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색채의 사용과 화면구도에 나타난 심리적, 정서적 이미지 - 애니메이션 <키리쿠 키리쿠>을 중심으로 - =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ages Examined through Color and Screen Composition - Focusing on the animation <Kiriku Kirik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1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s a formative and orderly arrangement of location, viewpoint, unity and change, omission and emphasis of the subject, and these visual elements are very important in delivering a psychological message to the a...

      Background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s a formative and orderly arrangement of location, viewpoint, unity and change, omission and emphasis of the subject, and these visual elements are very important in delivering a psychological message to the audience. The use of color is also an element that affects the emotional aspect and mood, so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refore, I tried to analyze the visual aspects of actual animations.
      Methods <Kiriku Kiriku 2006> and French director Michel Oslo's <Kiriku and the Witch 1998> were analyzed as screen elements. The work is produced in 2D animation, so the director's intention is accurately calculated. For the color of the screen, the emotional image that appears in the color arrangement was analyzed, and for the composition, the movement of the camera and the shot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were analyzed.
      Result As for the color, a lot of intense and primary colors were used by setting Africa as the spatial background. The contrast between the heat and cold of Karaba, who was set as a witch, could also be found on the way to the witch's lair. The comparison of text or background color was expressed through the difference in saturation and brightness. The composition used camera walking and camera shots to create a sense of space, depth and speed.
      Conclusion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ages in the visual aspect. The use of color can effectively express emotional images of people and background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created an effective atmosphere through camera work such as panning and tilting, distant view and foreground, and insert sh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화면의 구성은 대상의 위치, 원근감, 통일과 변화, 생략과 강조 등을 조형적으로 질서 있게 배치하는 것으로, 영상물에서 이 시각적인 요소들은 관객들의 정서적인 메시지를 전달...

      연구배경 화면의 구성은 대상의 위치, 원근감, 통일과 변화, 생략과 강조 등을 조형적으로 질서 있게 배치하는 것으로, 영상물에서 이 시각적인 요소들은 관객들의 정서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색채의 사용도 정서적인 면과 분위기를 좌우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시각적인 측면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프랑스 미셀 오슬로 감독의 <키리쿠 키리쿠 2006>와 <키리쿠와 마녀 1998>을 대상으로, 화면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했다. 작품은 2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감독의 의도가 정확하게 계산된 형식이다. 화면의 색상은 배색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구도는 카메라의 움직임과 캐릭터와 배경 사이의 쇼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색채는 아프리카를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한 만큼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다. 마녀로 설정한 카라바의 한난대조는 마녀의 은신처로 가는 길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고, 캐릭터나 배경색의 비교는 채도와 명도의 차이를 통해 표현되었다. 구도는 카메라의 워킹과 카메라 쇼트의 사용으로 공간감과 깊이감, 속도감을 연출해 내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측면에서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이미지를 분석하려고 했다. 색채의 사용은 캐릭터의 이미지와 배경의 정서적인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었다. 화면의 구도는 패닝과 틸트 등과 같은 카메라 워킹과 원경과 근경, 그리고 인서트 쇼트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카메라 연출로 효과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내고 있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