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어 유의어의 의미구분에 관한 고찰 : 동사유의어 10쌍을 중심으로 = Japanese Syonym's Study of Meaning Division : Based on 10 Different Synonym Ver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21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어 학습자가 어휘습득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cis Hypothesis)에 기초한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이다. 즉 일본어 모어화자는 무의식적으로 장면에 따라 적절하게 단어의 의미를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반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단순히 모국어에 일대일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선입견에 사로잡혀 주어진 상황에 맞추어 단어를 구분지어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일본어 학습 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용 중에서 모국어의 간섭으로 오용을 범하고 있는 동사에 관한 어휘, 특히 동사유의어를 기본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의미구분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 그 조사의 결과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의미구분에 관한 現狀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사는 세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3학년 26명, 4학년 34명, 제천 외국어학원 수강생 25명 등 총 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문항은 37문항으로 각 문항별로 오용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47.0%의 오용률을 보였다.
      각 동사유의어의 의미구분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오용률이 높은 순서로 배열하였다.
      1.「あずかる」「あずける」「ひきうける」-(55.6%)
      「あずかる」는 타의·자의에 의해 맡겨진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처리한다는 의미이며 「あずける」는 성가신 일을 타인에게 부탁하여 보관·보호·처리하는 것이며 「ひきうける」는 스스로 마지막까지 책임을 지고 임무를 완수하겠다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2.「かかえる」「だく」「いだく」-(53.2%)
      「かかえる」는 주로 부피가 큰 물건을 안을 때, 또 부담스럽거나 걱정이 된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だく」「いだく」는 애정을 갖고 사람이나 사물을 안을 때 사용된다.
      3.「ねがう」「のぞむ」-(51.8%)
      「ねがう」는 마음속으로 바라는 사항을 대상에게 의존하여 그 실현을 적극적으로 기대하는 것이고 「のぞむ」는 대상에 대하여 기대·희망을 갖을 뿐 그 실현을 적극적으로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4.「いう」「はなす」「しゃべる」「のべる」「かたる」-(51.8%)
      「いう」는 청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일방적으로 표출하는 행위이며 「はなす」의 경우 화자는 말하고자 하는 내용·사건을 중심으로 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しゃべる」는 상대에게 전달의 목적을 두지 않고 별생각 없이 말하는 즐거운 행위로 주로 마이너스적 의미로 사용된다. 「のべる」는 공적인 장면에서의 일방적인 전달이나, 반드시 사고 작용을 거친 후 결과를 표출할 때 사용되며, 「かたる」는 개인의 잘 정리된 생각·체험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사용된다. 또 「のべる」「かたる」는 「いう」「はなす」「しゃべる」와 비교해서 문장체라는 특징이 있다.
      5.「あつめる」「そろえる」「まとめる」-(50.9%)
      「あつめる」는 따로따로 존재하는 복수의 대상물을 한군데로 모으지만 그것이 하나로는 되지 않으며 「そろえる」는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그 대상물들이 모두 갖추어진 상태이며 「まとめる」는 따로따로 존재하는 복수의 대상물을 한군데로 모으거나 하나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6.「さわる」「ふれる」-(46.7%)
      「さわる」는 손이나 몸의 일부가 의식적으로 닿는 행동으로 정신·감정으로 인해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며 주체·객체 둘 중의 하나는 반듯이 사람이어야 한다. 「ふれる」는 순간적이고 무의식적인 접촉으로 「さわる」와 다르게 기체·전류·액체 등에도 쓰이며 사람이외의 물체가 주체·객체가 되어도 무방하다.
      7.「つかむ」「にぎる」-(40.8%)
      「つかむ」는 손가락으로 대상의 일부분을 잡아서 대상의 움직임을 저지시키거나 신체의 불암감을 덜고자 하는 행위이며 추구의 대상을 획득한다는 의미도 있다. 이에 반해 「にぎる」는 무언가 손 안에 넣어서 그 상태를 유지하고 힘을 주어 그것을 놓치지 않겠다는 행위로, 자신의 것으로 하고 방치하지 않겠다는 확보의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8.「あまる」「のこる」-(37.6%)
      「あまる」는 어떤 사항에 대한 필요량을 상회하여 남는 부분을 뜻하며, 이는 필요량 범위밖에 존재하는 것이며 「のこる」는 양적 규정이 가능한 경우 「のこる」의 부분은 전체양에 포함되는 일부분이며 시간적 경과를 전제로 할 경우 그 이전의 행위·상태의 연장으로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9.「えらぶ」「きめる」「さだめる」-(37.4%)
      「えらぶ」는 2개 이상의 대상물 중에서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택하는 것이고「きめる」는 「えらぶ」를 전제로 그 행위를 변화시키지 않고 고정한다는 의미이며「さだめる」는 「きめる」를 전제로 어떤 행위를 고정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행위로 주로 공적인 것을 정할 때 사용된다.
