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강대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3 조난심,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해영,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1 (11): 97-137, 2010
5 차경호, "초임 역사교사의 수업에 나타난 전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배성호, "초등학생의 매체 읽기와 현대사 이해 -세 매체를 통한 '5 · 18 민주화 운동'과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5 (5): 187-225, 2007
7 민윤, "초등교사의 수업기술과 역사 수업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201-223, 2005
8 역사교육연구소, "초․중․고등학생들의 역사교육 이해 조사 결과" 4 : 24-57, 2011
9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수론적 관점들"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20): 115-134, 2006
10 이상수,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27-47, 2008
1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강대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3 조난심,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해영,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1 (11): 97-137, 2010
5 차경호, "초임 역사교사의 수업에 나타난 전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배성호, "초등학생의 매체 읽기와 현대사 이해 -세 매체를 통한 '5 · 18 민주화 운동'과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5 (5): 187-225, 2007
7 민윤, "초등교사의 수업기술과 역사 수업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201-223, 2005
8 역사교육연구소, "초․중․고등학생들의 역사교육 이해 조사 결과" 4 : 24-57, 2011
9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수론적 관점들"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20): 115-134, 2006
10 이상수,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27-47, 2008
11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 (42): 285-315, 2004
12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3 전국역사교사모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2
14 오만기, "역사신문 제작에 나타난 초등학교 학생의 역사 이해 과정"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9
1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16 허신혜, "역사수업에 나타난 역사교사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113-151, 2005
17 김한종,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18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방법" 책과함께 2007
19 이영효,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함께 2005
20 김민정, "역사교사의 가르칠 궁리에 대한 반성과 공유: 역사수업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7 (117): 1-27, 2011
21 양호환, "역사교과 교육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53 : 1-25, 1999
22 류현종, "역사 수업에 나타난 네 가지 비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5-40, 2006
23 조철수, "역사 수업에 나타난 교수 내용 지식의 유형과 원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24 천은수, "어느역사교사의‘가르치기 위한지식’연구 -내용교수지식(PCK)과교수학적 전환(DT), 그리고실천지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0 (10): 85-121, 2009
25 민윤, "사회과 역사수업에 나타난 내용의 변환과 교수내용지식" 33 : 173-191, 2000
26 김주택, "사진자료를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 이해" 10 (10): 191-218, 2003
27 류현종, "박물관 전시 구성과 초등학생들의 문화 재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삼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7 (7): 145-185, 2008
28 이영효, "교실 역사지식의 내용과 형식, In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96-121, 1997
29 이해영, "고등학생의눈으로 본 역사수업"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107-151, 2011
30 박현숙, "고등학교역사교사의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에대한탐색" 한국역사교육학회 10 (10): 123-155, 2009
31 허은, "경력에 따른 역사교사의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이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2 김문석, "감정이입을 활용한 역사수업과 학생의 역사이해" 9 : 213-231, 2002
33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34 Steven Zemelman, "Best practice" Heineman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