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활동기준 원가관리기법의 도입이 성과평가유형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Corporat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29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의 제조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원가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조간접비 배부의 부적합으로 인한 제품원가정보의 왜곡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원가정보의 왜곡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조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동원가관리(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을 실무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의 전통적인 성과평가 제도의 문제점이 제시되면서 고객만족도 등 비재무적 지표의 비중을 확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 내에서 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재무적 혹은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 중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영성과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ABC/ABM도입과 성과평가유형 그리고 기업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는 ABC/ABM도입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성과평가 유형과 기업성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부분적인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그 연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ABC/ABM의 도입과 성과평가 유형 그리고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BC/ABM도입이 기업의 성과평가 유형에 미치는 영향, 둘째, ABC/ABM의 도입여부에 따라 기업성과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셋째, 기업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가 중시될수록 기업성과가 향상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ABC/ABM도입 후 활용정도가 성과평가 유형을 통해 기업성과에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BC/ABM을 도입한 기업과 미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들은 미도입 기업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약간 더 중시하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이 미도입 기업보다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기업이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중시할수록 기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재무적 성과평가 중심의 성과평가유형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를 중시하는 유형으로 전환된다면 조직에서 장기적인 목표의 지향과 미래성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가 향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넷째, ABC/ABM도입 후 활용도는 비재무적 지표의 중요도를 통하여 기업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ABC/ABM의 도입에 따라 기업성과가 차이가 있으며, 성과평가 유형을 비재무적 지표 중심으로 유지할 때 기업성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기업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한 기업들은 조속히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ABC/ABM과 같은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은 관리기법의 도입 시에 성과평가유형도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기업의 제조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원가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조간접비 배부의 부적합으로 인한 제품원가정보의 왜곡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원가정보의 왜곡현상...

      기업의 제조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원가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조간접비 배부의 부적합으로 인한 제품원가정보의 왜곡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원가정보의 왜곡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조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동원가관리(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을 실무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의 전통적인 성과평가 제도의 문제점이 제시되면서 고객만족도 등 비재무적 지표의 비중을 확대한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 내에서 ABC/ABM 등 전략적 원가관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재무적 혹은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 중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영성과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ABC/ABM도입과 성과평가유형 그리고 기업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는 ABC/ABM도입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성과평가 유형과 기업성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부분적인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그 연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ABC/ABM의 도입과 성과평가 유형 그리고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BC/ABM도입이 기업의 성과평가 유형에 미치는 영향, 둘째, ABC/ABM의 도입여부에 따라 기업성과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셋째, 기업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가 중시될수록 기업성과가 향상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ABC/ABM도입 후 활용정도가 성과평가 유형을 통해 기업성과에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BC/ABM을 도입한 기업과 미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들은 미도입 기업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약간 더 중시하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BC/ABM을 도입한 기업이 미도입 기업보다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기업이 비재무적 성과평가 지표를 중시할수록 기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재무적 성과평가 중심의 성과평가유형에서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를 중시하는 유형으로 전환된다면 조직에서 장기적인 목표의 지향과 미래성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가 향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넷째, ABC/ABM도입 후 활용도는 비재무적 지표의 중요도를 통하여 기업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ABC/ABM의 도입에 따라 기업성과가 차이가 있으며, 성과평가 유형을 비재무적 지표 중심으로 유지할 때 기업성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기업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한 기업들은 조속히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ABC/ABM과 같은 혁신적 관리기법을 도입할 계획이 있는 기업들은 관리기법의 도입 시에 성과평가유형도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changes in corporate operating environment, traditional cost management systems indirect costs allocation methods have resulted distorted unit cost of products, which h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distor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use Activity Based Costing/Activity Based Management (ABC/ABM) and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techniques.
      Problems with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measures increased importan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e.g. customer satisfaction).
      Studies show that corporate performance can be impacted by whether a company uses ABC/ABM or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methods and by whether the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is based on financial or non-financial measur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implementation of ABC/ABM,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Previously,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BC/ABM implem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corporate performance. Results of those studies have varied, and very few studies hav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BC/ABM implementatio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one,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type of measures used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wo,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three, impact of evaluation system with non-financial focu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four, the combined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and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study was conducted via questionnaire to companies that were or were not using ABC/AB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test hypothese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mpanies that use ABC/ABM emphasize slightly more, but statistically inconclusive, non-financial measures than companies that do not use ABC/ABM.
      Second, companies that use ABC/ABM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do no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findings from other existing studies.
      Third, companies that emphasize more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use more financial measures. Companies that move from using traditional financial measures to using non-financial measures can be expected to have set long-term goals and improved ability to predict future result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for the company.
      Fourth, using ABC/ABM along with using non-financial measures do result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study, use of ABC/ABM makes an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using non-financial measur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Therefore, for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companies currently changing into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should modify their system to include more non-financial measures. In addition, companies that plan to implement ABC/ABM or other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should focus on non-financial measures when implementing the method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번역하기

      With changes in corporate operating environment, traditional cost management systems indirect costs allocation methods have resulted distorted unit cost of products, which h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distor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us...