      10.「かわかす」「ほす」-(36.9%)
      「かわかす」는 젖어있는 것을 대상으로 일광·바람·열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수분까지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것이고 「ほす」는 젖어있거나 젖어있지 않은 대상을 일광·그늘·바람 등을 이용하여 내포된 수분을 감소시키려는 행위로 수분제거가 주된 목적은 아니다.
      이렇듯 오용은 외국어 학습 시 발생하는 당연하고 체계적인 현상으로 이것을 모국어와 목표언어의 중간단계에 놓여있는 중간언어로써 인식해야 하며, 상위학습단계로 나아갈수록 오용은 줄어들며 목표언어의 도달점에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오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는 기초단계부터 단순히 사전에 제시된 의미와 기능에 의존하지 말고 문장 혹은 문맥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파악하며 지속적인 반복연습을 통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일상생활 속에서 일본어를 사용함으로써 일본어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며, 이는 한국어가 아닌 일본어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주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일으키는 오류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해 주어야 하며, 각 어휘가 가지는 의미의 차이를 충분히 제시하여 그것이 왜 부자연스러운 표현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이러한 오용분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오용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미리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오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일본어 학습자가 어휘습득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cis Hypothesis)에 기초한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이다. 즉 일본어 모어화자는 무의식적으로 장면에 따라 적절하...

      일본어 학습자가 어휘습득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cis Hypothesis)에 기초한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이다. 즉 일본어 모어화자는 무의식적으로 장면에 따라 적절하게 단어의 의미를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반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단순히 모국어에 일대일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선입견에 사로잡혀 주어진 상황에 맞추어 단어를 구분지어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일본어 학습 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용 중에서 모국어의 간섭으로 오용을 범하고 있는 동사에 관한 어휘, 특히 동사유의어를 기본으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의미구분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 그 조사의 결과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의미구분에 관한 現狀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사는 세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3학년 26명, 4학년 34명, 제천 외국어학원 수강생 25명 등 총 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문항은 37문항으로 각 문항별로 오용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47.0%의 오용률을 보였다.
      각 동사유의어의 의미구분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오용률이 높은 순서로 배열하였다.
      1.「あずかる」「あずける」「ひきうける」-(55.6%)
      「あずかる」는 타의·자의에 의해 맡겨진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처리한다는 의미이며 「あずける」는 성가신 일을 타인에게 부탁하여 보관·보호·처리하는 것이며 「ひきうける」는 스스로 마지막까지 책임을 지고 임무를 완수하겠다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2.「かかえる」「だく」「いだく」-(53.2%)
      「かかえる」는 주로 부피가 큰 물건을 안을 때, 또 부담스럽거나 걱정이 된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だく」「いだく」는 애정을 갖고 사람이나 사물을 안을 때 사용된다.
      3.「ねがう」「のぞむ」-(51.8%)
      「ねがう」는 마음속으로 바라는 사항을 대상에게 의존하여 그 실현을 적극적으로 기대하는 것이고 「のぞむ」는 대상에 대하여 기대·희망을 갖을 뿐 그 실현을 적극적으로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4.「いう」「はなす」「しゃべる」「のべる」「かたる」-(51.8%)
      「いう」는 청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일방적으로 표출하는 행위이며 「はなす」의 경우 화자는 말하고자 하는 내용·사건을 중심으로 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しゃべる」는 상대에게 전달의 목적을 두지 않고 별생각 없이 말하는 즐거운 행위로 주로 마이너스적 의미로 사용된다. 「のべる」는 공적인 장면에서의 일방적인 전달이나, 반드시 사고 작용을 거친 후 결과를 표출할 때 사용되며, 「かたる」는 개인의 잘 정리된 생각·체험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사용된다. 또 「のべる」「かたる」는 「いう」「はなす」「しゃべる」와 비교해서 문장체라는 특징이 있다.
      5.「あつめる」「そろえる」「まとめる」-(50.9%)
      「あつめる」는 따로따로 존재하는 복수의 대상물을 한군데로 모으지만 그것이 하나로는 되지 않으며 「そろえる」는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그 대상물들이 모두 갖추어진 상태이며 「まとめる」는 따로따로 존재하는 복수의 대상물을 한군데로 모으거나 하나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6.「さわる」「ふれる」-(46.7%)
      「さわる」는 손이나 몸의 일부가 의식적으로 닿는 행동으로 정신·감정으로 인해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며 주체·객체 둘 중의 하나는 반듯이 사람이어야 한다. 「ふれる」는 순간적이고 무의식적인 접촉으로 「さわる」와 다르게 기체·전류·액체 등에도 쓰이며 사람이외의 물체가 주체·객체가 되어도 무방하다.
