : 1-22, 2010
14 Cho YA, "The effect on the dryness of eye during VDT work" 37 (37): 13-17, 1996
15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5 (5): 75-92, 2007
16 Tsubota K, "Tear dynamics and dry eye" 17 (17): 565-596, 1998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Lawrence Erlbaum 567-, 1988
18 Yun JY, "Smart 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3 (3): 94-104, 2011
19 Lee SC, "Reviews : Dry eye syndrome" 22 (22): 107-111, 2006
20 Lee JH, "Ophthalmology" Iljogak 549-, 2011
21 Jeong YC, "Media utilization behavior of smart generation 20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2 Toda I,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patients with contact lens intolerance caused by dry eye" 80 (80): 604-609, 1996
23 Lee SH,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th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 Konkuk University 2011
24 Plugfelder SC, "Dry eye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Marcel Dekker, Inc 428-, 2004
25 Kanski J, "Clinical ophthalmology" Jeongdam 56-61, 2005
26 Nakamori K, "Blinking is controlled primarily by ocular surface conditions" 124 (124): 24-30, 1997
27 Kim TG, "Analysis of the changes of smart-phone game genre preference" Hongik Universit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