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 눈으로 바라본 역사수업 = The History Class at School Focused 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students' responses about whether they are satisfied history class in school. If they are satisfied with the history class, they write in a questionnaire the reasons that makes them so.
      For this, I make the frame of reference on the basis of good class which can analy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in elementary school reveals as follows. Students are very interested in teachers - teacher's method of teaching, content knowledge, teacher's explanation technique and so forth. And they think that the teacher and student's relationship is important. They also show a special interest in the history curriculum. But they don't be indifferent to constructivism which the education theorist prefer to pres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se students' responses about whether they are satisfied history class in school. If they are satisfied with the history class, they write in a questionnaire the reasons that makes them so. For this, I make the frame of referenc...

      This study aims to analyse students' responses about whether they are satisfied history class in school. If they are satisfied with the history class, they write in a questionnaire the reasons that makes them so.
      For this, I make the frame of reference on the basis of good class which can analy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in elementary school reveals as follows. Students are very interested in teachers - teacher's method of teaching, content knowledge, teacher's explanation technique and so forth. And they think that the teacher and student's relationship is important. They also show a special interest in the history curriculum. But they don't be indifferent to constructivism which the education theorist prefer to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논의되고 있는 ‘좋은’ 사회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수업을 말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 수업은 이와 많이 달랐다. 아직까지 역사수업은 교사에게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할 때 교사가 역사내용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는가나 교사와 학생 간 관계가 어떠한가에 대해 관심이 높았다. 그리고 적은 역사수업 시수와 그에 비해 방대한 내용분량, 그리고 어려운 단어, 개념 등 난이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한편, 다양한 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아직까지 역사수업은 학생 스스로 지식을 찾아가기보다 암기위주, 필기위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런 영향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은 역사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
      번역하기

      최근 논의되고 있는 ‘좋은’ 사회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수업을 말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 수업...

      최근 논의되고 있는 ‘좋은’ 사회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수업을 말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 수업은 이와 많이 달랐다. 아직까지 역사수업은 교사에게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할 때 교사가 역사내용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는가나 교사와 학생 간 관계가 어떠한가에 대해 관심이 높았다. 그리고 적은 역사수업 시수와 그에 비해 방대한 내용분량, 그리고 어려운 단어, 개념 등 난이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한편, 다양한 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아직까지 역사수업은 학생 스스로 지식을 찾아가기보다 암기위주, 필기위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런 영향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은 역사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강대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3 조난심,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해영,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1 (11): 97-137, 2010

      5 차경호, "초임 역사교사의 수업에 나타난 전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배성호, "초등학생의 매체 읽기와 현대사 이해 -세 매체를 통한 '5 · 18 민주화 운동'과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5 (5): 187-225, 2007

      7 민윤, "초등교사의 수업기술과 역사 수업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201-223, 2005

      8 역사교육연구소, "초․중․고등학생들의 역사교육 이해 조사 결과" 4 : 24-57, 2011

      9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수론적 관점들"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20): 115-134, 2006

      10 이상수,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27-47, 2008

      1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2 강대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사회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3 조난심,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4 이해영,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1 (11): 97-137, 2010

      5 차경호, "초임 역사교사의 수업에 나타난 전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배성호, "초등학생의 매체 읽기와 현대사 이해 -세 매체를 통한 '5 · 18 민주화 운동'과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5 (5): 187-225, 2007

      7 민윤, "초등교사의 수업기술과 역사 수업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201-223, 2005

      8 역사교육연구소, "초․중․고등학생들의 역사교육 이해 조사 결과" 4 : 24-57, 2011

      9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수론적 관점들"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20): 115-134, 2006

      10 이상수,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27-47, 2008

      11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 (42): 285-315, 2004

      12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3 전국역사교사모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2

      14 오만기, "역사신문 제작에 나타난 초등학교 학생의 역사 이해 과정"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9

      15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16 허신혜, "역사수업에 나타난 역사교사의 전문성" 한국역사교육학회 (1) : 113-151, 2005

      17 김한종,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18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방법" 책과함께 2007

      19 이영효,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함께 2005

      20 김민정, "역사교사의 가르칠 궁리에 대한 반성과 공유: 역사수업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17 (117): 1-27, 2011

      21 양호환, "역사교과 교육이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53 : 1-25, 1999

      22 류현종, "역사 수업에 나타난 네 가지 비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5-40, 2006

      23 조철수, "역사 수업에 나타난 교수 내용 지식의 유형과 원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24 천은수, "어느역사교사의‘가르치기 위한지식’연구 -내용교수지식(PCK)과교수학적 전환(DT), 그리고실천지식-" 한국역사교육학회 10 (10): 85-121, 2009

      25 민윤, "사회과 역사수업에 나타난 내용의 변환과 교수내용지식" 33 : 173-191, 2000

      26 김주택, "사진자료를 통한 초등학생의 역사 이해" 10 (10): 191-218, 2003

      27 류현종, "박물관 전시 구성과 초등학생들의 문화 재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삼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7 (7): 145-185, 2008

      28 이영효, "교실 역사지식의 내용과 형식, In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96-121, 1997

      29 이해영, "고등학생의눈으로 본 역사수업"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107-151, 2011

      30 박현숙, "고등학교역사교사의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에대한탐색" 한국역사교육학회 10 (10): 123-155, 2009

      31 허은, "경력에 따른 역사교사의 내용지식과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이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2 김문석, "감정이입을 활용한 역사수업과 학생의 역사이해" 9 : 213-231, 2002

      33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34 Steven Zemelman, "Best practice" Heinemann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