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논문 : 『심층 채식주의』에 나타난 조화와 공존의 태도 = Attitude of harmony and symbiosis in 『Deep Vegetari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8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Michale Allen Fox는 『Deep vegetarianism』에서 철학과 윤리학, 정치학,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 등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채식주의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그는 ‘환경 안에 있는 인간’이란 관점을 거부하고, 전체주의적이고 탈인간중심적인 접근에 동조해 ‘관계적이고, 전체 장(total-field)’적인 관점을 취하며, 개인과 사회문화 차원에서의 의식의 변화를 통하여 문화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 핵심 목표인 ‘deep ecology’에서 영감을 얻었다. 폭 스는 채식주의에 대하여 건강 혹은 생활방식을 고려해서 채택하는 임의적 혹은 괴이한 편식습관이나 신앙, 혹은 의식이라고 보는 관점(shallow vegetarianism)에서 벗어나, 우리의 삶이 양태들인 도덕, 사회, 정치 영역과 관련된 각양각색의 철학적 의제를 이끌어낸 다음, 이를 통해 채식주의가 새로운 생활방식을 만들어내고, 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심층채식주의’의 목표이며, 그 결과 채식은 이론과 실천적 측면에서 마땅히 취해야만 하는 태도임을 천명하였다. 폭스는 찬반 논란이 존재하는 가운데에도 채식주의는 자체의 세계관과 도덕적 갈구, 믿음과 실천의 정합 등을 통해 이미 우리 생활방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이를 통해 우리 자신과 우리가 속한 세계, 세계 안에서 우리의 지위 등에 대한 철학적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였다. 채식주의에 대한 반대 논증이 다양하지만, 채식주의자 입장에서 볼 때 육식주의자는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선택에 따라 고기를 먹는데, 선택은 항상 신념에서 비롯된다. 현재의 신념의 실천이 타자에게 고통을 가하고, 억압과 학대를 가하는 결과를 야기한다면 마땅히 의식의 변환을 일으켜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심층채식주의’는 채식을 단순한 음식 선택의 문제로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서서 근본적으로 의식의 변환을 촉구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아, 인간은 자연과 분리된 존재가 아닌 자연의 일부분임을 자각하고, 생태계 전체의 조화와 공생을 위해 동참할 것을 호소한다.
      번역하기

      Michale Allen Fox는 『Deep vegetarianism』에서 철학과 윤리학, 정치학,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 등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채식주의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그는 ‘환경 안에 있는 인간’이란 관점...

      Michale Allen Fox는 『Deep vegetarianism』에서 철학과 윤리학, 정치학,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 등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채식주의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그는 ‘환경 안에 있는 인간’이란 관점을 거부하고, 전체주의적이고 탈인간중심적인 접근에 동조해 ‘관계적이고, 전체 장(total-field)’적인 관점을 취하며, 개인과 사회문화 차원에서의 의식의 변화를 통하여 문화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 핵심 목표인 ‘deep ecology’에서 영감을 얻었다. 폭 스는 채식주의에 대하여 건강 혹은 생활방식을 고려해서 채택하는 임의적 혹은 괴이한 편식습관이나 신앙, 혹은 의식이라고 보는 관점(shallow vegetarianism)에서 벗어나, 우리의 삶이 양태들인 도덕, 사회, 정치 영역과 관련된 각양각색의 철학적 의제를 이끌어낸 다음, 이를 통해 채식주의가 새로운 생활방식을 만들어내고, 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심층채식주의’의 목표이며, 그 결과 채식은 이론과 실천적 측면에서 마땅히 취해야만 하는 태도임을 천명하였다. 폭스는 찬반 논란이 존재하는 가운데에도 채식주의는 자체의 세계관과 도덕적 갈구, 믿음과 실천의 정합 등을 통해 이미 우리 생활방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이를 통해 우리 자신과 우리가 속한 세계, 세계 안에서 우리의 지위 등에 대한 철학적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였다. 채식주의에 대한 반대 논증이 다양하지만, 채식주의자 입장에서 볼 때 육식주의자는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선택에 따라 고기를 먹는데, 선택은 항상 신념에서 비롯된다. 현재의 신념의 실천이 타자에게 고통을 가하고, 억압과 학대를 가하는 결과를 야기한다면 마땅히 의식의 변환을 일으켜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심층채식주의’는 채식을 단순한 음식 선택의 문제로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서서 근본적으로 의식의 변환을 촉구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아, 인간은 자연과 분리된 존재가 아닌 자연의 일부분임을 자각하고, 생태계 전체의 조화와 공생을 위해 동참할 것을 호소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chale Allen Fox vindicated vegetarianism in 『Deep Vegetarianis m』by educational research in many fields such as philosophy, ethics, politics, history, sociology, psychology and so on. He rejected the idea of ‘humans in the environment’ and rather took the stand of ‘interactive and total-field view,’ aligning himself with totalitarian approach away from human centered perspective. By doing so he was inspired by ‘deep ecology,’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which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culture by altering people’s mindset in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Fox got away from shallow vegetarianism, which views vegetarian as arbitrary and bizarre habit of eating only what they want regarding health and lifestyle, as religious belief, or as a kind of ceremony. He elicited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related to ethical, sociological, and political fields, which are aspects of our lives, then defined his standpoint of regarding the objective of ‘deep vegetarianism’ as acknowledging that vegetarianism can bring about new lifestyle and have impact on the change of our perspective. He argued that this is why vegetarian diet is the attitude we should seek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and practice. Fox, in the middle of controversy, stated that vegetarianism has already settled as one of our lifestyles through its own view on the world, ethical desire, and uniting belief and practice. By this vegetarianism revealsphilosophical perspective about ourselves, the world to which we belong, and our status in the world. Though there are various arguments against vegetarianism, carnist, in the perspective of vegetarian, eats meat under choice not under the necessity. That choice always stems from faith. If the practice of current faith brings pain to others and results in suppression or abuse, there should be alteration of consciousness. In this standpoint, ‘deep vegetarianism’ goes beyond viewing vegetarian diet as simply a matter of choosing what to eat and demands fundamental change in perspective. Moreover, it gives appeal to people to participate in order for harmony and symbiosis of the whole ecology to come, by viewing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in macroscopic view and understanding that humans are some parts of nature not separate from it.
      번역하기