      7.「つかむ」「にぎる」-(40.8%)
      「つかむ」는 손가락으로 대상의 일부분을 잡아서 대상의 움직임을 저지시키거나 신체의 불암감을 덜고자 하는 행위이며 추구의 대상을 획득한다는 의미도 있다. 이에 반해 「にぎる」는 무언가 손 안에 넣어서 그 상태를 유지하고 힘을 주어 그것을 놓치지 않겠다는 행위로, 자신의 것으로 하고 방치하지 않겠다는 확보의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8.「あまる」「のこる」-(37.6%)
      「あまる」는 어떤 사항에 대한 필요량을 상회하여 남는 부분을 뜻하며, 이는 필요량 범위밖에 존재하는 것이며 「のこる」는 양적 규정이 가능한 경우 「のこる」의 부분은 전체양에 포함되는 일부분이며 시간적 경과를 전제로 할 경우 그 이전의 행위·상태의 연장으로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9.「えらぶ」「きめる」「さだめる」-(37.4%)
      「えらぶ」는 2개 이상의 대상물 중에서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택하는 것이고「きめる」는 「えらぶ」를 전제로 그 행위를 변화시키지 않고 고정한다는 의미이며「さだめる」는 「きめる」를 전제로 어떤 행위를 고정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행위로 주로 공적인 것을 정할 때 사용된다.
      10.「かわかす」「ほす」-(36.9%)
      「かわかす」는 젖어있는 것을 대상으로 일광·바람·열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수분까지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것이고 「ほす」는 젖어있거나 젖어있지 않은 대상을 일광·그늘·바람 등을 이용하여 내포된 수분을 감소시키려는 행위로 수분제거가 주된 목적은 아니다.
      이렇듯 오용은 외국어 학습 시 발생하는 당연하고 체계적인 현상으로 이것을 모국어와 목표언어의 중간단계에 놓여있는 중간언어로써 인식해야 하며, 상위학습단계로 나아갈수록 오용은 줄어들며 목표언어의 도달점에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오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는 기초단계부터 단순히 사전에 제시된 의미와 기능에 의존하지 말고 문장 혹은 문맥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파악하며 지속적인 반복연습을 통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일상생활 속에서 일본어를 사용함으로써 일본어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며, 이는 한국어가 아닌 일본어로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주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일으키는 오류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해 주어야 하며, 각 어휘가 가지는 의미의 차이를 충분히 제시하여 그것이 왜 부자연스러운 표현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이러한 오용분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범하기 쉬운 오용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미리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오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Japanese is caused by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origins from interference of learners' mother language.
      Therefor Japanese people unconscious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 depend on the situation they are in, however Korean-Japanese learner simply can't divide the meanings of the word, causing by the preconception of one to one correspondence.
      so the native place checks on the misusing of vocabulary out of many other misapply of the words, especially korean-japanese learner by verb synonyms for understanding it right, and by the research from the result, try to consider the understanding of Korean-Japanese learners actual situation.
      The research is based on 26 students in Year3, 34 from Year4 of Se-Myung University of Japanese department and 25 students of Foreign Language School in Je-Cheon(total 85) and the research question was done in 37 questions, by looking on the result on each question it showed the 47.0% of misuse.
      The result from meaning division each verb synonyms is like the below and it's been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 percentage of misusing.
      1.「azukaru」「azukeru」「hikiukeru」-(55.6%)
      「azukaru」means response and handle the work which has been asked by other or itself. 「azukeru」 means to ask somebody to keep, protect and take care of the things that is bothering.
      「hikiukeru」 means the positive action which is to protect and responsible on something until the end.
      2.「kakaeru」「daku」「idaku」-(53.2%)
      「kakaeru」 is used when people hold on to things which is big and also meaning that worried or burdened. 「daku」 and 「idaku」 are used when people huge or hold others with affection.
      3.「negau」「nozyomu」-(51.8%)
      「negau」 is strongly expecting wanted things in mind becoming true or happen in real life. 「nozyomu」 is hoping that the things in mind to be happenign but not very strong about it.
      4.「iu」「hanasu」「syaberu」「noberu」「kataru」-(51.8%)
      「iu」 is an action that speaks out it's feelings or thinking but not much caring about the listener. 「hanasu」 this time it means to say something on purpose of conveying, 「syaberu」is used in meaning of fun way of speaking without clear aim and usually used as minus meaning. 「noberu」is used to convey the fully prepared thoughts and experience.
