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업교육과 관련한 근본적 개념의 변화에서부터 시작해서 실제적인 교육과정의 면화를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제7차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충족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161987
제주 :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업교육전공 , 1998. 8
1998
한국어
376.64 판사항(4)
제주특별자치도
iv, 67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62-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업교육과 관련한 근본적 개념의 변화에서부터 시작해서 실제적인 교육과정의 면화를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제7차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충족시...
본 연구는 상업교육과 관련한 근본적 개념의 변화에서부터 시작해서 실제적인 교육과정의 면화를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제7차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려해 볼 수 있는 효율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산업 구조의 변화, 국민 소득의 증가와 국민 의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상업계 고등학교가 침체 내지 쇠퇴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외부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결과이므로, 상업계 고등학교가 스스로 환경을 바꾸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상업계 고등학교가 이러한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다.
다가오는 21세기에는 개방화, 세계화, 다원화 사회로 특징 지워지는 고도의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현재 우리 나라 상업교육의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 시행될 제7차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siderable efficiency project to fulfill the purport of the 7th curriculum revision of business high school by analyzing from the fundamental concept change to the practical curriculum change related to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siderable efficiency project to fulfill the purport of the 7th curriculum revision of business high school by analyzing from the fundamental concept change to the practical curriculum change related to business education in a macroscopic view point.
Business high school is faced with stagnation or decline age due to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 the increase of the national income and national consciousness change etc. As these circumstances are resul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change it is difficult for business high school by themselves to change the environment. How to solve this problem is that business high school should be adapted to these circumstances.
The coming 21th century will he the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characterized as the open-ended, globalized and pluralized society.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I suggested the efficiency project of the the 7th curriculum of business high school that will be enforced for the fu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present difficulty of business education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