      With changes in corporate operating environment, traditional cost management systems indirect costs allocation methods have resulted distorted unit cost of products, which h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distor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use Activity Based Costing/Activity Based Management (ABC/ABM) and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techniques.
      Problems with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measures increased importan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as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e.g. customer satisfaction).
      Studies show that corporate performance can be impacted by whether a company uses ABC/ABM or other strategic cost management methods and by whether the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is based on financial or non-financial measur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implementation of ABC/ABM,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Previously, studies had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BC/ABM implem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corporate performance. Results of those studies have varied, and very few studies hav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BC/ABM implementation,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one,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type of measures used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wo, the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three, impact of evaluation system with non-financial focu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four, the combined impact of ABC/ABM implementation and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on corporate performance. The study was conducted via questionnaire to companies that were or were not using ABC/AB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test hypothese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mpanies that use ABC/ABM emphasize slightly more, but statistically inconclusive, non-financial measures than companies that do not use ABC/ABM.
      Second, companies that use ABC/ABM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do no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findings from other existing studies.
      Third, companies that emphasize more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use more financial measures. Companies that move from using traditional financial measures to using non-financial measures can be expected to have set long-term goals and improved ability to predict future result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for the company.
      Fourth, using ABC/ABM along with using non-financial measures do result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According to this study, use of ABC/ABM makes an impact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using non-financial measur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in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Therefore, for improved corporate performance, companies currently changing into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should modify their system to include more non-financial measures. In addition, companies that plan to implement ABC/ABM or other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should focus on non-financial measures when implementing the method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범위 및 논문의 구성 = 9
      • 제 2 장 이론적 고찰 = 11
      • 제 1 절 전략적 원가관리와 활동기준원가관리(ABC/ABM) = 11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범위 및 논문의 구성 = 9
      • 제 2 장 이론적 고찰 = 11
      • 제 1 절 전략적 원가관리와 활동기준원가관리(ABC/ABM) = 11
      • 1. 전략적 원가관리와 활동기준원가관리의 정의 = 11
      • 2. ABC/ABM의 발전단계와 개념적 모형 = 14
      • 제 2 절 성과평가시스템 = 21
      • 1. 전통적인 성과평가시스템의 한계 = 21
      • 2. 전략적 성과평가시스템과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 = 23
      • 제 3 절 ABC/ABM, 성과평가유형과 기업성과에 대한 연구동향 = 28
      • 1. 활동기준원가관리(ABC/ABM)의 연구동향 = 28
      • 2. 성과평가에 대한 연구 = 35
      • 3. 기존 연구의 종합 및 한계점 = 48
      • 제 3 장 연구 설계 = 51
      • 제 1 절 연구 모형의 설계 = 51
      • 제 2 절 연구 가설의 설정 = 54
      •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59
      • 1. ABC/ABM 도입의 정의 및 측정 = 59
      • 2. 성과평가유형의 정의 및 측정 = 61
      • 3. 기업성과의 정의 및 측정 = 65
      • 제 4 절 연구방법 = 70
      • 1. 자료수집방법 = 70
      • 2. 자료분석방법 = 72
      • 제 4 장 자료분석과 가설검정 = 73
      • 제 1 절 기술통계량 = 73
      • 1. 자료의 특성 = 73
      • 2. ABC/ABM 도입 현황 = 76
      • 제 2 절 측정도구의 신뢰성 타당성분석 = 84
      • 1. 정화절차 = 85
      • 2. 단일차원성 확보 = 88
      • 3. 신뢰성 검증 = 89
      • 4. 타당성 검증 = 90
      • 5.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의 결과 = 94
      • 6. 상관관계 분석 = 94
      • 제 3 절 가설 검증 = 95
      • 1. ABC/ABM의 도입과 성과평가유형간의 관계 = 95
      • 2. ABC/ABM도입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 98
      • 3. 성과평가유형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 103
      • 4. 성과평가유형을 통한 ABC/ABM도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107
      • 제 5 장 결론 = 112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112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 117
      • 참고문헌 = 119
      • 1. 국내문헌 = 119
      • 2. 국외문헌 = 122
      • 부록
      • 1. ABC를 도입한 기업에 대한 사례연구 = 134
      • 2. 설문지 = 1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