      Michale Allen Fox vindicated vegetarianism in 『Deep Vegetarianis m』by educational research in many fields such as philosophy, ethics, politics, history, sociology, psychology and so on. He rejected the idea of ‘humans in the environment’ and r...

      Michale Allen Fox vindicated vegetarianism in 『Deep Vegetarianis m』by educational research in many fields such as philosophy, ethics, politics, history, sociology, psychology and so on. He rejected the idea of ‘humans in the environment’ and rather took the stand of ‘interactive and total-field view,’ aligning himself with totalitarian approach away from human centered perspective. By doing so he was inspired by ‘deep ecology,’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which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culture by altering people’s mindset in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Fox got away from shallow vegetarianism, which views vegetarian as arbitrary and bizarre habit of eating only what they want regarding health and lifestyle, as religious belief, or as a kind of ceremony. He elicited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related to ethical, sociological, and political fields, which are aspects of our lives, then defined his standpoint of regarding the objective of ‘deep vegetarianism’ as acknowledging that vegetarianism can bring about new lifestyle and have impact on the change of our perspective. He argued that this is why vegetarian diet is the attitude we should seek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and practice. Fox, in the middle of controversy, stated that vegetarianism has already settled as one of our lifestyles through its own view on the world, ethical desire, and uniting belief and practice. By this vegetarianism revealsphilosophical perspective about ourselves, the world to which we belong, and our status in the world. Though there are various arguments against vegetarianism, carnist, in the perspective of vegetarian, eats meat under choice not under the necessity. That choice always stems from faith. If the practice of current faith brings pain to others and results in suppression or abuse, there should be alteration of consciousness. In this standpoint, ‘deep vegetarianism’ goes beyond viewing vegetarian diet as simply a matter of choosing what to eat and demands fundamental change in perspective. Moreover, it gives appeal to people to participate in order for harmony and symbiosis of the whole ecology to come, by viewing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in macroscopic view and understanding that humans are some parts of nature not separate from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R. 데자르뎅, "환경윤리" 자작나무 1999

      2 맹주만, "톰 레간과 윤리적 채식주의" 서양근대철학회 4 (4): 43-65, 2009

      3 최훈, "채식주의와 환경주의: 오해와 화해" 철학문화연구소 (86) : 2010

      4 손금희, "채식선호자와 육식선호자의 식사의 질 및 비타민 K 섭취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39 (39): 529-538, 2006

      5 박상언, "종교와 동물 그리고 윤리적 성찰" 모시는사람들 2014

      6 Joy, Meranie,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모멘토 2001

      7 츠카모토 게이쇼, "아쇼까왕 비문" 불교시대사 2008

      8 고용석, "식탁의 영성" 모시는 사람들 2013

      9 피터 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10 허남결, "동물의 권리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현황 - 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46) : 171-198, 2005

      1 J. R. 데자르뎅, "환경윤리" 자작나무 1999

      2 맹주만, "톰 레간과 윤리적 채식주의" 서양근대철학회 4 (4): 43-65, 2009

      3 최훈, "채식주의와 환경주의: 오해와 화해" 철학문화연구소 (86) : 2010

      4 손금희, "채식선호자와 육식선호자의 식사의 질 및 비타민 K 섭취 비교 연구" 한국영양학회 39 (39): 529-538, 2006

      5 박상언, "종교와 동물 그리고 윤리적 성찰" 모시는사람들 2014

      6 Joy, Meranie,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모멘토 2001

      7 츠카모토 게이쇼, "아쇼까왕 비문" 불교시대사 2008

      8 고용석, "식탁의 영성" 모시는 사람들 2013

      9 피터 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10 허남결, "동물의 권리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현황 - 동물해방론과 동물권리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46) : 171-198, 2005

      11 피터 싱어, "동물과 인간이 공존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들" 시대의 창 2012

      12 Fox, Michale Allen, "深層素食主義" 關懷生命協會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7 1.17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