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과 장르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75480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국악학과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378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용식
        참고문헌 포함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야금병창은 판소리나 단가 또는 민요 등을 창자 자신의 가야금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음악장르이다. 근대 가야금병창은 일제강점기의 명인이었던 오태석(1895-1953)에 의해 확립되었다. ...

      가야금병창은 판소리나 단가 또는 민요 등을 창자 자신의 가야금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음악장르이다. 근대 가야금병창은 일제강점기의 명인이었던 오태석(1895-1953)에 의해 확립되었다. 현재 전승되는 가야금병창이 대부분 오태석의 제자에 의해 발전된 것이기에 오태석을 근대 가야금병창의 시조로 여기는 것이다. 오태석은 가야금과 판소리, 창극에 두루 능한 명인이었기에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가야금병창을 발전시키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본고는 현전하는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모든 판소리 대목 29곡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초기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 오태석의 스승이었던 송만갑 판소리와의 비교를 통하여 판소리로부터 발전한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오태석 가야금병창에는 계면조, 우조, 평조, 경드름, 설렁제 등 다양한 악조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대부분의 악곡이 계면조로 짜여졌다. 이로 미루어 우조 악곡 위주인 현대 가야금병창과는 달리 초기 가야금병창의 레퍼토리는 주로 계면조 곡이었음을 알 수 있다. 송만갑 판소리와 공통되는 7곡 중에서 <십장가>, <남원 오입쟁이>, <옥중가>, <농부가> 등 4곡에서는 변조가 사용되었다. 변조는 대부분 계면조의 구성에서 일시적으로 우조로 변조되는 양상을 보이며, 변청이 활용된 악곡은 찾아볼 수 없었다.
      붙임새에 따른 가야금 반주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가야금은 대체로 노래 선율을 따라 반주하는 수성가락의 기능과 더불어 장단을 맺어주고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종지할 때는 본청으로 종지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였다. 대마디 대장단이 사용된 붙임새에서는 노래 선율을 따라 매 박의 주박을 연주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밀어붙임이 사용된 붙임새에서는 장단의 첫 박을 강조하고 뻗음이 사용된 붙임새에서는 노래 선율을 강조하기 위하여 휴지하는 예가 자주 출현하였다. 또한 완자걸이가 사용된 붙임새에서는 노래의 리듬과 같은 2소박 리듬으로 노래 선율을 강조하는 반주형태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은 창과 가야금의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오태석 가야금병창은 서사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판소리에 비하여 음악적 서정성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사설의 운용이 간결해졌으며 노래 선율의 장식이 많아졌다. 노래 선율의 경우 음역이 넓고 높았으며, 시김새는 화려한 반면 붙임새는 오히려 단순해졌다. 또한 가야금이라는 선율악기로 반주하면서 노래가 악기의 조현에 구속되기 때문에 북으로 반주하는 판소리에 비해 변조와 변청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점들은 판소리와 다른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오태석의 가야금은 판소리에서의 북과 같은 반주기능을 하는 면이 두드러져 사설의 내드름에서 휴지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야금은 북과는 달리 사설을 이어주는 간주와 후주의 기능이 더해진다. 이로 인해 노래 선율을 반복하여 사설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단락 또는 곡의 종지에서 노래 선율이 본청이 아닌 음으로 끝날 때 가야금이 본청으로 안정적인 종지를 강조하였다. 오태석은 가야금으로 고수의 기능과 창자의 역할을 대체하였다. 특히, 가야금으로 창자의 노래를 대신하는 방법은 사설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함축적이면서도 깊은 이면을 내포한다. 이러한 점이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높은 예술성을 돋보이게 한다. 이와 같이 가야금이 노래의 반주에 그치지 않고 그 자체로써 노래를 대신하는 등 가야금의 기능을 확대하여 판소리와는 다른 음악적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또 다른 장르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4
      • 3. 연구 범위 및 방법 9
      • II. 오태석의 전승계보와 음악활동 16
      • I. 서 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4
      • 3. 연구 범위 및 방법 9
      • II. 오태석의 전승계보와 음악활동 16
      • 1. 학습배경 및 전승계보 16
      • 2. 오태석의 음악활동 19
      • III.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 29
      • 1. 춘향가 중 <십장가> 29
      • 2. 춘향가 중 <남원 오입쟁이> 37
      • 3. 춘향가 중 <옥중가> 43
      • 4. 춘향가 중 <농부가> 49
      • 5. 심청가 중 <심봉사 탄식> 55
      • 6. 수궁가 중 <고고천변> 61
      • 7. 홍보가 중 <박타령> 66
      • IV.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특성 74
      • 1. 송만갑 판소리와의 비교 74
      • 2. 가야금 반주의 특징 113
      • V. 결 론 127
      • 참고문헌 132
      • Abstract 137
      • 부록 140
      • 부록악보 1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