      And also 「noberu」 and 「kataru」 have literary style specification compared「iu」,「hanasu」 and 「syaberu」.
      5.「atsumeru」「soroeru」「matomeru」-(50.9%)
      「atsumeru」 is to collect somethings states in single but within plural meaning however they don't become one. 「soroeru」 is when things are organised in specified order. 「matomeru」is an action that gathers existing plural substance in one.
      6.「sawaru」「hureru」-(46.7%)
      「sawaru」is used to show hurting feeling or psych by touching hands or part of body in conscious, 「hureru」is for the moment of contact that differs from 「sawaru」 in ways of also being used in gas, electric current and liquid, and it's unfenced even though subject or object (not human being)
      7.「tsukamu」「nigiru」-(40.8%)
      「tsukamu」 is has meaning of grab a part of something with a finger to slow the movement of something or to reduce uncomfortable feelings. It also has meaning of getting the model of pursuit. Unlike that, 「nigiru」 means to have something in your hands, maintain its quality as well as grabbing it hard to show that itself won't let something go way from itself. This also has the meaning of having something for itself and not uncaring about it which shows the secureness.
      8.「amaru」「nokoru」-(37.6%)
      「amaru」is means the remaining from exceeding of amount of needed, 「nokoru」is when quantitative is possible, 「nokoru」's section is included in the whole amount as a part, if it's being based on time and in the processing of time, it means the extension of the action in past and state of things.
      9.「erabu」「kimeru」「sadameru」-(37.4%)
      「kimeru」 means strong expression of not to change its behaviour by 「erabu」.「sadameru」 is used when someone stated the behaviour and try to maintain it using 「kimeru」
      10.「kawakasu」「hosu」-(36.9%)
      「kawakasu」 is when something wet tries to return to itself using radiation, wind and heat ect. 「hosu」 is when something wet or dry tries to reduce the moisture in it using radiation, wind and heat etc. but reducing the moisture isn't the main point of the aim.
      Like this, the misusing of words are very natural and systematic while learning foreign language and we should aware of this as the language between mother tongue and foreign language. As we go further into the learning process, the misuse of word would dwindle away and this is how we get closer to the aim of target(language)
      To prevent these misuse the learner simply oughtn't rely on the words in dictionary, but naturally understand the meaning in sentences or contexts and with continuous revision practice, they must try to make good understanding.
      Therefor in the daily life by using Japanese to accept it as it is. This is the way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think in Japanese. So the professors need to teach about the common mistake tha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can make. Then by suggesting meanings and differences from each vocabulary, they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 And I also think that basing on the research of misusing, finding out the common mistake that the learners can make and strongly insisting the measuring reduce the misusing.
      번역하기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Japanese is caused by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origins from interference of learners' mother language. Therefor Japanese people unconscious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 depend on the situation they ar...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Japanese is caused by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origins from interference of learners' mother language.
      Therefor Japanese people unconsciously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d depend on the situation they are in, however Korean-Japanese learner simply can't divide the meanings of the word, causing by the preconception of one to one correspondence.
      so the native place checks on the misusing of vocabulary out of many other misapply of the words, especially korean-japanese learner by verb synonyms for understanding it right, and by the research from the result, try to consider the understanding of Korean-Japanese learners actual situation.
      The research is based on 26 students in Year3, 34 from Year4 of Se-Myung University of Japanese department and 25 students of Foreign Language School in Je-Cheon(total 85) and the research question was done in 37 questions, by looking on the result on each question it showed the 47.0% of misuse.
      The result from meaning division each verb synonyms is like the below and it's been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 percentage of misusing.
      1.「azukaru」「azukeru」「hikiukeru」-(55.6%)
      「azukaru」means response and handle the work which has been asked by other or itself. 「azukeru」 means to ask somebody to keep, protect and take care of the things that is bothering.
      「hikiukeru」 means the positive action which is to protect and responsible on something until the end.
      2.「kakaeru」「daku」「idaku」-(53.2%)
      「kakaeru」 is used when people hold on to things which is big and also meaning that worried or burdened. 「daku」 and 「idaku」 are used when people huge or hold others with affection.
      3.「negau」「nozyomu」-(51.8%)
      「negau」 is strongly expecting wanted things in mind becoming true or happen in real life. 「nozyomu」 is hoping that the things in mind to be happenign but not very strong about it.
