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호흡명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01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의 호흡명상 연구동향을 분석 고찰하여 향후 이 분야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회 전자도서관 및 학술논문 관련 사이트에서 검색키워드로 ‘호흡’, ‘호흡명상’을 사용하여 연구자료 범위를 선정하였다. 호흡명상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198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104편의 연구논문들을 선정하였다. 그 논문들을 대상으로 발표연도별, 연구내용별로 살펴보고 그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83년부터 2002년 이전까지 약 10년 동안 총 6편의 논문이 학술지에만 발표되었고, 2003년, 학위논문 2편이 처음 발표되었다. 그 후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4년부터 2018년 5월까지 평균 4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는 것으로 보아 호흡명상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별 연구현황을 보면 총 79편 중 22편으로 심리/상담분야 학술지에서 가장 많았고, 발행사항으로 명상심리상담학회에서 호흡명상 관련 논문들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연구내용을 보면, 불교관련 호흡명상과 불교분야 외의 호흡명상으로 나누어졌고, 연구방법에 있어서 효과성 관련연구가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효과성 관련연구는 호흡 단일주제 연구가 54%, 호흡과 다른 프로그램을 병행한 연구가 46%의 비율을 보였다. 앞으로의 과제로 문헌연구의 활성화, 호흡명상 용어 정리, 호흡명상 범위, 호흡과 관련한 의학적 효과성 검증에 대해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의 호흡명상 연구동향을 분석 고찰하여 향후 이 분야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회 전자도서관 및 학술논문 관련 사이트에서 검...

      본 연구는 국내의 호흡명상 연구동향을 분석 고찰하여 향후 이 분야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회 전자도서관 및 학술논문 관련 사이트에서 검색키워드로 ‘호흡’, ‘호흡명상’을 사용하여 연구자료 범위를 선정하였다. 호흡명상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198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104편의 연구논문들을 선정하였다. 그 논문들을 대상으로 발표연도별, 연구내용별로 살펴보고 그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83년부터 2002년 이전까지 약 10년 동안 총 6편의 논문이 학술지에만 발표되었고, 2003년, 학위논문 2편이 처음 발표되었다. 그 후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4년부터 2018년 5월까지 평균 4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는 것으로 보아 호흡명상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별 연구현황을 보면 총 79편 중 22편으로 심리/상담분야 학술지에서 가장 많았고, 발행사항으로 명상심리상담학회에서 호흡명상 관련 논문들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연구내용을 보면, 불교관련 호흡명상과 불교분야 외의 호흡명상으로 나누어졌고, 연구방법에 있어서 효과성 관련연구가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효과성 관련연구는 호흡 단일주제 연구가 54%, 호흡과 다른 프로그램을 병행한 연구가 46%의 비율을 보였다. 앞으로의 과제로 문헌연구의 활성화, 호흡명상 용어 정리, 호흡명상 범위, 호흡과 관련한 의학적 효과성 검증에 대해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breathing meditation study after analysi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he scope of research using 'breathing meditation' as search keywords from relevant sites of academic papers. And it selected 104 research papers published at domestic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1983 when breathing meditation-related paper had been first published to May 2018. And the pap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the year and the research.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otally six papers were presented only at journals during some 10 years from 1983. The first presentation of two theses in 2003. Given the fact more than four papers on average had been presented annually from 2004 through May 2018 mainly through journals. According to the research status of each journal, those dealing with the field of psychology/counselling were most with 22 out of 79 in total and in the aspect of publication at MPCA dealt with breathing meditation-related papers most. Looking at the research content, largely divided into Buddhistrelated breathing meditation and non-buddhist one. And in terms of methodologies, research related with efficacy accounted for 73% of all. In the aspect of efficacy-related research, the single subject of breathing took up 54%, while research done together with other programs was 46%. As for the future issues, the study proposed active literature review, clarification of breathing meditation terms and its scope, and verification of medical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breathing meditation study after analysi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he scope of research using 'breathing meditation' as search keywords from relev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breathing meditation study after analysi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 For this, the study selected the scope of research using 'breathing meditation' as search keywords from relevant sites of academic papers. And it selected 104 research papers published at domestic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1983 when breathing meditation-related paper had been first published to May 2018. And the pap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the year and the research.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otally six papers were presented only at journals during some 10 years from 1983. The first presentation of two theses in 2003. Given the fact more than four papers on average had been presented annually from 2004 through May 2018 mainly through journals. According to the research status of each journal, those dealing with the field of psychology/counselling were most with 22 out of 79 in total and in the aspect of publication at MPCA dealt with breathing meditation-related papers most. Looking at the research content, largely divided into Buddhistrelated breathing meditation and non-buddhist one. And in terms of methodologies, research related with efficacy accounted for 73% of all. In the aspect of efficacy-related research, the single subject of breathing took up 54%, while research done together with other programs was 46%. As for the future issues, the study proposed active literature review, clarification of breathing meditation terms and its scope, and verification of medical effica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