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가사지론의 수행체계와 호흡수행의 위상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01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성문지><독각지><보살지>에 나타나는 수행체계를 고찰하고, 호흡수행의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유가사지론은 요가수행의 실천 뿐 아니라 불교교리 전반을 포함하는 백과전서 형태를 띠고 있는데, 각 지(地)에서는 성문·독각·보살의 3승의 종성(種性)·근기·수행법 등을 자세히 설하고 있다. <성문지>에서는 초기불교 이래 전통적 수행법에 속하는 사념처, 오정심관 등이 수행대상으로 등장한다. <독각지>는 독각의 수행법을 사성제 관찰 및 37보리분법 등으로 설하고 있다. <보살지>에서는 대승경론의 보살의 교의를 정리해서 설하고 있으며, 37보리 분법 외에 바라밀 수행과 사심사관·사여실지관을 수행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유가사지론에서 호흡수행은 <성문지>에만 등장한다. <성문지>의 호흡수행은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 유사하지만 차제적 성격을 가지며, 견도 이후 수도의 수행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호흡수행이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는 다른 내용이 있다기보다는 아비달마 이후 차제(次第)수행으로 정립된 이후 <성문지>에 이와 유사하게 정립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성문지><독각지><보살지>에 나타나는 수행체계를 고찰하고, 호흡수행의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유가사지론은 요가수행의 실천 뿐 아니라 불교교...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성문지><독각지><보살지>에 나타나는 수행체계를 고찰하고, 호흡수행의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유가사지론은 요가수행의 실천 뿐 아니라 불교교리 전반을 포함하는 백과전서 형태를 띠고 있는데, 각 지(地)에서는 성문·독각·보살의 3승의 종성(種性)·근기·수행법 등을 자세히 설하고 있다. <성문지>에서는 초기불교 이래 전통적 수행법에 속하는 사념처, 오정심관 등이 수행대상으로 등장한다. <독각지>는 독각의 수행법을 사성제 관찰 및 37보리분법 등으로 설하고 있다. <보살지>에서는 대승경론의 보살의 교의를 정리해서 설하고 있으며, 37보리 분법 외에 바라밀 수행과 사심사관·사여실지관을 수행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유가사지론에서 호흡수행은 <성문지>에만 등장한다. <성문지>의 호흡수행은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 유사하지만 차제적 성격을 가지며, 견도 이후 수도의 수행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호흡수행이 초기불교의 호흡수행과는 다른 내용이 있다기보다는 아비달마 이후 차제(次第)수행으로 정립된 이후 <성문지>에 이와 유사하게 정립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practice system as shown in ravakabhumi, Pratyekabuddhabhumi, Bodhisattvabhumi chapters of Yogacarabhumi, and assesses a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Yogacarabhumi. The chapter of ‘ ravakabhumi’ describes traditional method since Early Buddhism, Cattaro-satipa hana(四念處) and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The chapter of ‘Pratyekabuddhabhumi’ explains observation of Four Noble Truth and 37 factors of enlightenment. The chapter of ‘Bodhisattvabhumi’ explains four kinds of investigation(四尋思觀), the four enlightenments(四如實智觀) as practicing methods.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Sravakabhumi.’ It is similar to a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but has a sequence order. What’s notable about the 16-step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is that bhavana marga(修道) is suggested after dar ana marga(見道). I examined the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Yogacarabhumi is a compilation, and that the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ravakabhumi. Mindful breathing was incorporated into ravakabhumi in consideration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sequence practice as it underwent Abhidharma.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s practice system as shown in ravakabhumi, Pratyekabuddhabhumi, Bodhisattvabhumi chapters of Yogacarabhumi, and assesses a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Yogacarabhumi. The chapter of ‘ ravakabhumi’ describes traditional metho...

      This research examines practice system as shown in ravakabhumi, Pratyekabuddhabhumi, Bodhisattvabhumi chapters of Yogacarabhumi, and assesses a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Yogacarabhumi. The chapter of ‘ ravakabhumi’ describes traditional method since Early Buddhism, Cattaro-satipa hana(四念處) and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The chapter of ‘Pratyekabuddhabhumi’ explains observation of Four Noble Truth and 37 factors of enlightenment. The chapter of ‘Bodhisattvabhumi’ explains four kinds of investigation(四尋思觀), the four enlightenments(四如實智觀) as practicing methods.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Sravakabhumi.’ It is similar to a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but has a sequence order. What’s notable about the 16-step Mindful breathing of Early Buddhism is that bhavana marga(修道) is suggested after dar ana marga(見道). I examined the status of Mindful breath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Yogacarabhumi is a compilation, and that the Mindful breathing only appears in the chapter of ravakabhumi. Mindful breathing was incorporated into ravakabhumi in consideration that it was established as a sequence practice as it underwent Abhidharm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