      4.「iu」「hanasu」「syaberu」「noberu」「kataru」-(51.8%)
      「iu」 is an action that speaks out it's feelings or thinking but not much caring about the listener. 「hanasu」 this time it means to say something on purpose of conveying, 「syaberu」is used in meaning of fun way of speaking without clear aim and usually used as minus meaning. 「noberu」is used to convey the fully prepared thoughts and experience.
      And also 「noberu」 and 「kataru」 have literary style specification compared「iu」,「hanasu」 and 「syaberu」.
      5.「atsumeru」「soroeru」「matomeru」-(50.9%)
      「atsumeru」 is to collect somethings states in single but within plural meaning however they don't become one. 「soroeru」 is when things are organised in specified order. 「matomeru」is an action that gathers existing plural substance in one.
      6.「sawaru」「hureru」-(46.7%)
      「sawaru」is used to show hurting feeling or psych by touching hands or part of body in conscious, 「hureru」is for the moment of contact that differs from 「sawaru」 in ways of also being used in gas, electric current and liquid, and it's unfenced even though subject or object (not human being)
      7.「tsukamu」「nigiru」-(40.8%)
      「tsukamu」 is has meaning of grab a part of something with a finger to slow the movement of something or to reduce uncomfortable feelings. It also has meaning of getting the model of pursuit. Unlike that, 「nigiru」 means to have something in your hands, maintain its quality as well as grabbing it hard to show that itself won't let something go way from itself. This also has the meaning of having something for itself and not uncaring about it which shows the secureness.
      8.「amaru」「nokoru」-(37.6%)
      「amaru」is means the remaining from exceeding of amount of needed, 「nokoru」is when quantitative is possible, 「nokoru」's section is included in the whole amount as a part, if it's being based on time and in the processing of time, it means the extension of the action in past and state of things.
      9.「erabu」「kimeru」「sadameru」-(37.4%)
      「kimeru」 means strong expression of not to change its behaviour by 「erabu」.「sadameru」 is used when someone stated the behaviour and try to maintain it using 「kimeru」
      10.「kawakasu」「hosu」-(36.9%)
      「kawakasu」 is when something wet tries to return to itself using radiation, wind and heat ect. 「hosu」 is when something wet or dry tries to reduce the moisture in it using radiation, wind and heat etc. but reducing the moisture isn't the main point of the aim.
      Like this, the misusing of words are very natural and systematic while learning foreign language and we should aware of this as the language between mother tongue and foreign language. As we go further into the learning process, the misuse of word would dwindle away and this is how we get closer to the aim of target(language)
      To prevent these misuse the learner simply oughtn't rely on the words in dictionary, but naturally understand the meaning in sentences or contexts and with continuous revision practice, they must try to make good understanding.
      Therefor in the daily life by using Japanese to accept it as it is. This is the way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think in Japanese. So the professors need to teach about the common mistake tha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can make. Then by suggesting meanings and differences from each vocabulary, they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 And I also think that basing on the research of misusing, finding out the common mistake that the learners can make and strongly insisting the measuring reduce the misu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방법 = 2
      •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방법 = 2
      • 3. 선행연구 = 5
      • Ⅱ. 오용의 일반적인 사항 = 8
      • 1. 오용의 정의 및 원인 = 8
      • 2. 중간언어 = 10
      • Ⅲ. 유의어의 오용에 관한 실태조사 = 13
      • 1. 유의어의 정의 = 13
      • 2. 조사개요 = 15
      • 3. 조사결과 및 고찰 = 17
      • 3-1 동사유의어에 관한 의식현황 = 17
      • 3-2 동사유의어 10쌍의 오용실태 = 19
      • 3-2-1 동사유의어의 전체 오용률 = 19
      • 3-2-2 각 동사유의어의 오용률 = 21
      • 3-3 동사유의어 10쌍의 오용분석 = 22
      • 3-3-1 「さわる」「ふれる」 = 22
      • 3-3-2 「あまる」「のこる」 = 25
      • 3-3-3 「かわかす」「ほす」 = 29
      • 3-3-4 「つかむ」「にぎる」 = 33
      • 3-3-5 「かかえる」「だく」「いだく」 = 36
      • 3-3-6 「あずかる」「あずける」「ひきうける」 = 40
      • 3-3-7 「えらぶ」「きめる」「さだめる」 = 44
      • 3-3-8 「あつめる」「そろえる」「まとめる」 = 48
      • 3-3-9 「いう」「はなす」「しゃべる」「のべる」「かたる」 = 53
      • 3-3-10 「ねがう」「のぞむ」 = 58
      • Ⅳ. 결론 = 62
      • 참고문헌 = 66
      • 부록 = ⅰ
      • Abstract = 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